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딸과 함께 읽는 소설 여행 3
4. 미스터 방(채만식) 줄거리
짚신장수의 아들 방삼복이는 삼십을 바라보도록 남의 집 머슴살이로 전전하던 사람으로 코삐뚤이라는 별명을 지니고 있었다. 그러다가 십여 년을 집을 떠나 일본, 중국 등지를 떠돌아다니기도 하다가 처자식 데리고 서울로 올라왔다. 서울에 와서는 남의 집 행랑방을 얻어 살면서, 처음 일년은 용산 있는 연합군 포로수용소엘 다니며 입에 풀칠을 하였고 다시 일 년은 구둣방에도 다니다가 신기료장수로 해방을 맞게 된다. 해방 직후의 혼란을 틈타 귀동냥으로 배운 토막 영어를 밑천 삼아 미군 장교의 신임을 얻어 통역을 맡게 된 뒤로 방삼복은 벼락출세를 하게 되고, 각종 이권에 개입하여 큰 돈도 챙기게 된다.
한편, 방삼복과 같은 고향의 백 주사는 아들 백봉선이 일제 강점기에 경찰이었던 덕택에 지주이자 고리 대금업자로 치부를 하였는데, 해방이 된 후 부자가 함께 군중들의 습격을 받아 봉변을 당하고서는 서울로 피신을 한다. 그러던 어느 날, 방삼복을 만난 백 주사는 그가 미군 장교의 통역 일을 한다는 걸 알자, 그 미군 장교의 도움으로 복수를 하고자 한다. 백 주사가 방삼복에게 청탁을 하자, 방삼복은 들어 주겠노라 장담하고 나서 양치질을 하고는 그 물을 노대 바깥으로 내뱉었는데, 마침 방삼복을 찾아오던 미군 장교가 그 양칫물을 뒤집어쓰고는 방삼복에게 욕을 하고 주먹질을 해 댄다.
핵심정리
- 갈래 : 단편 소설
- 배경 : 시간(광복 직후). 공간(서울)
- 성격 : 풍자적. 비판적. 해학적
-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 제재 : 광복 직후 사회 변화에 빠르게 적응하는 인물의 삶
- 주제 : 광복 직후 외세에 기대어 출세를 지향하는 세태 비판
등장 인물
- 방삼복 : 이 작품의 주인공으로, 신기료 장수를 하고 있는 보잘것없는 처지였으나 영어를 조금 할 줄 안다는 것에 힘입어 광복 직후 진주한 미군 장교의 통역으로 취직해 출세길에 오른다.
- 백 주사 : 전형적인 친일파로, 광복이 되어 군중들에게 봉변을 당하고 재산을 빼앗긴 뒤 피신해 있다가 방삼복을 찾아와 미군 장교의 도움으로 복수를 하고 일제 강점기에 누렸던 부(富)를 회복하고자 한다.
- S 소위 : 광복 직후 혼란한 우리 나라에 실제적인 영향력을 행사한 제3의 인물로, 방삼복을 출세의 길로 들어서게 하는 미군 장교이다.
이해와 감상
이 작품에서 풍자의 대상이 되는 인물은 주인공 미스터 방(방삼복)과 그에게 개인적인 복수를 청탁하기 위해 찾아온 백 주사 두 사람이다. 방삼복은 일제 강점기에 외국을 돌아다니기는 하였으나 신기료 장수를 하고 있은 보잘것없는 인물로, 영어를 조금 할 줄 안다는 것에 힘입어 광복 직후 진주한 미군 장교의 통역으로 취직해 출셋길에 오른다. 백 주사는 전형적인 친일파로 광복이 되어 군중들에게 봉변을 당하고 재산을 빼앗긴 뒤 피신해 있다가 방삼복을 찾아와 미군 장교의 도움으로 복수를 하고 일제 강점기에 누렸던 부를 회복하고자 한다. 지은이는 이 두 인물을 통해 외세(미국)에 빌붙어 출세를 도모하는 주인공과 같은 모리배들(온갖 수단 방법으로 제 이익만 꾀하는 사람이나 무리)과 친일로 치부했다가 다시 새로운 외세를 이용하여 그 부를 유지하고자 하는 백 주사와 같은 친일파들을 비판하고자 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주인공에게 찾아와 뇌물로 청탁을 하는 상류층들, 그러한 부조리를 용인하는 미군정 등이 이 작품의 풍자 및 비판의 대상이 되는데, 지은이는 이를 통해 광복 이후 우리 사회의 바람직한 사회상과 인간상을 역설적으로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