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심으로 돌아갑시다 (2597) ///////
2002년 전남일보 신춘문예 / 박성민
어느 시인의 죽음 / 박성민
1
변두리 허름한 헌책방
먼지를 푹 뒤집어 쓴
시집 한권 툭툭 털며 읽는다
여성지와 중학교 문제집 사이에 꽂혀있는
시인 박정만
〈그대에게 가는 길〉 유고시집
기필코 한 주먹만 더 살아야겠다던
시인의 시집
靈肉을 짜내 쓴 시인의 피울음이
곰팡이로 앉아 있는 시집 속
시인의 눈은 눈물겹게도
하늘을 응시하고 있었다
헌책방 나와 낮술 마시며
시인이 응시하던 하늘을 보았다
타다 남은 연탄 같은 여름 해 아래
질식할 것 같은
어떤 삶의 원형을
2
죽음이란 결국 무엇인가
밀려 떨어지는 톱밥처럼 우울하게
이 땅에서 시인의 죽음은
이래도 되는 것일까
정육점 쇠꼬챙이에 걸린
고기 덩어리 같은
아아, 시의 살과 피
3
짙은, 먹빛으로, 빠르게, 번지는, 구름떼
불현듯, 쏟아지는
장대비 (아아, 저 쇠창살, 쇠창살)
당선소감
20대의 시기에 시는 저의 전부였고 삶의 버팀목이었습니다.
한 줄의 시구로 고민하고 날을 지새우며 쓰고 또 쓰고,
신춘문예에 응모하여 그 때마다 쓰라린 잔을 마셨습니다.
납으로 만든 날개를 달고 태양근처까지 간 이카루스가 녹아버린 납덩이 때문에 추락하듯이,
항상 부풀었던 꿈은 이내 녹아 내렸고 추락은 저의 몫이었습니다.
한동안은 시와 전혀 관련 없는 일에 6년여를 매달리기도 했고 시 쓰는 일을 잊고자 노력하기도 했지만,
어느 날 문득 눈 떠보니 거울 속에 아무런 의미도 갖지 못한 얼굴 하나가 저를 보고 있었습니다.
20대 때의 열정과 패기가 다 사라진, 살아가는 것이 아니고 살아져 가고 있는,
거울 속 사내가 저라는 사실을 문득 깨달았습니다.
다시 펜을 잡고 글을 쓰기 시작했습니다.
인간은 돼지가 아니어서 불행하다는 李箱의 말처럼…. 먼 길을 돌아 왔지만 다
시 돌아온 이 길을 이젠 곁눈질하지 않고 똑바로 갈렵니다.
저로 인하여 상처 받았을 분들께 죄송스러운 마음입니다.
창 밖을 보니 불 밝힌 가로등 주변으로 모여드는 눈이 아름답습니다.
그러나 더 많은 눈들은 쓸쓸히 어둠 속에서 흩날리고 있음을 잘 압니다.
가로등 바깥, 어둠 속에서 쓸쓸히 내리는 눈 같은 저의 부끄러운 시를 읽어주신
전남일보사와 심사위원님께 고개 숙여 감사 드립니다.
이제부터라는 생각으로 더욱 열심히 쓰겠습니다.
저의 정신적 지주이신 아버님과 대학시절 제 시의 토양을 내려 주신 허형만 시인님께 감사드립니다.
광기에 가까운 열정으로 시를 썼던 풀잎문학 식구들과 작가회의의 고마운 분들 이름이 떠오릅니다.
제 몸 태우지 않고는 익지 못하는 군고구마처럼 좋은 시를 쓰기 위해 뜨겁게 익어가렵니다.
심사평
본심에 올라온 14편 중 최종까지 관심을 끌었던 작품은
`황야에서 정거'
`어느 시인의 죽음',
`햇살, 종합병원 62병동' 등 3편이었다.
심사 관점은
시는 첫째 무엇보다 정서 반응의 언어고, 지극히 사적이고 고백적인 언어란 점,
둘째는 이에 따른 언어 미학의 성취도,
셋째는 한 시대를 관통하고 있는 시인의 정체성(정신)이 어디에 있는가 하는 점,
넷째는 따뜻한 구원의식을 지니고 있는가 하는 관점이었다.
`황야에서 정거'는
시적 상황과 응축, 묘사 기법에 개성이 돋보였으며,
`햇살, 종합병원 62병동'은
비록 서툴고 산만한 언어의 조탁 능력에도 불구하고 자기 구원의식이 충만한 따뜻한 작품이었다.
`어느 시인의 죽음'은
`황야에서 정거'가 놓치고 있는 자기 정체성의 확인,
그리고 `햇살, 종합병원 62병동'이 놓치고 있는 언어의 조탁 능력 등이 동시에 극복되었다는 점에서
당선작으로 밀었다.
`죽음이란 결국 무엇인가'라는 유통 언어의 상투적 시행이 거슬렸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적 긴장미가 시종일관 팽팽하게 유지되고 있어
감동적 체험이 뒷받침 되었다는 점도 밝혀둔다.
더욱 정진하기 바라며 당선을 축하한다.
송수권 시인, 순천대 객원교수
----------
이 시는 박성민 시인의 "어느 시인의 죽음"이라는 작품이군요.
시인의 죽음을 통해 삶과 죽음,
그리고 예술의 본질에 대해 깊이 생각하게 만드는 작품입니다.
시 속에서 헌책방에서 발견한 시집과 시인의 삶을 회상하며,
시인의 죽음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묘사하고 있습니다.
특히,
시인의 죽음을 정육점의 고기 덩어리에 비유하거나,
장대비와 쇠창살로 표현한 부분이 인상적입니다.
이러한 비유는 시인의 고통과 예술적 열망을 강렬하게 전달합니다.
당신
보낸 사람 당신:
1 변두리 허름한 헌책방 먼지를 푹 뒤집어 쓴 시집 한권 툭툭 털며 읽는다 여성지와 중학교 문제집 사이에 꽂혀있는 시인 박정만 〈그대에게 가는 길〉 유고시집 기필코 한 주먹만 더 살아야겠다던 시인의 시집 靈肉을 짜내 쓴 시인의 피울음이 곰팡이로 앉아 있는 시집 속 시인의 눈은 눈물겹게도 하늘을 응시하고 있었다 헌책방 나와 낮술 마시며 시인이 응시하던 하늘을 보았다 타다 남은 연탄 같은 여름 해 아래 질식할 것 같은 어떤 삶의 원형을
Copilot
웹사용
보낸 사람 Copilot:
이 부분은 시의 첫 번째 연으로,
변두리의 허름한 헌책방에서 먼지가 쌓인 시집을 발견하는 장면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시인은 박정만의 유고시집을 발견하고, 그 시집 속에 담긴 시인의 고통과 열망을 느끼며,
시인의 눈이 하늘을 응시하고 있는 모습을 상상합니다.
헌책방을 나와 낮술을 마시며 시인이 바라보던 하늘을 보며,
삶의 고통과 원형을 떠올리는 장면이 인상적입니다.
당신
보낸 사람 당신:
2 죽음이란 결국 무엇인가 밀려 떨어지는 톱밥처럼 우울하게 이 땅에서 시인의 죽음은 이래도 되는 것일까 정육점 쇠꼬챙이에 걸린 고기 덩어리 같은 아아, 시의 살과 피
Copilot
웹사용
보낸 사람 Copilot:
이 부분은 시의 두 번째 연으로,
죽음의 본질에 대해 깊이 고민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시인은 죽음을 밀려 떨어지는 톱밥에 비유하며,
시인의 죽음이 이렇게 우울하고 비참하게 끝나도 되는지 의문을 제기합니다.
또한, 시인의 죽음을 정육점의 쇠꼬챙이에 걸린 고기 덩어리에 비유하여,
시인의 고통과 희생을 강렬하게 표현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