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물♡화♡생♡지
 
 
 
카페 게시글
♥자유게시판 우라늄-238이 우라늄-235보다 안정적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라이언화학 추천 0 조회 197 21.05.21 16:20 댓글 8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21.05.22 08:50

    첫댓글 양성자 수는 같은데 중성자가 더 많으니까요.

  • 작성자 21.05.22 09:00

    탄소-14는 탄소-12보다 중성자가 많지만, 불안정합니다. 그것을 이유라고 말하기에는 예외가 있어서요. 그 근본적 원인이 소립자 사이의 힘과 관련이 있을 것 같은데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 21.05.22 15:39

    결국은 결합에너지가 작은 쪽으로의 변환입니다.
    탄소-14의 경우에는 탄소-14보다 질소-14의 결합에너지가 더 작기 때문에 그리로 붕괴가 일어나는 것이구요 질문하신 우라늄의 경우에는 중성자에 의한 결합에너지 감소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나는 거겠지요.

  • 작성자 21.05.22 16:36

    핵자당 결합 에너지가 큰 방향으로 붕괴가 일어난다고 하던데요. 우라늄-235는 우라늄-238보다 핵자당 결합 에너지 역시 더 큰데도, 더 붕괴가 잘 일어나요. 그 이유도 궁금합니다.

  • 21.05.22 21:04

    @라이언화학 위의 표는 핵융합이나 핵분열에서의 방향성을 이야기하는 것이지 상온에서 수소가 헬륨으로 융합이 일어나거나 백금이 제논으로 분열이 되는 건 아니거든요.
    올려주신 표에 나와 있는 내용으로 말씀드리자면 H-3도 결합에너지가 작은 He-3으로 붕괴하는 걸 보면 될 것 같습니다.

  • 작성자 21.05.22 22:13

    @푸른들이 그 경우는 붕괴가 아니라, 핵융합 아닌가요?

  • 21.05.23 00:08

    @라이언화학 4개의 수소가 합쳐서 하나의 헬륨핵이 되는 상황을 말씀드리는 게 아니라 삼중수소가 베타붕괴를 하게 되면 He-3가 된다는 것에 대해 이야기한 겁니다.
    선생님이 위에서 말씀하셨던 C-14의 경우에도 N-14로 베타붕괴하게 되는 데 그걸 핵융합이라고 하지는 않지요.

  • 작성자 21.05.23 09:24

    @푸른들이 제가 베타붕괴에 대한 개념이 잡혀 있지 않아서요. 베타붕괴란, 핵자당 결합 에너지가 작은 방향으로 변환되는 상온에서 벌어지는 자연스러운 현상인 것인가요?

    정리하자면, 우라늄-238은 우라늄-235보다 핵자당 결합에너지가 적어서 더 안정한 상태이고, 우라늄-235는 때문에 더 불안정한 상태라서 외부의 중성자가 주입된 경우, 연쇄적인 핵분열이 가능하다는 것이지요? (저는 지금까지는 핵자당 결합에너지가 커야 그 물질이 단단하게 묶여있어서 안정하다는 오개념을 갖고 있었네요. 지금은 그 물질의 핵을 묶는 데 에너지가 더 많이 필요하므로 결합은 단단할지라도 그 만큼 에너지적으로 불안정하다는 뜻이라는 걸 알았어요. 이제 뭔가 정리가 되는 것 같습니다. 고맙습니다. 😊 )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