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교생실습으로 판구조론에 대한 탐구활동을 설계하고 있습니다.
학습자료를 해석하는 탐구 활동을 계획중인데요,
설명을 어떻게 해야할 지 난해한 부분이 있어 질문을 올립니다.
탐구활동: 화산(지진)분포도를 보고 판의 경계를 추론하기
1. 밑의 그림에서 빨간색의 삼각형은 화산 분포를 나타냅니다.
그런데 대서양 중앙해령과 같은 발산형 경계에서는 화산활동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나는데요
발산형 경계에서는 맨틀대류가 상승하게 되어 화산활동이 활발하다고 가르치는데
왜 대부분의 화산분포도에서의 자료는 해령에서 화산활동을 표시하지 않는 건가요?

2. 동아프리카 열곡대는 아프리카 판 내부에서 일어나는 발산형 경계인건가요?
제가 이해할 때는 아프리카 판도 더욱 세부적인 판으로 나눌 수 있어서
그 세부적인 판들이 맨틀대류에 의해 발산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제가 옳게 생각하고 있는 것 인가요?
3. 수렴형 경계 중 대륙판과 대륙판이 충돌하는 곳에서 화산활동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을까요?
교육과정에서 대륙판과 대륙판이 충돌하게 되면 습곡산맥이 형성되고 화산활동은 거의 없다고 가르치는데요
이것은 (1) 대륙판이 밀도가 낮아 깊게 섭입하지 못하므로 암석권이 부분용융 되기 힘들고
(2) 강한 횡압력으로 인한 두꺼운 습곡산맥 때문에 화산분출(활동)이 일어나기 힘들 것이다.
따라서 화산활동이 일어날 가능성이 매우 낮다고 설명해도 괜찮을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물화생지 여러분들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오늘 하루도 수고하셨고, 좋은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삭제된 댓글 입니다.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제가 깊게 생각해봤는데 구글링으로 구한 화산분포도의 대부분은 해령에서 화산활동 표시가 없더라구요. 아마 해수면 위로 분출된 화산활동만 표시한게 아닌가 싶습니다.
2. 아프리카판 서쪽은 누비아판, 동쪽은 소말리판이네여~~ 그 사이에 아프리카열곡대가 존재하니까 맨틀대류가 상승하고 있다고 볼수 있으니까 맞아요~~ 이제 시간이 지날 수록 열곡대 위로 바다가 채워질거고요!!
3. 가능성이야 있죠!! 화산활동이 거의 없는거지 아예 없진 않죠. 학생들한테 가르치실때 말씀대로 화산활동이 일어날 가능성이 매우 낮다,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고 설명하시는게 맞아용 ㅎㅎ
헬륨섬광님 친절한 설명 감사합니다. ^^ 선생님 덕분에 더 자신있게 설명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