放 蟬 賦
李奎報
彼黠者蛛는 厥類繁滋로다
孰賦爾以機巧하여 養丸腹於網絲아
有蟬見絓한데 其聲最悲라
我不忍聞하여 放之使飛하니
傍有人兮誰氏子ㅣ 仍詰予以致辭를
惟玆二物은 等蟲之微니
蛛於子何損이며 蟬於子何裨아
저 교활한 거미 그 족속이 번성하네.
누가 네게 기교를 주었길래, 그물 실로 둥근 배를 채웠는고?
매미가 그 그물에 걸렸는데, 그 소리 너무도 처량하도다.
내가 차마 듣다 못하여, 풀어놓아 날아가게 하니,
곁에 있던 어떤 사람이 나에게 힐난하여 말하기를
저 두 동물은 똑같이 작은 벌레이니,
거미는 그대에게 무슨 損害를 끼치며,
매미는 그대에게 무슨 이익이 되는가?
惟蟬之活이면 乃蛛之飢하여
此雖德君이나 彼必寃之니
孰謂子智아 胡放此爲아
매미를 살려주면, 거미는 굶주려서
매미는 비록 고마워하겠지만 거미는 반드시 원망할 것이니,
누가 그대를 지혜롭다 하겠는가? 어찌 이를 놓아주는가?
予初矉額而不答이라가 俄吐一言以釋疑라
蛛之性貪이요 蟬之質淸이라
規飽之意는 難盈이나 吸露之膓은 何營가
以貪汚而逼淸하니 所不忍於吾情이라
내가 처음에 이마를 찡그리고 대답하지 않다가,
갑자기 한마디 말로 의심을 풀어주기를
거미는 성질이 탐하고, 매미는 바탕이 맑을세라.
배부르려는 욕심은 채워지기 어려우나,
이슬 먹는 창자야 무슨 경영 있을 건가?
욕심 많고 더러운 짓을 하며 맑은 놈을 핍박하니,
내 차마 그냥 둘 수 없었네.
何吐緖之至纖하여 雖離婁라도 猶不容晴이온
矧玆蟲之不慧는 豈覘視之能精가
將飛過而忽罥하여 趐拍拍以愈嬰이라
거미의 뱉은 줄이 어찌나 가는지,
비록 이루라도 보기 어려울 것인데,
하물며 눈치 없는 저 매미가 어찌 자세히 보았을까?
날아 지나려다 문득 걸려, 날개를 파닥거리니 더욱 얽히누나!
* 이루(離婁) : 옛날 눈 밝은 사람의 이름으로 황제(黃帝) 때 사람인데, 백보(百步) 밖의 가을털[秋毫] 끝을 보았다 한다.
* 견(罥): 얽을 견.
* 박박(拍拍): 파닥거리다.
彼營營之靑蠅은 紛逐臭而慕腥하고
蝶貪芳以輕狂하며 隨風上下以不停하니
雖見罹而何尤아 原厥咎本乎有求라
저 윙윙거리는 쉬파리는
어지러이 냄새 좇으며 비린내를 좋아하고,
나비는 꽃을 탐해 경박하게
바람 좇아 너풀거리며 쉬지 않으니,
비록 걸린들 뉘를 탓하랴! 본시 제 욕심 때문인데.
* 영영(營營): 세력(勢力)이나 이익(利益) 등(等)을 얻으려고 골똘함. 또는 그 꼴. 윙윙.
獨汝는 與物而無競이온 胡爲遭此拘囚아
解爾之纏縛하고 囑汝以綢繆하니
遡喬林而好去하여 擇美蔭之淸幽하되
移不可屢兮어다
그러나 유독 너는 워낙 남과 다툼 없는데,
어찌 이런 결박을 당한단 말인가!
내가 이제 네 얽힌 것 풀어주고, 네게 간절히 부탁하노니
높은 숲으로 훨훨 가서, 맑은 그늘을 골라 살되
자주 옮지 말지어다.
* 주무(綢繆): 미리미리 빈틈 없이 자세(仔細)하게 준비(準備)함.
有此網蟲之窺窬하니 居不可久兮라
螗蜋在後以爾謀하니 愼爾去就하라
然後無尤하리라 <東文選 卷之1>
그물 친 벌레 엿보거니, 한 곳에 오래있지 말지어다.
말똥구리 뒤에서 꾀하거니, 네 거취를 삼가하라.
그래야 실수 없으리라.
* 규유(窺窬): 틈을 엿봄.
* 螗蜋在後以爾謀: 오(吳)ㆍ초(楚) 싸움에 오왕을 간한 어린애가 비유한 얘기인데, 말똥구리가 매미를 잡아먹으려 뒤에서 엿보는데 매미는 모르고, 말똥구리는 몸을 숨겨 찰싹 붙어 매미를 잡으려 하되 참새가 그 옆에 있음을 모르며, 참새는 목을 늘여 말똥구리를 쪼으려 하되 저를 겨눈 탄환이 그 밑에 있는 줄을 모른다. 《설원(說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