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배전단을 보고 /윤성택
수배전단을 보고 /윤성택 귀갓길에 현상수배 벽보를 보았다 얼마나 많은 곳에 그의 자유를 알려야 하는지 붉은 글씨로 잘못 든 生의 내력이 적혀 있다 어쩌다 저리 유명해진 삶을 지켜 봐달라는 것일까 어떤 부릅뜬 눈은 생경한 이곳의 나를 노려보기도 한다 어쩌면 나도 이름 석자로 수배중이다 납부 마감일로 독촉되는 고지서로 열자리 숫자로 배포된 전화번호로 포위망을 좁혀오는지도 모른다 칸 속의 얼굴은 하나 둘 붉은 동그라미로 검거되어 가는데, 나를 수배한 것들은 어디서 잠복중일까 무덤으로 연행되는 남은 날들, 그 어딘가 잡히지 않는 희망을 일망타진할 때까지 나는 매일 은신처로 귀가하는 것이다.
[출처] 수배전단을 보고 / 윤성택 |작성자 마경덕
------------------------------------------
윤성택 시인의 "수배전단을 보고"는 현대 사회에서의 불안과 압박을 주제로 한 작품입니다.
이 시는 일상 속에서 느끼는 불안과 압박을 수배전단이라는 상징적인 이미지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주요 수사법
은유(Metaphor) : "이름 석자로 수배중이다"와 같은 구절에서, 자신의 존재가 수배된 것처럼 느끼는 불안을 은유적으로 표현합니다.
직유(Simile) : "납부 마감일로 독촉되는 고지서로"와 같은 표현에서, 고지서의 독촉을 통해 압박감을 직유로 나타냅니다.
의인화(Personification) : "어떤 부릅뜬 눈은 생경한 이곳의 나를 노려보기도 한다"와 같은 구절에서, 눈을 인간처럼 묘사하여 감정적인 분위기를 조성합니다.
반복(Repetition) : "어쩌면 나도"와 같은 반복적인 표현을 통해 감정의 강도를 높입니다.
대조(Contrast) : "무덤으로 연행되는 남은 날들"과 "잡히지 않는 희망"의 대조를 통해 긴장감을 조성합니다.
이러한 수사법들은 시의 감정과 분위기를 더욱 풍부하게 만들어 줍니다.
----------------------------------
상징은
윤성택 시인의 "수배전단을 보고"는 다양한 상징을 통해 현대 사회에서의 불안과 압박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이 시에서 사용된 주요 상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수배전단 : 현대 사회에서의 불안과 압박을 상징합니다. 수배전단은 범죄자를 찾기 위한 도구이지만, 시인은 이를 통해 자신의 존재가 감시되고 있다는 불안을 표현합니다.
붉은 글씨 : 잘못된 삶의 내력을 상징합니다. 붉은 글씨는 경고와 위험을 나타내며, 시인의 불안한 마음을 드러냅니다.
고지서 : 경제적 압박과 사회적 책임을 상징합니다. 고지서는 납부 마감일로 독촉되며, 시인은 이를 통해 자신의 삶이 포위되고 있다는 느낌을 받습니다.
무덤 : 죽음과 종말을 상징합니다. 시인은 무덤으로 연행되는 남은 날들을 통해 자신의 삶이 끝을 향해 가고 있음을 표현합니다.
희망 : 잡히지 않는 희망은 시인이 끊임없이 추구하는 목표를 상징합니다. 시인은 매일 은신처로 귀가하며, 희망을 일망타진할 때까지 살아갑니다.
이러한 상징들은 시의 주제와 감정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어 주며, 독자에게 깊은 인상을 남깁니다.
----------------------------
단어들은
윤성택 시인의 "수배전단을 보고"에서 사용된 단어들은 시의 분위기와 주제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시에서 사용된 몇 가지 주요 단어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수배전단 : 현대 사회에서의 불안과 압박을 상징합니다.
붉은 글씨 : 잘못된 삶의 내력을 상징하며, 경고와 위험을 나타냅니다.
고지서 : 경제적 압박과 사회적 책임을 상징합니다.
무덤 : 죽음과 종말을 상징합니다.
희망 : 잡히지 않는 희망은 시인이 끊임없이 추구하는 목표를 상징합니다.
이러한 단어들은 시의 주제와 감정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어 주며, 독자에게 깊은 인상을 남깁니다.
----------------------------------------
진술부분과 비유부분은
윤성택 시인의 "수배전단을 보고"에서 진술 부분과 비유 부분을 구분해보겠습니다.
진술 부분
진술 부분은 시인이 직접적으로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표현하는 부분입니다. 예를 들어:
"귀갓길에 현상수배 벽보를 보았다"
"어쩌면 나도 이름 석자로 수배중이다"
비유 부분
비유 부분은 시인이 어떤 대상을 다른 대상에 빗대어 표현하는 부분입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구분을 통해 시의 구조와 표현 방식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시작법은
윤성택 시인의 "수배전단을 보고"는 다양한 시작법을 통해 독자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깁니다.
이 시에서 사용된 주요 시작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은유(Metaphor) : "이름 석자로 수배중이다"와 같은 구절에서, 자신의 존재가 수배된 것처럼 느끼는 불안을 은유적으로 표현합니다.
직유(Simile) : "납부 마감일로 독촉되는 고지서로"와 같은 표현에서, 고지서의 독촉을 통해 압박감을 직유로 나타냅니다.
의인화(Personification) : "어떤 부릅뜬 눈은 생경한 이곳의 나를 노려보기도 한다"와 같은 구절에서, 눈을 인간처럼 묘사하여 감정적인 분위기를 조성합니다.
반복(Repetition) : "어쩌면 나도"와 같은 반복적인 표현을 통해 감정의 강도를 높입니다.
대조(Contrast) : "무덤으로 연행되는 남은 날들"과 "잡히지 않는 희망"의 대조를 통해 긴장감을 조성합니다.
이러한 시작법들은 시의 감정과 분위기를 더욱 풍부하게 만들어 줍니다.
----------------------------------------
주제는
윤성택 시인의 "수배전단을 보고"는 현대 사회에서의 불안과 압박을 주제로 한 작품입니다.
이 시는 일상 속에서 느끼는 불안과 압박을 수배전단이라는 상징적인 이미지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주제의 구체적인 설명
현대 사회의 불안 : 시인은 수배전단을 통해 자신의 존재가 감시되고 있다는 불안을 표현합니다. 이는 현대 사회에서 개인이 느끼는 불안과 압박을 상징합니다.
경제적 압박 : "납부 마감일로 독촉되는 고지서"와 같은 구절을 통해 경제적 압박과 사회적 책임을 강조합니다.
삶의 포위감 : 시인은 자신의 삶이 포위되고 있다는 느낌을 받으며, 이는 현대 사회에서 개인이 느끼는 압박감을 상징합니다.
희망의 추구 : "잡히지 않는 희망"은 시인이 끊임없이 추구하는 목표를 상징하며, 이는 현대 사회에서 개인이 느끼는 희망과 절망을 동시에 표현합니다.
이 시는 독자에게 현대 사회에서 느끼는 불안과 압박을 상징적인 이미지와 결합하여 전달하며,
독자가 자신의 감정을 성찰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카페 게시글
하지연 시인의 방
수배전단을 보고 /윤성택 해설
북마크
번역하기
공유하기
기능 더보기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