⑤ 작자는 대부분 양반 사대부 계층이었으며, 명종 이후부터 기녀들의 작품이 나타났다.
⑥ 주요 작자 : 길재, 원천석, 정도전, 황희, 김종서, 맹사성, 성삼문, 박팽년, 이개, 유응부, 왕방연, 주세붕, 이현보, 송순, 이황, ㅇ이, 권호문, 정철, 황진이, 홍랑, 계랑 등
⑶ 가사
① 가사는 고려 말에 지어진 나옹화상의 <서왕가>에서 비롯되었다고는 하나, 조선 성종때 정극인의 <상춘곡>
에 이르러 형태가 완성된 것으로 보는것이 일반적이다.
② 가사는 시조와 함께 조선 시대를 대표하는 문학이다.
③ 형식은 운문이면서 내용은 개인정서만이 아니라 교훈적인 내용이나 여행의 견문과 감상 등 산문적인 내용도 담고 있어서 운문 문학에서 산문 문학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형식으로 평가되기도 한다.
④ 경기체가가 쇠퇴하면서 발생한 가사는 3 ˙ 4조 또는 4 · 4조 연속체로 4음보의 율격을 갖추고 있으며, 시조 종장의 음수율(3 ˙ 5 ˙ 4 ˙ 3조)과 유사하게 끝나는 것(정격 가사)이 일반적이다.
⑤ 조선 전기의 가사는 주로 양반층이 창작을 추도했으며, 내용은 임금의 은혜에 감사하는 것이나 벼슬을 버리고 자연 속에서 유유자적하는 심정을 노래하였다.
⑥주요 작자와 만품 : 은일 가사인 정극인의 <상춘곡>, 송순의 <면앙정가>, 유배 가사인 조위의 <만분가>, 기행 가사인 정철의 <관동별곡>, 백광흥의 <관서별곡>, 연군 가사인 정철의 <사미인곡>, <속미인곡>, 내방 가사인 허난설헌의 <규원가> 등
⑷ 한시와 언해시
① 한시는 문장의 표현 기교를 중시하는 사장파의 문학과 윤리 도덕을 중시하는 도학파의 문학으로 나뉘어 전개되었으며, 양반 사대부를 중심으로 다양하고도 활발하게 창작되었다.
② 언해시는 훈민정음창제를 계기로 한문으로만 전해 오던 수많은 문헌을 조정에서 직접 관장하여 번역하는 사업을 추진하면서 소개되었다.
가사의 특징
서정성 : 인간의 내면 심리나 정서, 자연에 안주하며 안빈낙도하는 생활 등을 노래함
서사성 : 기행 가사와 같이 이야기 구조를 가진 가사가 많음
교술성 : 객관적인 현실이나 실제로 존재하는 사물들에 대해 이야기를 서술해나감
두시언해
ㆍ중국 당나라 시인의 두보의 한시를 언해한 시집으로, 분류두공부시언해를 줄여서 부르는 말임
ㆍ초간본: 성종 때(1481년)
ㆍ중간본 : 인조 때(1632년)
ㆍ대표 작품 : 강촌, 귀안, 등고, 절구, 춘망, 등악양루, 춘야희우, 강남봉이구년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