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알 하나 / 김준태 시창고
콩알 하나 / 김준태
누가 흘렸을까
막내딸을 찾아가는
다 쭈그러진 시골 할머니의
구멍난 보따리에서
빠져 떨어졌을까
역전 광장
아스팔트 위에
밟히며 뒹구는
파아란 콩알 하나
나는 그 엄청난 생명을 집어 들어
도회지 밖으로 나가
강 건너 밭이랑에
깊숙이 깊숙이 심어주었다.
그때 사방팔방에서
저녁노을이 나를 바라보고 있었다.
[출처] 콩알 하나 / 김준태|작성자 마경덕
김준태 시인
1948년 해남 출생으로, 조선대 사범대 독어과를 졸업하고 13년간 고등학교 영어·독일어 교사로 활동하였다. 이후 11년간 전남일보·광주매일 편집국 데스크, PBC광주평화방송 시사자키, 5·18구속자 회장, 민족문학작가회의 부이사장, 한국문학평화포럼 부회장을 역임하였다. 현재 창작학교 '금남로리케이온'을 마련, 저술활동을 하고 있으며, 조선대학교 문창과 초빙교수로 학생들을 만나고 있다.
그는 1960년대 베트남전쟁에 1년 동안 참전하였으며, 1969년 월간 『시인』지로 등단하였다. 1995년 『문예중앙』 에 중편 「오르페우스는 죽지 않았다」를 선보이며 소설도 함께 쓰고 있다. 그는 80년대 중반부터 유럽, 아메리카, 중국, 인도차이나반도,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키르키즈스탄 등 중앙아시아 일대와 평양, 백두산, 묘향산, 금강산 등지로 여행 및 문학 강연을 다녔다.
저서로는 시집 『참깨를 털면서』 『나는 하느님을 보았다』 『국밥과 희망』 『아아 광주여 영원한 청춘의 도시여』 『칼과 흙』 『지평선에 서서』, 소설 「오르페우스는 죽지 않았다」 외 액자소설 88편, 통일시해설집 『백두산아 훨훨 날아라』, 세계문학기행집 『세계문학의 거장을 만나다』, 평전 『명노근 평전』 이 있다. 역서로는 베트남전쟁소설 『그들이 가지고 다닌 것들』이 있다.
[출처] 콩알 하나 / 김준태|작성자 마경덕
-------------------------------------------
김준태 시인의 "콩알 하나"는 작은 콩알을 통해 생명의 소중함과 자연의 순환을 묘사한 시입니다.
시골 할머니의 보따리에서 떨어진 작은 콩알이 도회지의 아스팔트 위에서 발견되고,
시인은 그 콩알을 자연으로 돌려보내기 위해 밭에 심습니다.
이 과정에서 저녁노을이 시인을 바라보는 장면은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상징합니다.
이 시는 작은 콩알 하나가 지닌 생명의 가능성과 자연의 순환을 강조하며,
인간과 자연의 연결을 아름답게 그려내고 있습니다. 😊
------------------------
수사법은
김준태 시인의 "콩알 하나"에서 사용된 수사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직유법: "파아란 콩알 하나"라는 표현에서 콩알을 파란색으로 비유하여 생동감을 더합니다.
은유법: "엄청난 생명"이라는 표현에서 작은 콩알이 지닌 생명의 가능성을 강조합니다.
의인법: "저녁노을이 나를 바라보고 있었다"라는 구절에서 저녁노을을 사람처럼 묘사하여 자연과의 교감을 나타냅니다.
대조법: "도회지 밖으로 나가"라는 구절에서 도회지와 자연을 대조하여 자연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반복법: "깊숙이 깊숙이"라는 표현에서 반복을 통해 콩알을 심는 행위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이러한 수사법을 통해 시인은 작은 콩알 하나가 지닌 생명의 소중함과 자연의 순환을 독자에게 전달하고 있습니다. 😊
-----------------------
상징은
김준태 시인의 "콩알 하나"에서 사용된 상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콩알: 작은 콩알은 생명과 가능성을 상징합니다. 콩알 하나가 지닌 엄청난 생명력은 자연의 순환과 생명의 소중함을 나타냅니다.
보따리: 할머니의 보따리는 과거와 전통을 상징합니다. 구멍난 보따리에서 떨어진 콩알은 잃어버린 전통과 기억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아스팔트: 도회지의 아스팔트는 현대 문명과 도시 생활을 상징합니다. 콩알이 아스팔트 위에서 발견되는 것은 자연과 문명의 대조를 나타냅니다.
저녁노을: 저녁노을은 자연의 아름다움과 평화를 상징합니다. 저녁노을이 시인을 바라보는 장면은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나타냅니다.
이러한 상징들을 통해 시인은 작은 콩알 하나가 지닌 생명의 소중함과 자연의 순환을 독자에게 전달하고 있습니다. 😊
----------------------
서술과 묘사는
김준태 시인의 "콩알 하나"에서 서술과 묘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서술: 시인은 콩알이 어떻게 발견되고 심어지는 과정을 서술합니다. 예를 들어, "나는 그 엄청난 생명을 집어 들어 도회지 밖으로 나가"라는 구절에서 시인이 콩알을 발견하고 자연으로 돌려보내기 위해 밭에 심는 과정을 설명합니다.
묘사: 시인은 콩알과 주변 환경을 생생하게 묘사합니다. "역전 광장 아스팔트 위에 밟히며 뒹구는 파아란 콩알 하나"라는 구절에서 콩알이 아스팔트 위에서 발견되는 모습을 생생하게 그려내고 있습니다. 또한, "그때 사방팔방에서 저녁노을이 나를 바라보고 있었다"라는 구절에서 저녁노을의 아름다움을 묘사하여 자연과의 교감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서술과 묘사를 통해 시인은 작은 콩알 하나가 지닌 생명의 소중함과 자연의 순환을 독자에게 전달하고 있습니다. 😊
----------------------------
진술과 비유는
김준태 시인의 "콩알 하나"에서 진술과 비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진술: 시인은 콩알이 어떻게 발견되고 심어지는 과정을 직접적으로 설명합니다. 예를 들어, "나는 그 엄청난 생명을 집어 들어 도회지 밖으로 나가"라는 구절에서 시인이 콩알을 발견하고 자연으로 돌려보내기 위해 밭에 심는 과정을 명확하게 진술하고 있습니다.
비유: 시인은 다양한 비유를 사용하여 콩알과 그 주변 환경을 묘사합니다. 예를 들어, "파아란 콩알 하나"라는 표현에서 콩알을 파란색으로 비유하여 생동감을 더합니다. 또한, "저녁노을이 나를 바라보고 있었다"라는 구절에서 저녁노을을 사람처럼 묘사하여 자연과의 교감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진술과 비유를 통해 시인은 작은 콩알 하나가 지닌 생명의 소중함과 자연의 순환을 독자에게 전달하고 있습니다. 😊
------------------------
주제와 소재는
김준태 시인의 "콩알 하나"의 주제와 소재는 다음과 같습니다:
주제:
이러한 주제와 소재를 통해 시인은 작은 콩알 하나가 지닌 생명의 소중함과 자연의 순환을 독자에게 전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