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란을 한 10여년 키우다 보니 잡지도 구입하고, 여러 난인들과도 교류가 많이 있다. 어쩌다 나이가 차니 순서대로 난우회 회장도 하고 보니 이곳 저곳의 난 선배들에 대한 소식도 많이 듣는다.
그 중에서 난인들이 존경하는 '능곡 이성보선생'에 대한 애정은 각별하다. 난 잡지에 쓰시는 글을 읽을 때마다 우리의 잘못된 점을 질타하시고, 후배들을 옳은 길로 이끌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신다.
선생께서 평생 모으신 수석과 난초, 괴석, 괴목 등을 가지고 거제도 척박한 곳에 내려가셔서 꼭 10년 전에 '거제 자연예술랜드'를 개원하셨다. 가끔 잡지에 이곳의 풍광을 올리셨는데, 10년을 별러 이 번에 다녀오게 되었다. 선생은 몸이 불편하셔서 병원에 가시는 바람에 뵙질 못하였고, 선생의 정성어린 곳곳을 다녀보기만 했다.
많은 석부작과 목부작, 그리고 지금은 들어오기도 힘든 외국의 괴석과 괴목, 진귀한 식물들이 이곳저곳에 배치되어 있었다. 모두 오래되어 고태미가 나고 그 힘든 작업의 인고를 넉넉히 짐작할 만하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볼 때 일단 수지를 맞추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우선 입장료가 4천원인데, 식물을 좋아하는 우리가 보기에도 두 세번 계속해서 가기에는 어려울 것이다. 하물며 큰 관심 없는 관광객들이 한 번 다녀가고 친지들에게 권유하기에는 부족한 감이 많다.
전체 부지는 4천평이라고 한다. 그런데 우리가 견학한 곳은 그 절반도 되어 보이질 않는다. 아마 점차 확장할 계획이었지만 25명과 얽힌 사연들과 문인으로서 순수한 마음이 상업과 얼마나 조화를 이루 수 있었을까...그리고 점차 병들어가는 육신...경제적 문제.....이러한 점들이 확장이 불가능해졌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수석과 괴석, 난종류 외에는 식물 자체가 너무 흔한 것들이 대부분이다. 이 화창한 봄날에 꽃이라는 것은 멀구슬나무 두 그루 뿐이다. 요즘 한창인 붓꽃, 꽃창포 한 포기 없다..그래서는 관광객들이 좋아할 리가 없다. 물론 수석을 좋아하는 분들은 한 점만 보아도 며칠 동안 눈 앞에 그 돌이 아른거리겠지만 일반인들에게는 어려운 일이다.
아아! 개인이 평생을 바쳐 이룩한 업적이 거미줄로 덮혀가는 광경을 볼 때 슬프기 그지 없다. 더구나 개인적으로 존경하고 있는 분께서 손수 만드신 모든 것들이 쇠락하고 있음에.....모든 식물들은 생기를 잃어가고, 돌은 이끼에 싸여가는 광경을 보니 가슴이 미어진다.
첫댓글수석이나 난에 크게 관심이 없는 저도 글을 읽고 나니 너무 안타깝네요. 한사람의 크고 좋은 뜻이 이어지지 못하고 끊어질까 너무나 걱정이 됩니다. 한종나 지역 모임과 연대해서 한종나의 식물들도 첨가하거나 일부 자투리를 빌려서 함께 관리되면 더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드네요. 그냥 안타까운 마음에 그런 생각이 드네요.
첫댓글 수석이나 난에 크게 관심이 없는 저도 글을 읽고 나니 너무 안타깝네요. 한사람의 크고 좋은 뜻이 이어지지 못하고 끊어질까 너무나 걱정이 됩니다. 한종나 지역 모임과 연대해서 한종나의 식물들도 첨가하거나 일부 자투리를 빌려서 함께 관리되면 더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드네요. 그냥 안타까운 마음에 그런 생각이 드네요.
그렇습니다. 산나무풀꽃님과 함께 한종나 참여도 생각을 해보았지만 이곳에서는 거리가 워낙 멀고, 또 선생과 전혀 협의를 하지 못해 안타까울 뿐입니다. 이럴 때 프리덤님께서 제창한 한종나 청년회가 활성화되어 있으면 큰 역할을 할텐데..
저도 이곳에 수년 전에 가 본 적이 있습니다. 당시 관람 가능한 곳은 입구의 온실 하나였었고 위로 새로운 공간이 만들어지고 있었는데...그때보다 확장이 많이 되었겠지만 푸르메님 글 보니 큰 진척이 없나 봅니다.
그 위에도 별로 없는 것같습니다. 뜻있는 사람이 무엇을 한다는 것이 이렇게 어려울 줄인 것을 새삼 느꼈습니다.
저도 얼마전에 통영과 거제도를 들려 예술랜드를 방문하고 왔는데...목부석 석부석등 많은 자료들의 흔적은 보이지만 .인적이 끊기고 입장료에 비해서 다시는 돌아보지 않아도 되겠다는 생각을 하고 돌아왔네요 다소 실망을 한 우리가족.....
사실 수석보다 기석, 기석보다 화석이 더 교육적이죠.^^* 저도 수석 몇년간 만졌지만 아직도 뭐가 뭔지 잘 모릅니다. 거제도는 천혜의 자연환경과 기후조건을 가져 앞으로 다시 시작하면 명소가 되겠지요..
서글픈 현실을 돌아보신듯 합니다.발상의 전환이 필요로 한것은 아닐런지.....
어디 보니깐..
은 보고 
기는 것인줄만 알았는데...요리로 먹는법을 개발해서 판로를 개척했드만요
시간도 없고, 모두 지치신 것으로 보입니다. 저도 그렇게 될 것 같은 느낌이 확들어왔습니다. 그러나 울산에 다녀오니 좀 희망도 생겼습니다. ^^*
생각해 볼일입니다. 저도 꽤 오랜시간 한가지 일에 매달리다 보니 매너리즘에 빠져서 한쪽으로는 망가지는 곳이 생깁니다. 초심을 지킬수있어야 하는데 그게 쉽지않습니다 경제적인 부담도 있구요
4월경 저도 관람한적이있었읍니다... 집식구들모두 저 한사람때문에 관람해죠....다들 어슬렁하다가 왔답니다 ;;
거제가면서 잠충이님 생각을 했는데, 생각보다 거제도가 크고....ㅎㅎ..밤 10에 도착했고, 아침 9시에 잠깐 예술랜드에 들려다가 울산으로 오는 바람에 못 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