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흥남철수,파독광부,베트남전,이산가족 찾기 등 1950년대 부터 일어난 한국 근현대사를 이 땅의 아버지 덕수의 일생을 통해 조명한다.보수와 진보의 날 선 공방,혹평 속에 진보측이 주목하는 것은 '왜 민주화 운동과 혁명 등이 빠져졌냐'는 것이다.파독광부는 1960년대 내수 시장이 붕괴 되는 등 열악한 경제상황을 타개하려는 정책이다. 광부와 간호사를 해외로 보내 실업문제와 외화 부족현상을 극복하려 했고,2차 세계대전 이후 일손이 부족한 독일과 이해관계가 통했다는 것이다.신파주의라느니 휴머니즘 차원의 감동적 영화라느니 분분하지만 감독은 그냥 대중적인 영화로 평가되길 바란다.
눈보라 치는 흥남부두에서의 약속.아버지와의 마지막 결의."이 애비가 없으면 네가 어머니를 돕고 집안의 가장이 되어라"그 말은 평생 덕수를 책임으로 살게한다.하고 싶은 것도 많지만,되고 싶은 것도 많지만 자신이 아니라 가족을 위해 살아가는 아버지들의 삶을 처절하게 반영한다.괜찮다,웃어보고 다행이다,눈물을 몰래 훔치는 가족의 희생양.고단한 인생살이가 시작된다."당신 인생인데 왜 그 안에 당신이 없냐구요"아내는 온갖 위험을 향해 사지로 떠나는 덕수를 만류한다. 어린시절 구두닦이를 하다 한국 경제사회의 큰 인물인 정주영 회장을 만나는데 '시련은 있어도 실패는 없다'는 명언을 듣게되고, 디자이너 앙드레 김의 등장,베트남전에서의 기술자로 파견됐을 때 남진 병사를 {유노윤호 연기}만나 도움을 받게 되거나 고깃집에서 만나게 된 씨름 선수들을 보며{이만기}"니그들 잘 처먹는다고 다 선수 되는게 아이라,기술이 있어야제"..여러 사건들 속에 유명인사들이 등장하는 코믹함이 웃게 만든다.웃고 울고..내 옆의 할머니들도 우시더라.라미란의 능청스런 연기,평소 비정하게 보이던 오달수의 인상에서 오는 거부감이 이 영화로 인해 조금은 해소된 듯하고..알 수 없는 인간적인 여유가 풍겨오는 것이다.
광부들을 지하로 내려보내며 하는 말,"살아서 봅시다"..목숨과도 바꾸는 처절함을 안고 지하로 지하로 향했을 할아버지 아버지 세대의 힘들었던 배경,가족등를 위해 고단한 삶을 서슴치 않았던 장면들을 보며 눈물이 흐른다.고단한 세월을 살았던 할아버지 할머니 두 사람은 부산 바다가 보이는 집 위 옥상에 앉아 지난 날을 회상한다."난 선장이 되고 싶었어"..어디선가 나비가 그들 옆으로 홀연 날아드는데 많이 본 장면이다. 영화 '포레스트 검프'마지막 장면, 아이를 학교차에 태워 보내고 쓸쓸히 일어나 집으로 향하는데 어디선가 흰 깃털이 주인공 주변을 맴돌다 하늘로 높게 날아오른다. 실제 그 영화에서도 포레스트 검프의 일생 속에 굵직한 미국의 역사들이 접목된다.'국제시장' 참 따뜻한 영화다.너덜해진 가난,전쟁의 비극을 용기로 헤쳐나가는 삶들이 배어있다.'너도 나도 어려웠던 시기'라고 .시대는 다르지만 '아버지'를 생각하게 하고 역시 아버지는 위대하다는 것을..희미한 공간 속 아버지와의 재회,과거와 현재를 넘나드는 화면 속에서 덕수는 아버지에게 '난 책임을 다했노라고"..위안을 받으며,그리고 '사는게 진짜 힘들었어예'..품에 안긴다.그들 사는 일은 너무나 힘들었고 고달프고 씨익 아픔을 감추며 웃는 그 웃음엔 연민이 어린다.영화는 재미있었다.어느 해 부산에 갔을 때,태종대 영도다리 국제시장,자갈치시장,해운대 광안리 야경등을 돌아본 일도 새삼 기억이 난다.
첫댓글 어눌하고 느끼한 발음으로'판타스틱'을 외치는 앙드레 김의 연기,광주 출신 유노윤호의 남진 흉내..웃음을 자아냅니다.전라도 사투리가 결코 어색하지 않을 본토 발음이려니..실제로 남진은 베트남에 파병되었다하고..덕수가 LA로 입양된 잃어버린 동생을 찾는 장면에선 너무 리얼해서 기가 막힐 정도의 감탄을 맛보아요."어릴 적 한국 이름은 몰라요.."절규하는 여인의 연기력..어쩌면 그리 자연스러운지.완전 명품 조연의 반열에 분명 등극하리라..확신합니다.'시장'은 살아가는 서민들의 애환이 어립니다.힘들고 어려운 역경을 헤쳐가는 이야기,리얼한 색채가 때론 유치해 보일수도 있지만 재미있는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