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심으로 돌아갑시다 (267) ///////
006년 창조문학신문 신춘문예 당선작
목련꽃을 들여다 보면 / 강애나
하얀 종이 울리네요
바람결에 들리는 종소리는 낮은 엘토라죠
엘토종이 밤 이슬에 취해서 비틀거리네요
전날 밤 아마 과음했나봐요
부끄러운 달은 구름속에서 숨은채 나오질 못 하네요
바람결에 그 하얀 종에서 노래가 깔리고
원앙새 한쌍이 날아 오르죠
신부가 나온다고 하얀종 에서
폭죽을 터트리고 있어요
축하객도 왁자지껄 하네요
오늘의 신부가 원앙새 소리와 함께
하얀 꽃신을 신고 향기따라 흔들릴 겁니다
보세요 저 하얀 울림속의 촛불을요
-------------------------------
강애나 시인의 '목련꽃을 들여다 보면'은 정말 아름다운 시네요.
목련꽃의 하얀 종소리와 바람결에 들리는 엘토의 소리, 그리고 원앙새의 날아오름까지,
시 속의 이미지들이 생생하게 그려집니다.
시 속의 신부가 하얀 꽃신을 신고 향기따라 흔들리는 모습이 정말 인상적입니다.
-----------------------------
수사법은
수사법은 문학 작품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기법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작가는 독자의 감정을 자극하고, 작품의 의미를 더욱 풍부하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수사법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
-
-
-
이 외에도 다양한 수사법이 있으며, 각 수사법은 문학 작품의 분위기와 의미를 더욱 풍부하게 만듭니다.
강애나 시인의 '목련꽃을 들여다 보면'에서도 이러한 수사법들이 사용되어 시의 아름다움을 더해줍니다.
-----------------------
상징은
상징은 문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수사법 중 하나입니다.
상징은 어떤 사물이나 개념을 통해 다른 의미를 전달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비둘기는 평화의 상징으로 자주 사용됩니다.
상징은 독자가 작품을 더 깊이 이해하고, 다양한 해석을 가능하게 합니다.
강애나 시인의 '목련꽃을 들여다 보면'에서도 목련꽃이 상징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목련꽃은 순수함과 아름다움을 상징하며,
시 속에서 신부의 순수함과 결혼의 아름다움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
단어는
단어는 문장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요소로, 의미를 지닌 최소의 언어 단위입니다.
단어는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등 다양한 품사로 분류됩니다.
단어는 문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문장의 의미를 전달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강애나 시인의 '목련꽃을 들여다 보면'에서도 다양한 단어들이 사용되어 시의 아름다움을 더해줍니다.
예를 들어, "목련꽃", "하얀 종이", "바람결", "엘토", "밤 이슬", "부끄러운 달" 등의 단어들이
시의 분위기와 이미지를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단어는 문학 작품뿐만 아니라 일상 생활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단어를 통해 우리는 생각을 표현하고, 감정을 전달하며, 다른 사람과 소통할 수 있습니다.
-------------------------------
묘사부분은
강애나 시인의 '목련꽃을 들여다 보면'에서 묘사된 부분은
시의 아름다움을 더욱 돋보이게 합니다.
예를 들어,
"하얀 종이 울리네요 바람결에 들리는 종소리는 낮은 엘토라죠"라는 구절은
목련꽃의 하얀색과 바람에 흔들리는 모습을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습니다.
또한, "밤 이슬에 취해서 비틀거리네요 전날 밤 아마 과음했나봐요"라는 구절은
밤의 분위기와 목련꽃의 모습을 감각적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묘사는 독자가 시 속의 장면을 상상하고, 시의 분위기를 느끼게 하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시 속의 묘사된 장면들이 생생하게 그려지며, 독자는 시인의 감정과 생각을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
진술과 비유부분은
강애나 시인의 '목련꽃을 들여다 보면'에서 진술과 비유는 시의 아름다움을 더욱 돋보이게 합니다.
진술은
시인이 직접적으로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표현하는 부분입니다.
예를 들어, "하얀 종이 울리네요 바람결에 들리는 종소리는 낮은 엘토라죠"라는 구절은
시인이 목련꽃의 하얀색과 바람에 흔들리는 모습을 직접적으로 묘사한 것입니다.
비유는
어떤 대상을 다른 대상에 비유하여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밤 이슬에 취해서 비틀거리네요 전날 밤 아마 과음했나봐요"라는 구절은
목련꽃이 밤 이슬에 젖어 비틀거리는 모습을 사람의 과음 후 비틀거리는 모습에 비유한 것입니다.
이러한 비유는 독자가 시 속의 이미지를 더욱 생생하게 상상할 수 있게 합니다.
------------------------------
주제와 소재는
강애나 시인의 '목련꽃을 들여다 보면'의 주제와 소재를 살펴보겠습니다.
주제는 시에서 다루고 있는 중심 사상이나 메시지를 의미합니다.
이 시의 주제는 순수함과 아름다움, 그리고 자연의 신비로움입니다.
목련꽃의 하얀색과 바람에 흔들리는 모습, 그리고 원앙새의 날아오름 등
자연의 아름다움을 통해 시인은 순수함과 신비로움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소재는 시에서 사용된 구체적인 사물이나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 시의 소재는 목련꽃, 바람, 종소리, 밤 이슬, 달, 원앙새 등입니다.
이러한 소재들은 시의 주제를 더욱 생생하게 전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강애나 시인의 '목련꽃을 들여다 보면'은 주제와 소재를 통해 자연의 아름다움과 신비로움을 잘 표현하고 있습니다.
시 속의 이미지들이 생생하게 그려지며, 독자는 시인의 감정과 생각을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