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심으로 돌아갑시다 (2556) ///////
2013년 서울신문 신춘문예/ 김준현
이끼의 시간 / 김준현
우물 위로 귀 몇 개가 떠다닌다
검은 비닐봉지 속에 느린 허공이 담겨 있다 나는
내 빈 얼굴을 바라본다 눈을 감거나
뜨거나, 닫아놓은 창이다
녹슨 현악기의 뼈를 꺾어 왔다 우물이 입을 벌리고
벽에는 수염이 거뭇하다 사춘기라면
젖은 눈으로
기타의 냄새 나는 구멍을 더듬는, 장마철이다
손가락 몇 개로 높아지는 빗소리를 누른다 저 먼 곳에서
핏줄이 서는 그의 목젖, 거친
수염을 민다
드러나는 싹이여, 자라지 마라
벌레들이 털 많은 다리로 밤에서
새벽까지 더듬어 오른다
나는 잠든 그의 뒷주머니에
시린 손을 숨긴다 부드럽고 가장 어두운
비닐봉지 안에 차가운 달걀 몇 개를 담아
바람에 밀려가는 주소를 찾는다
귀들이 다 가라앉은 물에도
소름이 돋는 중이다
[당선소감] 더 정갈한 글로 보답하겠습니다
어릴 때, 저녁이면 부모님은 저와 동생에게 과일을 깎아 주셨습니다.
지켜보며, 사과껍질을 끊기지 않게 깎는 법을 배우고 싶었죠.
그러나 손놀림이 서툴렀던 저는 한 번도 성공하지 못했습니다.
생각하면, 한 번도 긴 곡선의 껍질을 남긴 적이 없었던, 제 사과.
서툴렀던 건 그뿐만이 아니었습니다.
병아리를 길렀던 적이 있었죠.
어쩌다 다리를 다친, 이름도 잊어버린 그 병아리 역시 제 서투른 사육의 증거였습니다.
베란다의 사과박스 속 홀로, 한 쪽 다리로 서 있던 병아리를 보며
저는 ‘쓸쓸’이라는 감정을 배웠습니다.
의무처럼, 저는 병아리의 배설물이 묻은 신문지를 갈아주었습니다.
오래된 신문지와 새 신문지의 날짜 사이 점점 간격이 벌어지던 어느 날,
병아리는 눈을 감고 있더군요.
방에서 홀로 쓰다가 그렇게 지칠 때면 저는 밝고 따뜻한 집으로 돌아갑니다.
늘 믿고 기다려주신 아버지, 어머니, 동생에게- 늘 사랑하고 고맙습니다.
문학을, 사람을 대하는 자세를 몸소 보여주시고,
늘 제 서투른 감각들을 짚어주시는 김문주 교수님. 감사합니다,
그 이상의 인사는 좋은 작품이어야 할 것 같습니다.
더불어 영남대 국문과의 교수님들, 제가 지나온 모든 선생님들과 친구들,
특히 승협, 명재에게 감사를 전합니다.
정끝별, 손택수 두 심사위원께는 더 정갈한 소리로 보답을 드리겠습니다.
오래 가라앉고자 합니다.
[심사평] ‘따로 없는 詩 쓰는 법’ 모험에 박수를
추사에 따르면, 묵죽을 그리는 데는 법이 따로 있는 것도 아니고 법이 따로 없는 것도 아니다.
‘따로 있는 법’을 성실히 참조하면서도 과감히 떨쳐버리고 어떻게 ‘따로 없는 법’을 찾아나설 것인가.
신춘문예 시 부문 심사는 모험을 향해 떠난 외롭고 고단한 열정들과의 뜨거운 만남의 자리였다.
꼼꼼하고 균형 잡힌 예심을 거쳐 올라온 총 20여명의 작품 중 최종심에 오른 것은
‘새라는 가능성’,
‘고동의 길’,
‘만찬’,
‘이끼의 시간’ 등 모두 네 편이었다.
예리하게 벼린 언어 감각이 돋보이는
‘새라는 가능성’은 높은 시적 완성도에도 불구하고 기시감이 있었다.
새, 새장, 온도, 울음, 바람 등 선택된 오브제들과 그 엮음의 방식이
표절 시비로 이미 당선 취소된 바 있는 작품들과 유사해
또 다른 표절 시비를 몰고 올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 하에 가장 먼저 제외되었다.
‘만찬’은
“노을에도 마블링이 있다/ 칼이 허공의 날개처럼 살 사이를 휘젓는다”와 같은
감각적인 언술에 호소력이 있었으나 전체적으로 과잉된 수사욕망을 절제하지 못한 것이 아쉬웠다.
마지막까지 남은 작품은
‘고동의 길’과 ‘이끼의 시간’이었다.
‘고동의 길’은
수많은 시 창작론의 정석이라고 해도 될 만큼 균형 잡힌 구조와 투박한 시어들을
장악해 들어가는 사유의 힘이 돌올했다.
반면에 미성년의 실존적 내면을 다룬
‘이끼의 시간’은
우물, 검은 비밀봉지, 현악기(기타) 등으로 변주를 거듭하는 은유와 신경증적인 감각들로
이미지와 이미지, 의미와 의미 사이의 연결고리가 불안으로 술렁였다.
동봉한 작품들 또한 같은 문제를 안고 있었다.
하지만 이 불안은 그 무엇도 결정되지 않는 혼돈 속에서 돋아나는 새로운 가능성의 감각과
열기로 꽉 차 있는 것 또한 사실이었다.
완숙한 포도주의 맛과 아직 미숙하긴 하되 미래를 잠재한 떫은 포도주의 맛 사이에서
장고 끝에 심사위원들은 ‘따로 없는 법’을 찾아나선 자의 모험에 손을 들어주기로 하였다.
새로운 시인의 탄생에 매운 채찍과 응원을 함께 보낸다.
심사위원 정끝별, 손택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