햇빛을 분광기로 관찰하면 연속스펙트럼으로 보인다고 흔히들 말씀하십니다.
그런데 햇빛을 관측하면 대양의 대기와 빛이 지구로 들어오면서 대기를 지나치게되어 흡수선이 생기게 된다고 알고있습니다.
그렇다면 태양 자체가 내는 빛은 연속 스펙트럼을 띠지만,
이 태양빛이 태양의 대기를 통과하고 지구의 대기를 통과하면서 우리눈으로 들어오게 되는 과정에서
빛이 대기를 통과해 흡수선이 생기게 되기때문에 지구에서 관측자가 태양 빛을 관측할 때에는 연속스펙트럼이 아닌 흡수 스펙트럼을 관측하게 되는건가요?
그렇다면 대기를 통과해서 지나오는 빛인 햇빛은 흡수가아닌 연속스펙트럼을 보인다고 말하는거죠??
제가 말한 내용과 논리가 맞는지 궁금합니다 ㅠㅡㅠ 학생들에게 설명해줘야하는 부분이라 제가 오개념을 갖고있지 않을까하는 불안한 맘에 글 올려요 ㅠㅠ
첫댓글 태양같은것을 흑체에 가깝다고 가정을해요
1. 흑체는 흡수한만큼 모든에너지를 방출해서 복사평형을이루고있어요
2. 흑체는 연속스펙트럼을 방출합니다. 전 파장대에 걸쳐서 에너지를 방출함을말해요
3. 대기중의 매질을 봤을때 이런애들이 흡수를하면 흡수당한부분의 스펙트럼이 지워지고 이렇게 흡수파장을 볼수있는걸 흡수스펙트럼이라고해요
4. 태양은 연속스펙트럼을 방출하는 흑체에 가까우며 태양대기나 지구대기에있는 매질에의해 흡수선이 나타나며 이런 흡수된 파장을 확인하여 매질을 유추할 수 있는 걸 흡수스펙트럼이라거해요~
그냥 연속스펙으럼위에 지워지면 그게 흡수스펙으럼이에요~
엄밀히 말하면 흡수지만 보통은 연속스펙트럼이라고 말하죠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