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이 여태까지 북반구에서 주로 발전해 와서리... 중세때는 유럽(티코브라헤, 케플러, 갈릴레이, ...)에서 점성학 때문에 주로 발전했고, 그 이후 1900년대 들어서는 미국으로 대세가 옮겨 왔죠. 그래서 북반구 기준으로 서술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은데요, '지구가 반시계로 돈다'는 말의 의미는 북극 위로 올라가서 남쪽으로 내려다 봤을 때 반시계로 돈다는걸 뜻합니다. 태양계 천체는 금성, 천왕성을 빼면 모두 같은 방향으로 공,자전을 하기 때문에 이렇게 서술하면 또 편하죠... 외부 천체(은하, 외계행성)를 '반시계로 돈다'고 하는 경우는 전혀 없습니다..
첫댓글 서에서 동에서 혹은 동에서 서가 맞습니다 우리가볼때 시계방향이냐 반시계방향이냐를 판단하는것이지 동에서 서로간다고 무조건 시계방향이라고하는건 맞지 않습니다.
과학이 여태까지 북반구에서 주로 발전해 와서리... 중세때는 유럽(티코브라헤, 케플러, 갈릴레이, ...)에서 점성학 때문에 주로 발전했고, 그 이후 1900년대 들어서는 미국으로 대세가 옮겨 왔죠. 그래서 북반구 기준으로 서술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은데요, '지구가 반시계로 돈다'는 말의 의미는 북극 위로 올라가서 남쪽으로 내려다 봤을 때 반시계로 돈다는걸 뜻합니다. 태양계 천체는 금성, 천왕성을 빼면 모두 같은 방향으로 공,자전을 하기 때문에 이렇게 서술하면 또 편하죠... 외부 천체(은하, 외계행성)를 '반시계로 돈다'고 하는 경우는 전혀 없습니다..
네~ 답글 감사합니다~*^^*
서에서 동은
북쪽에서 바라볼 때(=남쪽을 바라볼 때) 반시계 방향
남쪽에서 바라볼 때(=북쪽을 바라볼 때) 시계 방향입니다.
동에서 서는 반대이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