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심으로 돌아갑시다 (2561) ///////
2018년 서울신문 신춘문예 / 박은지
정말 먼 곳 / 박은지
멀다를 비싸다로 이해하곤 했다
우리의 능력이 허락하는 만큼 최대한
먼 곳으로 떠나기도 했지만
정말 먼 곳은 상상도 어려웠다
그 절벽은 매일 허물어지고 있어서
언제 사라질지 몰라 빨리 가봐야 해
정말 먼 곳은 매일 허물어지고 있었다
돌이 떨어지고 흙이 바스러지고
뿌리는 튀어나오고 견디지 못한 풀들은
툭 툭 바다로 떨어지고
매일 무언가 사라지는 소리는
파도에 파묻혀 들리지 않을 거야
정말 먼 곳을 상상하면 불안해졌다
우리가 상상을 잘하고 있는 건지 알 수가 없었다
아무리 노력해도 우리의 상상이
맞았는지 틀렸는지 알 수 없었고
거짓에 가까워지는 것만 같았다
정말 먼 곳을 상상하는 사이 정말 가까운 곳은
매일 넘어지고 있었다 정말 가까운 곳은
상상을 벗어났다 우리는
돌부리에 걸리고 흙을 잃었으며 뿌리를 의심했다
견디는 일은 떨어지는 일이었다
떨어지는 소리는 너무 작아 들리지 않았다
그래도 우리는 정말 먼 곳을 상상하며 정말 가까운 곳에 서 있었다
그래야 절벽에서 떨어지지 않을 수 있었다
[당선소감] 詩가 준 위로, 나눌 수 있어 기쁘다
10년 후 내 모습 같은 걸 그려보는 일은 어려웠다.
계획은 늘 틀어졌고, 예상치 못한 일은 자꾸 찾아왔다.
오늘을 무사히 견디자는 목표만이 살아남았다. 물론 자주 실패했다.
발밑이 무너지거나, 흩어진 나를 찾아 이리저리 뛰어다니거나,
가만히 울면서 오늘을 보낼 때도 있었다.
그런 날엔 시의 힘을 빌렸다.
시를 읽거나 쓰면 내가 덜 초라하게 느껴졌고 덜 외로웠다.
시를 써야 내가 ‘나’ 같았고, 가끔은 근사해 보이기까지 했다.
잘 쓰고 싶었고, 좋은 시를 쓰고 싶었으나 이 또한 자주 실패했다.
그냥 쓰는 수밖에. 시에게 잘 보이려는 마음을 버리고 그냥 쓰는 수밖에.
그러던 오늘 전화 한 통을 받았다.
10년 후 만난 내 모습이 꽤 마음에 든다.
오늘도 내일도 시의 힘을 빌려야지.
이 힘을 여러 사람들에게 나눠줄 수 있어 기쁘다.
우리 엄마 허경숙, 엄마의 사랑으로 제가 살아 있습니다.
행복의 밀도를 높여주는 우리 가족, 특히 조카 박지성 고맙고, 사랑합니다.
우리는 더 많이 행복해져야 합니다.
끝까지 저를 지켜봐 주신 박주택 교수님,
격려를 아끼지 않으신 김종회 교수님을 비롯한 경희대 국문과 교수님들,
프락시스연구회와 경희문예창작단, 현대문학연구회 선후배님들이 계셔서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감사합니다. 경환, 승원, 은영, 규진 더 많은 밥과 술을 함께합시다.
나의 가장 큰 위로인 의룡, 말로 다 할 수 없을 만큼 고마워.
끝으로 이문재 선생님, 나희덕 선생님 감사합니다.
부족한 제게 내일로 나아갈 수 있는 힘을 주셨습니다.
많이 웃고 많이 울며 계속 쓰겠습니다
[심사평] 수사 과잉의 피로감 속 간결미 돋보여
2000년대 이후 서정시의 갱신은 탈주체의 문제나 문법적 해체와 맞물려 진행되어 왔다.
본심에 올라온 열다섯 명의 작품들에서도 그런 변화가 확연히 느껴졌다.
주체가 불분명한 진술들과 지나치게 비틀어서 소통 불가능할 정도의 문장들이 적지 않게 눈에 띄었다.
하지만 그러한 단절과 비약이 항상 새로움으로 느껴지는 것은 아닌 듯하다.
이규진, 남수우, 장희수, 박은지의 시들은 새로운 어법을 보여 주면서도
나름대로 보편성을 확보하고 있다고 여겨졌다.
박은지의 ‘정말 먼 곳’을 당선작으로 뽑게 된 데에는
과잉된 수사가 주는 피로감 속에서 그의 간결하고 명징한 언어가 상대적으로 돋보였기 때문이다.
다른 투고자들보다 작품의 편차가 크지 않고 전체적으로 안정된 호흡을 지니고 있다는 점도 신뢰감을 갖게 했다.
박은지의 시에는
특히 ‘장소성’에 대한 예민한 의식과 상상력이 두드러진다.
“정말 먼 곳을 상상하는 사이 정말 가까운 곳은 매일 넘어지고 있었다”는 진술처럼,
시적 화자는 여기와 저기, 현실과 상상, 나타남과 사라짐 사이에서 진자운동을 계속한다.
서로 대립되는 사물이나 세계를 오가며 균형 잡힌 사유와 감각을 보여 주는
그의 시는 현실을 손쉽게 이월하지도, 거기에만 사로잡히지도 않는다.
절벽과도 같은 현실을 견디면서 다른 세계를 상상하는 힘을 잃지 않는 것,
그 리드미컬한 힘으로 그는 ‘정말 먼 곳’까지 갈 것이다.
앞으로 펼쳐질 시적 여정을 기대하며 당선을 진심으로 축하드린다.
심사위원 이문재·나희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