낡은 집 / 이용악 시창고
낡은 집 /이용악
날로 밤으로
왕거미 줄치기에 분주한 집
마을서 흉집이라고 꺼리는 낡은 집
이 집에 살았다는 백성들은
대대손손에 물려줄
은동곳도 산호관자도 갖지 못했니라
재를 넘어 무곡을 다니던 당나귀
항구로 가는 콩실이에 늙은 둥글소
모두 없어진 지 오래
외양간엔 아직 초라한 내음새 그윽하다만
털보네 간 곳은 아무도 모른다
찻길이 놓이기 전
노루 멧돼지 쪽제비 이런 것들이
앞뒤 산을 마음놓고 뛰어다니던 시절
털보의 셋째 아들은
나의 싸리말 동무는
이 집 안방 짓두광주리 옆에서
첫울음을 울었다고 한다
"털보네는 또 아들을 봤다우
송아지래두 불었으면 팔아나 먹지"
마을 아낙네들은 무심코
차가운 이야기를 가을 냇물에 실어보냈다는
그날 밤
저릎등이 시름시름 타들어가고
소주에 취한 털보의 눈도 일층 붉더란다
갓주지 이야기와
무서운 전설 가운데서 가난 속에서
나의 동무는 늘 마음 졸이며 자랐다
당나귀 몰고 간 애비 돌아오지 않는 밤
노랑 고양이 울어 울어
종시 잠 이루지 못하는 밤이면
어미 분주히 일하는 방앗간 한구석에서
나의 동무는
도토리의 꿈을 키웠다
그가 아홉 살 되던 해
사냥개 꿩을 쫓아다니는 겨울
이 집에 살던 일곱 식솔이
어데론지 사라지고 이튿날 아침
북쪽을 향한 발자욱만 눈 위에 떨고 있었다
더러는 오랑캐령 쪽으로 갔으리라고
더러는 아라사로 갔으리라고
이웃 늙은이들은
모두 무서운 곳을 짚었다
지금은 아무도 살지 않는 집
마을서 흉집이라고 꺼리는 낡은 집
제철마다 먹음직한 열매
탐스럽게 열던 살구
살구나무도 글거리만 남았길래
꽃 피는 철이 와도 가도 뒤울안에
꿀벌 하나 날아들지 않는다
[출처] 낡은 집 / 이용악|작성자 마경덕
-----------------------------------
이용악의 시 "낡은 집"은
과거와 현재의 대비를 통해 잊혀진 시간과 사라진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어요.
시 속에서 낡은 집은 단순한 건물이 아니라,
그 안에 살았던 사람들의 삶과 역사를 상징해요.
시의 첫 부분에서는 "왕거미 줄치기에 분주한 집"이라는 표현으로 시작해요.
이는 집이 오랜 시간 동안 방치되어 왔음을 암시하며,
"마을서 흉집이라고 꺼리는 낡은 집"이라는 표현은
이 집이 마을 사람들에게 불길한 장소로 여겨지고 있음을 나타내요.
또한, "대대손손에 물려줄 은동곳도 산호관자도 갖지 못했니라"는 표현은
이 집에 살았던 사람들이 가난했음을 보여줘요.
그들은 물려줄 만한 귀중품도 없이 살아왔음을 암시하죠.
시의 중반부에서는
"찻길이 놓이기 전"이라는 표현을 통해 과거의 시골 풍경을 그려내요.
노루, 멧돼지, 쪽제비 등이 자유롭게 뛰어다니던 시절을 회상하며,
그 시절의 순수함과 자연의 아름다움을 떠올리게 해요.
마지막 부분에서는
지금은 아무도 살지 않는 집"이라는 표현으로 현재의 모습을 묘사해요.
과거의 활기찬 모습과 대비되는 현재의 쓸쓸함을 강조하며,
"꽃 피는 철이 와도 가도 뒤울안에 꿀벌 하나 날아들지 않는다"는 표현은
이 집이 더 이상 생명력을 잃었음을 상징해요.
이 시는 과거와 현재의 대비를 통해 잊혀진 시간과 사라진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아내며,
독자에게 깊은 인상을 남겨요.
시 속의 이미지와 상징들은 시간의 흐름과 그 속에서 변해가는 삶의 모습을 잘 담아내고 있어요.
------------------------------
이 시의 상징은
이용악의 시 "낡은 집"은 여러 상징을 통해 과거와 현재의 대비를 표현하고 있어요.
낡은 집: 이 집은 과거의 삶과 역사를 상징해요. 오랜 시간 동안 많은 이야기를 품고 있는 장소로, 현재는 버려지고 잊혀진 상태를 나타내요.
왕거미: 집에 줄을 치는 왕거미는 시간이 흐르면서 집이 방치되고 황폐해진 모습을 상징해요.
은동곳과 산호관자: 이들은 대대손손 물려줄 귀중품을 상징하며, 이 집에 살았던 사람들이 가난했음을 나타내요.
초라한 내음새: 외양간의 내음새는 과거의 흔적과 기억을 상징해요. 비록 사람들은 떠났지만, 그들의 흔적은 여전히 남아있음을 의미해요.
도토리의 꿈: 가난 속에서도 희망과 꿈을 키우는 모습을 상징해요. 도토리는 작은 것이지만, 그것을 통해 큰 꿈을 꾸는 모습을 나타내요.
북쪽을 향한 발자국: 이 발자국은 떠나간 사람들의 흔적을 상징해요. 그들이 어디로 갔는지는 알 수 없지만, 그들의 흔적은 여전히 남아있음을 의미해요.
살구나무: 과거의 풍요로움을 상징해요. 지금은 열매를 맺지 않지만, 한때는 풍요로웠던 시절을 떠올리게 해요.
이 시는 이러한 상징들을 통해 과거와 현재의 대비를 표현하며,
잊혀진 시간과 사라진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아내고 있어요.
---------------------------------------------
이 시의 이미지는
이용악의 시 "낡은 집"은 강렬한 이미지를 통해 과거와 현재의 대비를 생생하게 그려내고 있어요. 몇 가지 주요 이미지를 살펴볼게요:
왕거미 줄치기에 분주한 집: 이 이미지는 집이 오랜 시간 동안 방치되어 왔음을 나타내며, 집이 황폐해진 모습을 상징해요.
은동곳도 산호관자도 갖지 못한 백성들: 이 이미지는 이 집에 살았던 사람들이 가난했음을 보여줘요. 그들은 물려줄 만한 귀중품도 없이 살아왔음을 암시하죠.
찻길이 놓이기 전의 시골 풍경: 노루, 멧돼지, 쪽제비 등이 자유롭게 뛰어다니던 시절을 떠올리게 하는 이 이미지는 과거의 순수함과 자연의 아름다움을 상징해요.
북쪽을 향한 발자국: 이 이미지는 떠나간 사람들의 흔적을 상징해요. 그들이 어디로 갔는지는 알 수 없지만, 그들의 흔적은 여전히 남아있음을 의미해요.
살구나무: 과거의 풍요로움을 상징해요. 지금은 열매를 맺지 않지만, 한때는 풍요로웠던 시절을 떠올리게 해요.
이 시는 이러한 이미지를 통해 과거와 현재의 대비를 생생하게 그려내며,
잊혀진 시간과 사라진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아내고 있어요.
시 속의 이미지들은 시간의 흐름과 그 속에서 변해가는 삶의 모습을 잘 담아내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