☞일시 : 2020. 12. 21(월)
☞누구 : 나홀로
☞산행코스 : 수통골3거리 ⇨ 수통골 공영주차장(빈계산들머리) ⇨ 빈계산 ⇨ 금수봉 ⇨ 470봉 ⇨ 금수봉 3거리 ⇨ 자티고개 ⇨ 금수봉 3거리 ⇨ 수통폭포 3거리 ⇨ 계룡산국립공원 수통골탐방지원센터(공영주차장앞) ⇨ 수통골 3거리정류장
☞산행시정
06:10 집출발 ⇨ 18분 천왕역(4-4)승차 ⇨ 35분 가산디지털단지역 1호선(2-4)환승 ⇨ 07:16 수원역 하차 ⇨ 35분 새마을호(7,800)승차 ⇨ 08:52 대전역 하차 4번출구 ⇨ 09:05 전철 1호선 대전역(반석행)승차 ⇨ 33분 현충원역 하차 3번출구로 진출 ⇨ 45분 현충원역정류장 102번 승차 ⇨ 56분 수통골 3거리정류장 하차 ⇨ 10:00 산행출발⇨ 102번 버스종점 앞에서 우측 수통천 갓길 진행 ⇨ 08분 수통골공영주차장(빈계산 들머리) ⇨ 11:01 빈계산 정상(414m) ⇨ 35분 금수봉 철계단 전망대 ⇨ 46분 공룡기지국 탑 ⇨ 57분 금수봉 정상(532m) ⇨ 12:15 470m봉 ⇨ 21분 금수봉 3거리 ⇨ 37분 자티고개(473m) ⇨ 51분 금수봉 3거리로 되돌아옴 ⇨ 수통폭포 방향으로 진행 ⇨ 13:56 수통폭포 ⇨ 14:09 계룡산국립공원 수통골탐방지원센터(공영주차장앞) ⇨ 20분 수통골 3거리정류장(산행종료)⇨ 26분 현충원역행(102번)승차 ⇨ 35분 현충원역정류장 하차 ⇨ 47분 현충원역 전철 승차 ⇨ 15:15 대전역 정류장 하차 ⇨ 16:18 무궁화호 승차 ⇨ 17:04 천안역 하차 ⇨ 08분 청량리행 1호선(10-3)승차 ⇨ 18:30 가산디지털단지역 7호선 환승 ⇨ 39분 천왕역 하차 ⇨ 귀가
☞산행 거리 및 시간 ⇒ 총 산행 거리 : 약 8.38 km 소요시간 : 약 4시간 20분(중식, 간식, 휴식 포함)
☞특징, 볼거리
◈금수봉 높이 : 531m, (빈계산 : 415m) 위치 : 대전광역시 유성구 계산동
금수봉은 계룡산 천황봉에서 뻗어나온 산줄기가 민목재를 지나서 백운봉(535.5m)에서 두갈래로 갈라져 오른쪽에 금수봉을 왼쪽에 도덕봉을 빚어 놓았다. 이 같은 명산의 정기를 이어받은 금수봉은 정상에 올라서서 사방을 내려다보면 주위의 풍경이 비단에 수를 놓은 것 같다고 하여 금수봉이라고 부른다.
대전의 서부 학하동보다 더 서쪽에 빈계산이란 묘하고 어려운 이름의 산이 있다. 산 모습이 암탉 같아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 빈계산 아래가 계산동이다. 유성 골프장 뒤의 도덕봉과 금수봉 사이를 비집고 수통골이 자리잡고 있다. 이 수통골은 도덕봉의 까마득한 바위벽과 금수봉의 무성한 숲 사이에 놓여 있어 그 경관이 아름답다.
금수봉은 북쪽의 도덕봉에서 이어진 산줄기가 475미터 봉과 백운봉을 이으며, 수통골을 끼고 돌아와서 솟구친 봉우리로 사면이 가파른 비탈로 이루어져 있다. 이 산줄기는 동쪽으로 낮아졌다가 앞에서 말한 암탉산을 일으킨 뒤, 남쪽으로 달리며 용바위, 범바위등의 명소를 만들고 명산 구봉산으로 넘어간다.
산행시작은 수통골 주차장에서 다리 건너 보(洑)에 이르면 그 위에 버드나무가 보인다. 넓은 자갈밭을 건너 철계단 아래 폭포를 지나서 수통골로 올라가다 보면, 설악산의 한 골짜기에 온 듯 착각할 정도로 경치가 아름답다. 이 골짜기 끝부분의 이정표에서 왼쪽으로 가파른 산등성이를 타고 오르면 금수봉 등마루에 닿게 된다. 이곳에서 왼쪽으로 조금만 더 올라가면 금수봉 정상이다. 하산길은 동북쪽의 산등성이로 내려서게 되며, 빈계산 정상에는 돌탑이 있다. 빈계산에서 수통골 주차장으로 내려가는 길은 부드럽고 완만하며, 금수봉과 도덕봉을 올려다 보기 좋은 바위전망대가 여러군데 있다.
이번 산행은 집을 나설 때 까지도 금물산을 갈까 대전으로 갈까 망설이다가 금물산은 횡성까지 갔다가 낮이 가장 짧은 오늘 이정목도 없는 금물산에서 길을 못찾아 헤맬 것 같은 생각이 들어 접근성이 좋고 국립공원 영역이라 안내가 잘되어있을 금수봉을 택하여 대전행 열차에 올랐다. 대전-현충원역-시내버스연결, 기다리는 시간없이 연결되니 접근성이 좋고 안내가 잘되어 산행에는 아무 문제없이 이정목 보며 다녀오면 문제없는 코스였다. 월요일이지만 산객들도 제법 보인다. 처음 계획은 빈계산 생각은 없었는데 공영주차장에 빈계산 안내도가 보이고 산객들이 빈계산 방향으로 오르기에 나도 뒤따랐다. 높이도 500미만이니 쉽게 빨리 오르리라 생각하면서 속도를 내었지만 가파른 경사로 인해 쉽진 않았고 계속되는 돌계단 때문인가 관절에도 좋지 않은 것 같았다. 단숨에 오르겠다고 서둘렀기에 땀을 많이 흘렸다. 낮아도 쉽게 생각하면 안된다는 걸 깜박하고... 잠시 휴식을 취한뒤 정상까지 논스톱, 한시간만에 빈계산 정상에 도착하여 잠시 나무평상에 앉아 휴식한 다음 옆의 산객에게 인증샷을 부탁하고 조망이 좋은 빈계산 조망터에서 금수봉, 도덕봉, 대전시가지 조망이 아주 좋다. 오늘 빈계산에서 금수봉, 도덕봉까지 한번에 싹 쓸어보고 오려고 했던 생각이 바뀌었다. 수통골계곡 맞은편 도덕봉까진 아무래도 무리일 것 같아서다. 그리고 보고픈 폭포 이정표가 유혹을 하기도 하고 폭포가 꽤 괜찮은가보다 이정표에 있는걸 보면... 오늘은 자티고개까지 갔다가 되돌아와 폭포를 보기위해 금수봉3거리서 폭포3거리발향으로 진행하였다. 다음 도덕봉 산행때 수통골계곡으로 올라 도덕봉을 다녀오면 하루코스가 되겠다는 생각을 하면서 금수봉 삼거리로 진행, 하산길은 계룡산처럼 좁은 능선길에 계속되는 계단길이라 조심하지 않으면 안전사고 위험도 있을 것 같다. 창날같은 바닥에 솟은 돌창날이 걸려 넘어지면 많이 다칠것 같다. 약 1.5km 하산길 관절이 뻐근해진다. 오늘 산행은 낮이 짧은 겨울 산행지로 괜찮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침에 첫찰 타고 수원역에서 예매한 6시47분발 새말호를 타야하는데 교통카드를 분실하여 전신을 디적이다 수원역을 지나치고 말았다. 다시 되돌아와서 어두운 길이라 바쁘니까 승차지점을 몰라 주변사람에게 물으니 제대로 알고 가르쳐 주는 사람이 없어 내 판단으로 찾아가니 그땐 열차 출발후여서 예약취소(1,100원떼고)후 7시 35분 새말호를 타야하는 출발부터 삐걱거리는 해프닝이 산행을 막는 것 같았다. 위 시정표 천왕역에서 수원까지의 시정표는 7시35분차 타는 시정표로 실제(천왕역-수원역)와는 다르다. 혹시 참고할 분이 있을까봐 시간을 맞춰 놓은 것이다. 횡성으로 가려다 갑자기 장소가 바뀌어 가면서 검색하다가 교통카드 빠진줄도 모르고 카드찾느라 수원역하차도 노치고하여 필요없이 카드 재발급 3,000원, 새말호 위약금 1,100원 등 손해보고, 시간도 도둑맞고 오늘은 이리저리 일진이 좋지 않은날 무사히 잘 다녀온 것 만으로도 만족하면서...
수통골 공영주차장 좌측 빈계산들머리 산행 안내도
빈계산 오르는 급경사 돌계단길
돌창날이 솟아있는 등산로
빈계산 바로 아래의 조망터에서
빈계산 조망터에서 본 금수봉
빈계산 조망터에서 바라본 도덕봉
빈계산에서 나무사이로 본 대전시가지
금수봉가는 철계단 조망대에서 파노라마 촬영
금수봉 정상의 팔각정
금수봉에서 나뭇가지사이로 도덕봉
해발461m의 금수봉 삼거리쉼터
돌창날의 하산길
도덕봉의 단애
물 없는 수통폭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