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 - 김소월, 해석 / 해설 / 분석 / 정리
내가 지금까지 잘 살아온 공간이지만 너무 큰 상처를 받아 너무나도 아픈 공간
VS
너무나 척박한 환경에 나 혼자남겨져 내 상처를 아는 사람이 없는 공간
여러분은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요? 이번에 다룰 시 '산'에서 화자는 위의 게임과 같은 상황에 처해 있습니다.
화자는 지금 '현실적 삶의 공간'과 '산수갑산'의 중간지점에 위치하고 있는데요.
화자가 이 중간 지점에서 산수갑산에 갔려다 돌아갔다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화자의 이러한 행동의 이유를 생각하며 시를 읽고 해석을 통해 학습해보도록 합시다.
산새도 오리나무
위에서 운다.
산새는 왜 우노, 시메 산골
영(嶺) 넘어갈라고 그래서 울지
눈은 나리네, 와서 덮이네.
오늘도 하룻길
칠팔십 리
돌아서서 육십 리는 가기도 했소.
불귀(不歸), 불귀, 다시 불귀,
삼수갑산에 다시 불귀.
사나이 속이라 잊으련만,
십오 년 정분을 못 잊겠네.
산에는 오는 눈, 들에는 녹는 눈.
산새도 오리나무
위에서 운다.
삼수갑산 가는 길은 고개의 길.
-김소월, 「산」
화자의 뒤에는 들이 있고 들 저쪽에는 떠나온 삶의 자리가 있습니다.
화자의 앞에는 고갯길이 놓여져 있고 그 고개 너머에는 산수갑산이 있습니다.
화자는 그 지점에서 머뭇거리고 있는 것이죠. 마음은 미련으로 자꾸만 뒤로 향하고,
가고자 하는 목적지(삼수갑산) 앞에는 고난의 고갯길이 가로놓여 있습니다.
삼수갑산은 사람의 터전이 아니라 적막한 자연인데,
이는 의지로 향하는 길이 아니라 어쩔 수 없이 가야 하는 지향점으로 화자는
떠나온 삶의 자리에서 사랑을 잃고 너무나 큰 상처를 받았기에 삼수갑산에 들어간 것입니다.
그러나 이 삼수갑산은 사람이 터전이 아닌 적막한 자연이여서 힘들고 거기에 떠나온 삶의 자리에 대한 그리움까지 겹쳐
삼수갑산을 나와 그 터전으로 돌아갑니다.
그러나 그 터전에 돌아가면 상처로 힘들 것을 알기에 다시 돌아가지 못하도 돌아서서
삼수갑산으로 돌아가려 하지만 삼수갑산 역시 힘들기에 머뭇거리고 있는 것이죠.
그래서 화자는 삼수갑산으로 향하다가 되돌아가기를 반복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해서 이 시는 '임을 만나지 못하는 정한과 비애'를 노래하고 있는데요.
이를 1연의 '산새'를 통한 감정이입. 청각적 이미지를 활용한 분위기 형성.
4연에서 1연의 내용을 반복 변주하는 등의 표현법을 통해 더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그럼 이제 전문해석을 통해 학습을 마무리해보도록 합시다.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시와 소설 수능국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