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참깨를 털면서 / 김준태 시창고
참깨를 털면서 / 김준태
산 그늘 내린 밭귀퉁이에서 할머니와 참깨를 턴다.
보아하니 할머니는 슬슬 막대기질을 하지만
어두워지기 전에 집으로 돌아가고 싶은 젊은 나는
한번을 내리치는 데도 힘을 더한다.
세상사에는 흔히 맛보기가 어려운 쾌감이
참깨를 털어내는 일엔 희한하게 있는 것 같다.
한 번을 내리쳐도 셀 수 없이
솨아솨아 쏟아지는 무수한 흰 알갱이들
도시에서 십 년을 가차이 살아온 나로선
기가 막히게 신나는 일인지라
휘파람을 불어가며 몇 다발이고 연이어 털어댄다.
사람도 아무 곳에나 한번만 기분좋게 내리치면
참깨처럼 솨아솨아 쏟아지는 것들이
얼마든지 있을 거라고 생각하며 정신없이 털다가
“아가 모가지까지 털어져서는 안되느니라”
할머니의 가엾어 하는 꾸중을 듣기도 했다.
[출처] 참깨를 털면서 / 김준태 |작성자 마경덕
--
김준태 시인
1948년 해남 출생으로, 조선대 사범대 독어과를 졸업하고 13년간 고등학교 영어·독일어 교사로 활동하였다.
이후 11년간 전남일보·광주매일 편집국 데스크, PBC광주평화방송 시사자키, 5·18구속자 회장,
민족문학작가회의 부이사장, 한국문학평화포럼 부회장을 역임하였다.
현재 창작학교 '금남로리케이온'을 마련, 저술활동을 하고 있으며,
조선대학교 문창과 초빙교수로 학생들을 만나고 있다.
그는 1960년대 베트남전쟁에 1년 동안 참전하였으며, 1969년 월간 『시인』지로 등단하였다.
1995년 『문예중앙』 에 중편 「오르페우스는 죽지 않았다」를 선보이며 소설도 함께 쓰고 있다.
그는 80년대 중반부터 유럽, 아메리카, 중국, 인도차이나반도,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키르키즈스탄 등 중앙아시아 일대와 평양, 백두산, 묘향산, 금강산 등지로 여행 및 문학 강연을 다녔다.
저서로는 시집 『참깨를 털면서』 『나는 하느님을 보았다』 『국밥과 희망』 『아아 광주여 영원한 청춘의 도시여』 『칼과 흙』
『지평선에 서서』, 소설 「오르페우스는 죽지 않았다」 외 액자소설 88편,
통일시해설집 『백두산아 훨훨 날아라』, 세계문학기행집 『세계문학의 거장을 만나다』,
평전 『명노근 평전』 이 있다. 역서로는 베트남전쟁소설 『그들이 가지고 다닌 것들』이 있다.
[출처] 참깨를 털면서 / 김준태 |작성자 마경덕
-------------------------------------
김준태 시인의 "참깨를 털면서"에 대한 해설을 통해 시인이 표현하고자 한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시 해설:
이 시는 시골 밭에서 할머니와 함께 참깨를 털며 겪는 소소한 일상을 그리고 있습니다.
시인의 경험과 감정을 통해 도심 생활과 농촌 생활의 대비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세대 간의 차이: 할머니는 슬슬 막대기질을 하지만, 젊은 시인은 빨리 집으로 돌아가고 싶은 마음에 힘을 더합니다. 이는 세대 간의 차이를 상징합니다.
일상의 쾌감: 참깨를 털 때 느끼는 쾌감은 일상의 작은 즐거움을 나타냅니다. 도시 생활에서 느끼기 어려운 쾌감을 참깨를 털며 느낀다는 표현을 통해, 농촌 생활의 소소한 행복을 강조합니다.
도심과 농촌의 대비: 도시에서 십 년을 살아온 시인은 참깨를 털며 기쁨을 느낍니다. 이는 도심 생활과 농촌 생활의 대비를 나타내며, 시인의 마음 속에 농촌 생활에 대한 그리움을 반영합니다.
삶의 지혜: "아가 모가지까지 털어져서는 안되느니라"라는 할머니의 꾸중은 삶의 지혜를 담고 있습니다. 이는 과도한 열정과 욕심을 경계하는 교훈을 전달합니다.
이 시를 통해 시인은 일상의 작은 경험 속에서도 큰 의미와 감정을 찾아내는 능력을 보여줍니다.
수사법은
김준태 시인의 "참깨를 털면서"에서 사용된 수사법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이러한 수사법들은 시의 분위기와 주제를 더욱 풍부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주요 수사법
은유 (Metaphor):
"참깨를 털어내는 일엔 희한하게 있는 것 같다": 참깨를 털어내는 일의 쾌감을 은유적으로 표현하여 일상의 작은 행복을 강조합니다.
"한번을 내리치는 데도 힘을 더한다": 참깨를 내리치는 행동을 통해 삶의 열정과 에너지를 은유합니다.
직유 (Simile):
"솨아솨아 쏟아지는 무수한 흰 알갱이들": 참깨가 쏟아지는 모습을 생생하게 묘사하여 시각적인 이미지를 형성합니다.
"사람도 아무 곳에나 한번만 기분좋게 내리치면 참깨처럼 솨아솨아 쏟아지는 것들이 얼마든지 있을 거라고 생각하며": 사람의 행동을 참깨에 비유하여 상상력을 자극합니다.
반복 (Repetition):
"솨아솨아": 참깨가 쏟아지는 소리를 반복하여 시의 리듬과 분위기를 형성합니다.
대조 (Contrast):
할머니와 젊은 시인의 대비를 통해 세대 간의 차이를 강조합니다. 할머니는 슬슬 막대기질을 하지만, 젊은 시인은 힘을 더해 참깨를 털어내는 모습에서 두 세대 간의 차이를 나타냅니다.
직설적 진술 (Direct Statement):
"도시에서 십 년을 가차이 살아온 나로선 기가 막히게 신나는 일인지라": 도시 생활의 경험을 직접적으로 진술하여 시인의 감정을 전달합니다.
"아가 모가지까지 털어져서는 안되느니라": 할머니의 꾸중을 통해 삶의 지혜를 전달합니다.
결론
김준태 시인은 다양한 수사법을 사용하여 "참깨를 털면서" 시의 주제와 감정을 생동감 있게 전달합니다.
이러한 기법들이 결합되어 시의 깊이와 의미를 더욱 풍부하게 만듭니다.
상징은
김준태 시인의 "참깨를 털면서"에서 사용된 상징들은 시의 주제와 감정을 더욱 깊이 있게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아래에서 시의 상징적 요소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상징적 요소
참깨: 참깨는 일상의 소소한 즐거움을 상징합니다. 참깨를 털 때 느끼는 쾌감은 일상 속에서 찾아낼 수 있는 작은 행복과 만족을 의미합니다.
막대기: 막대기는 일을 하는 도구로, 열정과 노동을 상징합니다. 막대기를 통해 참깨를 털어내는 과정은 삶의 열정과 에너지를 표현합니다.
할머니: 할머니는 삶의 지혜와 경험을 상징합니다. 할머니의 꾸중은 세대 간의 차이와 삶의 교훈을 전달합니다.
젊은 시인: 젊은 시인은 에너지와 열정을 상징합니다. 빨리 집으로 돌아가고 싶은 마음과 참깨를 털며 느끼는 쾌감은 젊은 시인의 열정을 나타냅니다.
밭귀퉁이: 밭귀퉁이는 농촌 생활을 상징합니다. 시인의 경험을 통해 도심 생활과 농촌 생활의 대비를 나타냅니다.
이러한 상징들은 시의 주제와 감정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어주며, 독자에게 깊은 인상을 남깁니다.
단어는
김준태 시인의 "참깨를 털면서" 시에서 사용된 주요 단어들을 분석해 보겠습니다.
이 단어들은 시의 주제를 전달하고 감정을 표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주요 단어 분석
참깨: 참깨는 일상의 소소한 즐거움과 만족을 상징합니다. 참깨를 털 때 느끼는 쾌감은 일상 속에서 찾을 수 있는 작은 행복을 의미합니다.
막대기질: 막대기를 사용하여 참깨를 털어내는 행위는 노동과 열정을 상징합니다.
밭귀퉁이: 밭귀퉁이는 시골 생활과 자연을 상징하며, 도심과 대비되는 평화로운 공간을 나타냅니다.
슬슬: 할머니의 행동을 묘사하는 단어로, 세대 간의 차이를 나타냅니다. 할머니는 여유롭고 느리게 일하지만, 젊은 시인은 더 빠르게 일하고 싶어합니다.
휘파람: 시인이 참깨를 털며 기쁨을 느끼는 순간을 묘사하는 단어로, 즐거움과 만족을 상징합니다.
모가지: 할머니의 꾸중에서 사용된 단어로, 과도한 열정과 욕심을 경계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정신없이: 시인이 참깨를 털며 몰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어로, 열정과 에너지를 상징합니다.
이 단어들은 시인이 전달하고자 하는 주제와 감정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어줍니다.
묘사와 진술은
김준태 시인의 "참깨를 털면서" 시에서 사용된 묘사와 진술은 시의 감정과 의미를 생생하게 전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각각의 요소를 살펴보겠습니다.
묘사 (Descriptive Imagery)
"산 그늘 내린 밭귀퉁이에서 할머니와 참깨를 턴다": 산 그늘이 드리워진 밭귀퉁이에서 할머니와 함께 참깨를 털는 장면을 구체적으로 묘사하여 독자가 장면을 상상할 수 있게 합니다.
"솨아솨아 쏟아지는 무수한 흰 알갱이들": 참깨가 쏟아지는 소리를 생생하게 묘사하여 시의 리듬과 생동감을 더합니다.
"휘파람을 불어가며 몇 다발이고 연이어 털어댄다": 시인이 참깨를 털며 느끼는 즐거움과 에너지를 묘사하여 독자에게 전달합니다.
"도시에서 십 년을 가차이 살아온 나로선 기가 막히게 신나는 일": 도시 생활의 경험을 바탕으로 참깨를 털며 느끼는 쾌감을 묘사합니다.
진술 (Statements)
"슬슬 막대기질을 하지만": 할머니의 행동을 직접적으로 진술하여 여유로움과 세대 차이를 나타냅니다.
"한번을 내리치는 데도 힘을 더한다": 시인의 행동을 통해 젊은이의 열정과 에너지를 표현합니다.
"세상사에는 흔히 맛보기가 어려운 쾌감이 참깨를 털어내는 일엔 희한하게 있는 것 같다": 참깨를 털며 느끼는 쾌감을 직접적으로 진술하여 시의 주제를 전달합니다.
"사람도 아무 곳에나 한번만 기분좋게 내리치면 참깨처럼 솨아솨아 쏟아지는 것들이 얼마든지 있을 거라고 생각하며": 참깨 털기를 통해 삶의 경험과 교훈을 진술합니다.
"아가 모가지까지 털어져서는 안되느니라": 할머니의 꾸중을 통해 삶의 지혜를 전달합니다.
이러한 묘사와 진술은 시의 감정과 의미를 생생하게 전달하여 독자에게 깊은 인상을 남깁니다.
주제와 소재는
김준태 시인의 "참깨를 털면서" 시의 주제와 소재를 살펴보면 시의 깊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주제:
일상의 소소한 즐거움: 참깨를 털며 느끼는 쾌감을 통해 일상 속에서 찾을 수 있는 작은 행복과 만족을 주제로 다룹니다.
세대 간의 차이: 할머니와 젊은 시인의 행동과 생각의 차이를 통해 세대 간의 차이를 주제로 나타냅니다.
노동의 의미: 참깨를 털며 경험하는 노동의 의미와 그 속에서 느끼는 기쁨을 주제로 다룹니다.
삶의 지혜: 할머니의 꾸중을 통해 과도한 열정과 욕심을 경계하며, 삶의 지혜를 전달하는 것을 주제로 삼고 있습니다.
소재:
참깨: 참깨는 일상의 작은 즐거움과 만족을 상징하는 소재로 사용됩니다.
막대기: 막대기는 일을 하는 도구로, 노동과 열정을 상징하는 소재입니다.
할머니: 할머니는 삶의 지혜와 경험을 상징하는 소재로, 세대 간의 차이를 나타냅니다.
젊은 시인: 젊은 시인은 에너지와 열정을 상징하며, 세대 간의 차이를 강조합니다.
밭귀퉁이: 밭귀퉁이는 농촌 생활과 자연을 상징하는 소재로, 도심 생활과 대비되는 평화로운 공간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주제와 소재들이 시의 깊이와 의미를 더욱 풍부하게 만들어줍니다.
비유와 서술은
김준태 시인의 "참깨를 털면서"에서 사용된 비유와 서술 기법들은 시의 주제와 감정을 더욱 풍부하게 만듭니다.
주요 비유와 서술 기법을 살펴보겠습니다.
비유 (Similes and Metaphors)
은유 (Metaphor):
"참깨를 털어내는 일엔 희한하게 있는 것 같다": 참깨를 털 때 느끼는 쾌감을 은유적으로 표현하여 일상의 작은 행복을 강조합니다.
"솨아솨아 쏟아지는 무수한 흰 알갱이들": 참깨가 쏟아지는 모습을 은유적으로 표현하여 흥분과 만족감을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직유 (Simile):
"사람도 아무 곳에나 한번만 기분좋게 내리치면 참깨처럼 솨아솨아 쏟아지는 것들이 얼마든지 있을 거라고 생각하며": 사람의 행동을 참깨에 비유하여, 삶의 다양한 경험에서 얻을 수 있는 기쁨을 표현합니다.
서술 (Narration)
상세 묘사 (Detailed Description):
"산 그늘 내린 밭귀퉁이에서 할머니와 참깨를 턴다": 시골 밭에서 참깨를 털는 장면을 구체적으로 묘사하여 독자가 그 장면을 상상할 수 있게 합니다.
"도시에서 십 년을 가차이 살아온 나로선 기가 막히게 신나는 일인지라": 도시 생활의 경험을 바탕으로 참깨를 털며 느끼는 쾌감을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감정 서술 (Emotional Narration):
"세상사에는 흔히 맛보기가 어려운 쾌감이 참깨를 털어내는 일엔 희한하게 있는 것 같다": 참깨를 털며 느끼는 쾌감을 직접적으로 진술하여 시인의 감정을 전달합니다.
"아가 모가지까지 털어져서는 안되느니라": 할머니의 꾸중을 통해 과도한 열정과 욕심을 경계하는 삶의 지혜를 전달합니다.
이러한 비유와 서술 기법들이 결합되어 "참깨를 털면서" 시의 감정과 이미지를 더욱 생동감 있게 만듭니다.
김준태 시인의 "참깨를 털면서" 시에 대한 좀 더 자세한 해석을 해보겠습니다.
이 시는 시골 밭에서 할머니와 함께 참깨를 털며 겪는 소소한 일상을 그리고 있으며,
그 속에 담긴 다양한 의미를 탐구합니다.
시 해설:
산 그늘 내린 밭귀퉁이에서 할머니와 참깨를 턴다:
장소의 묘사: 산 그늘이 드리워진 밭귀퉁이는 시골의 평온하고 자연스러운 풍경을 나타냅니다. 이는 도시 생활과 대비되는 평화로운 공간을 상징합니다.
행동의 묘사: 할머니와 함께 참깨를 턴다는 일상적인 행동은 가족 간의 유대감과 전통적인 농촌 생활을 보여줍니다.
보아하니 할머니는 슬슬 막대기질을 하지만 어두워지기 전에 집으로 돌아가고 싶은 젊은 나는 한번을 내리치는 데도 힘을 더한다:
세대 간의 차이: 할머니는 여유롭게 일하지만, 젊은 시인은 빨리 집으로 돌아가고 싶은 마음에 더 힘을 줍니다. 이는 세대 간의 차이와 젊은이의 조급함을 나타냅니다.
열정과 에너지: 젊은 시인은 더 힘을 내어 참깨를 털며, 자신의 열정과 에너지를 드러냅니다.
세상사에는 흔히 맛보기가 어려운 쾌감이 참깨를 털어내는 일엔 희한하게 있는 것 같다:
일상의 쾌감: 참깨를 털며 느끼는 쾌감은 일상 속에서 찾을 수 있는 작은 행복과 만족을 상징합니다.
삶의 비유: 참깨를 털며 느끼는 쾌감은 삶의 다양한 경험에서 얻을 수 있는 기쁨을 은유적으로 표현합니다.
한 번을 내리쳐도 셀 수 없이 솨아솨아 쏟아지는 무수한 흰 알갱이들:
상징적 이미지: 참깨가 솨아솨아 쏟아지는 모습은 생생한 이미지를 형성하며, 흥분과 만족감을 나타냅니다.
행복의 순간: 참깨를 털며 느끼는 즐거움을 표현하며, 그 순간의 행복을 강조합니다.
도시에서 십 년을 가차이 살아온 나로선 기가 막히게 신나는 일인지라 휘파람을 불어가며 몇 다발이고 연이어 털어댄다:
도심과 농촌의 대비: 도시 생활에서 느끼기 어려운 쾌감을 참깨를 털며 느낀다는 표현을 통해, 농촌 생활의 소소한 행복을 강조합니다.
기쁨의 표현: 시인이 참깨를 털며 휘파람을 불며 느끼는 기쁨을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사람도 아무 곳에나 한번만 기분 좋게 내리치면 참깨처럼 솨아솨아 쏟아지는 것들이 얼마든지 있을 거라고 생각하며 정신없이 털다가:
삶의 비유: 참깨 털기를 통해 사람의 행동과 삶의 경험을 비유하여, 삶의 다양한 경험에서 얻을 수 있는 기쁨을 강조합니다.
몰입과 열정: 시인이 참깨를 털며 몰입하는 상태를 표현하여, 열정과 에너지를 나타냅니다.
“아가 모가지까지 털어져서는 안되느니라” 할머니의 가엾어 하는 꾸중을 듣기도 했다:
삶의 지혜: 할머니의 꾸중은 과도한 열정과 욕심을 경계하는 삶의 교훈을 전달합니다.
세대 간의 대화: 할머니와 젊은 시인 간의 대화를 통해 세대 간의 지혜와 경험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이 시는 일상의 소소한 즐거움과 세대 간의 차이, 노동의 의미, 그리고 삶의 지혜를 다루고 있습니다.
시인의 경험을 통해 독자는 도심 생활과 농촌 생활의 대비를 느낄 수 있으며,
작은 일상 속에서도 큰 의미를 찾아낼 수 있음을 깨닫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