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답변 달아주신 분께 감사의 댓글은 필수!
2. 모두 볼 수 있도록 비밀댓글은 지양!
3. 답변을 받은 후 질문글 삭제하지 않기!
------♡ 서로 배려하는 물화생지 ♡------
입자크기가 1/16보다 작으니 이암, 셰일 둘 중 하나인 것 같습니다.
이암과 셰일의 차이는 줄무늬가 이암은 없고, 셰일은 있는 것인데요.
이 문제에서 줄무늬의 유무를 알 수 없잖아요.
아마도 오른쪽의 암석의 평균 화학 조성을 이용하는 것 같은데
평균 화학 조성을 가지고 이암인지 사암인지 어떻게 알 수 있죠?

첫댓글 이암과 셰일은 가장 큰 특징으로 줄무늬의 유무입니다. 셰일의 줄무늬는 주로 판상형 광물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판열성을 보이는 것입니다. 따라서 엄밀이 따졌을때, 판상형 광물의 유무에 따라 성분에도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참고로 자료에 제시된 화학조성만으로 판상형 광물의 유무를 판단할 수 없기때문에 그냥 이암이라 하시면 됩니다. 또는, 정확한 퍼센티지는 모르지만 약간의 사질도 포함하고 있기때문에 사질이암도 정답으로 인정되리라 생각됩니다.
그럼 이암으로 쓰고 변성암을 저변성부터 쓰는것은 그래로 천매암부터 써도 성립되는건가요???
@2015지구과학 선생님 네 그거 쓰는거 맞습니다.
주어진 성분에 판상형 광물이 없기 때문에 이암이군요ㅠㅠ 판상형 광물의 성분도 알아야 하겠네요! 감사합니다^^
@빅뱅팡팡 아니죠. 주어진 성분만으로 판상형광물이라는것을 캐치하기 힘들다라는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