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뚜라미 - 나희덕, 해석 / 해석 / 분석 / 정리
현실에서 소외되어 있지만 나를 억압하는 힘든 현실을 견뎌내며
언젠가 자신의 마음을 모두에게 전달하고 싶은 마음은 모두가 가지고 있을 것입니다.
이번에 다룰 시 '귀뚜라미'에서 시인은 귀뚜라미를 시적 화자로 의인화하여 이러한 의미를 드러냅니다.
귀뚜라미와 대조되는 현실을 드러내는 시어 및 귀뚜라미의 마음의 변화에 주목하여
시를 감상한 후 해석을 읽도록 합시다:)
높은 가지를 흔드는 매미 소리에 묻혀
내 울음 아직은 노래 아니다.
차가운 바닥 위에 토하는 울음,
풀잎 없고 이슬 한 방울 내리지 않는
지하도 콘크리트 벽 좁은 틈에서
숨 막힐 듯, 그러나 나 여기 살아 있다
귀뚜르르 뚜르르 보내는 타전* 소리가
누구의 마음 하나 울릴 수 있을까.
지금은 매미 떼가 하늘을 찌르는 시절
그 소리 걷히고 맑은 가을이
어린 풀숲 위에 내려와 뒤척이기도 하고
계단을 타고 이 땅 밑까지 내려오는 날
발길에 눌려 우는 내 울음도
누군가의 가슴에 실려 가는 노래일 수 있을까.
-나희덕,「귀뚜라미」
*타전(打電) : 전보나 무전을 침.
시는 처음부터 부정적 현실을 보여주며 시작합니다.
귀뚜라미의 소리가 들리지 않도록 방해하는 매미울음 이 한창인 여름은 귀뚜라미에게 부정적 현실이죠.
그 속에서 아직 노래가 아닌 귀뚜라미의 울음이 대조됩니다.
2연에서는
귀뚜라미가 처한 부정적 현실이 촉각적 이미지과 함께 제시되는데
차갑고 생명력이 없는 상황에서도 귀뚜라미는 살아가고 있으며
아직은 자신의 울임이 누군가의 마음을 울릴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을 가지고있습니다.
3연에서
이러한 화자의 마음이 변하는데요.
지금은 매미 떼가 하늘을 찌르는 시절이지만 그 소리가 걷히고 가을이 오면
자신의 울음이 다른 누군가의 가슴에 실려가는 노래가 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와 소망을 드러냅니다.
이렇게 이 시는 귀뚜라미를 의인화해 '소외된 존재와의 공감과 소통에 대한 기대와 의지'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시인은 이를 강조하기 위해서
1. 대조법을 사용하여 시인이 나타내고자 하는 바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2. 다양한 감각적 이미지를 통해 시적 상황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3. 의문형 진술의 반복과 의미변화로 화자의 심리변화를 드러내며 이에 따라 주제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그럼 전문해석을 통해 학습을 마무리해보도록 합시다:)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시와 소설 수능국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