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댓글별 태양 지구 가 직각삼각형을 이루고 있는 그림을 그리고 난 후 (직각 부분이 태양), 별과 태양 사이의 거리 d(au), 태양과 지구 사이의 거리 R(au), 태양 별 지구 사이의 각이 파이(라디안)이라고 한다면 tan파이=R(au)/d(au) 입니다. 이때 tan파이는 파이와 근사한다고 한다면 파이=R(au)/d(au)가 됩니다. 파이의 단위를 라디안에서 초로 바꾸기 위해 파이x206065 를 넣고 d를 pc으로 바꾸기 위해 d에 1/206265를 넣고 R은 태양과 지구 사이의 거리가 되니까 1이 됩니다. 따라서 단위를 맞추면 파이(초)=1/d(pc)이 됩니다.
별밤지기님의 말씀이 정확하구요, 약간 부연 드리자면, d = 1/(연주시차) 이 공식은 솔직히 제 입장에서는... 좀 그지같은 공식입니다 -_-;; 단위에 전~~~혀 신경을 안쓴 공식이거든요. 그냥 "단위인 시차를 넣으면 pc단위의 거리가 나온다. 이런식으로 공식을 만들어놔서 물리처럼 정확히 차원을 따지는 경우를 생각해보면 말도 안되는 공식이죠... 그냥 천문학자들이 쓰기 편하게 " 를 넣으면 pc가 텨나오도록 단위 환산의 과정을 생략시켜주는 공식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1"의 연주시차가 나는 거리를 1pc으로 정의했기 때문에 생겨난 해프닝 같은 공식 -_-a이랄까요..
첫댓글 별 태양 지구 가 직각삼각형을 이루고 있는 그림을 그리고 난 후 (직각 부분이 태양), 별과 태양 사이의 거리 d(au), 태양과 지구 사이의 거리 R(au), 태양 별 지구 사이의 각이 파이(라디안)이라고 한다면 tan파이=R(au)/d(au) 입니다. 이때 tan파이는 파이와 근사한다고 한다면 파이=R(au)/d(au)가 됩니다. 파이의 단위를 라디안에서 초로 바꾸기 위해 파이x206065 를 넣고 d를 pc으로 바꾸기 위해 d에 1/206265를 넣고 R은 태양과 지구 사이의 거리가 되니까 1이 됩니다. 따라서 단위를 맞추면 파이(초)=1/d(pc)이 됩니다.
별밤지기님의 말씀이 정확하구요, 약간 부연 드리자면, d = 1/(연주시차) 이 공식은 솔직히 제 입장에서는... 좀 그지같은 공식입니다 -_-;; 단위에 전~~~혀 신경을 안쓴 공식이거든요. 그냥 "단위인 시차를 넣으면 pc단위의 거리가 나온다. 이런식으로 공식을 만들어놔서 물리처럼 정확히 차원을 따지는 경우를 생각해보면 말도 안되는 공식이죠... 그냥 천문학자들이 쓰기 편하게 " 를 넣으면 pc가 텨나오도록 단위 환산의 과정을 생략시켜주는 공식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1"의 연주시차가 나는 거리를 1pc으로 정의했기 때문에 생겨난 해프닝 같은 공식 -_-a이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