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심으로 돌아갑시다 (2557) ///////
2014년 서울신문 신춘문예 / 박세미
알 / 박세미
처음부터 거기 있었는지 모른다
지나가던 개가 아무렇게나 싸놓은 똥처럼
거기엔 무단 투기 금지라고 쓰여 있었는데
나는 당당했지
버려진 적 없으니까
어느 날 거기 옆에 쪼그려 앉아 말했다
누가 널 낳았니
이름이 없어 좋겠다
털이 있다는 건 위험한 일이지
정체가 발각되는 것이니까
집을 나오는 길
두 발이 섞이는 것 같았다 그 다음엔 얼굴과
머리카락이 엉키고
몸의 구분이 모호해질수록
흩어져 있던 영혼의 조각들이 뭉쳐질수록
나는 아무렇게나 던져진 쓰레기로 완성되었다
처음부터 거기 있었는지 모른다
아무도 내 정체를 모르고
아무도 나를 분류하지 않는 곳
껍질을 깨고 안으로 들어간다
자, 이제 신앙에 대해 말할 수 있지
바깥에게 무례하게 구는 것
한 가지 이름으로 불리는 것
욕조 안으로 들어가면
반쯤 잠기는 몸
최초의 기분은 여기에 있지
출렁인다
다리 하나가 기어나간다
[당선소감] 손에 쥔 알… 깨지든 태어나든 마주하겠습니다
나는 어떤 시간들을 놓칩니다. 어쩌면, 놓습니다.
당선 통보를 받던 순간에도 주저앉아 울거나 소리라도 시원하게 질러 볼 타이밍을 보내 버렸습니다.
그런데 그런 것들은 꼭 남아 있습니다.
금방 터질 것 같은데, 아직 터지지 않았습니다.
그런 것들을 끌어안은 채 나는 시를 만납니다.
그녀들의 언어와 인격은 겹쳐지며 반짝입니다.
너무나 눈부신 나의 김행숙 선생님과 이원 선생님. 감사하고 사랑합니다.
문드러진 나의 스무 살, 뼈를 심어 주셨던 우성환 목사님.
늘 그립다는 말을 이제 전합니다.
나의 가족. 박종주, 홍미숙, 박대인. 가장 뜨거운 세 개의 이름.
그리고 다정하게 내 이름을 발음해 주는 사람들.
나는 당신들이라는 숲에서 크게 숨을 쉽니다.
시나락 아이들. 우리 오랫동안 함께 걷자.
미숙한 목소리에 귀 기울여 주신 황현산 선생님, 나희덕 선생님 감사합니다.
조심스럽게 알 하나를 손에 쥡니다. 깨지든,
태어나든. 어떤 것이라도 마주하겠습니다.
[심사평] 세계를 향한 끝없는 질문과 대화의 자세 돋보여
본심에 올라온 10명의 작품은
예심위원들의 젊은 안목 덕분에 정형화된 신춘문예 스타일과는 다른 개성적인 목소리가 많았다.
그래서 우리의 심사는 한 편의 ‘잘 빚어진 항아리’를 선택하기보다는
세계에 대한 ‘개성적 독법과 화법’을 찾아내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여러 번 읽는 과정에서 수사적인 표현에만 의존한 시, 지나치게 관념적인 시,
낯익은 발상에 머물러 있는 시 등이 우선 떨어져 나갔다.
그렇게 해서 마지막으로 남겨진 것은
박세미, 김잔디, 이현우의 작품이었다.
김잔디의 시는
이미지를 조형해 내는 솜씨가 섬세하고 감각적이라는 점에서 호감이 갔다.
“풍경을 의심하는 초식동물의 눈은 까맣다”라든가
“우유곽 바닥을 훑는 빨대 소리에 놀라 수목은 뿌리를 내리고” 등 매력적인 구절이 많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행과 이미지들이 파편적인 아름다움을 넘어
뚜렷한 구심을 형성하지 못하는 것이 아쉬웠다.
이현우의 시는
상상력이 활달하고 다양한 소재를 유니크하게 소화해 낸다는 점에서
범상치 않은 역량을 갖추고 있다고 여겨졌다.
실러캔스, 달의 착란, 손금의 태계, 프로토아비스…. 그는 무엇이든 시로 만들 수 있지만
어떤 시에도 자신을 전폭적으로 걸지는 않는 것 같다.
이 소재주의적 경향이 그의 유창함에 대한 전폭적인 지지를 망설이게 했다.
박세미의 시는
간결한 언어를 통해 시간과 공간을 증폭시켜 내는 특유의 에너지를 지니고 있다.
비극적 인식을 경쾌한 어조로 노래하는 그는
시적 대상의 슬픔과 고통을 진부하지 않은 방식으로 끌어안는다.
당선작인 ‘알’에서도
버려진 존재들에 대한 상투적 연민이 아니라
“껍질을 깨고 안으로 들어”가는 방식으로 새로운 난생설화를 탄생시킨다.
화자의 교체나 장면의 전환을 자연스럽게 구사하고, 행과 연을 조율하는 능력도 뛰어나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그는 세계를 향해, 바깥을 향해, 끝없이 질문하고 대화한다.
그 질문과 대화의 자세로 오랫동안 좋은 시를 쓸 것이라 믿고,
또한 지켜볼 것이다.
심사위원 나희덕 시인, 황현산 문학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