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 알림]----------------- 지우지 마세요!1. 매매글 금지 ★★★ - 전자상거래법 강화로 매매글은 예고 없이 삭제됨을 알려드립니다. - 바로 삭제되는 글 : (글과 '비댓' 모두 해당) ① '삽니다' 또는 '팝니다' 언급. ② 저작권이 있는 저작물(무단 복사 전재 배포 금지)의 PDF 파일 언급. ③ 금액 언급. - 비댓에 언급되어도 삭제됩니다. 쪽지 권장합니다. - 저작권 없는 자료에 한하여 무료나눔은 가능합니다.2. 비댓 금지입니다! ★★★★★------------------------------------------------------- 지우지 마세요!
옥텟규칙을 만족하기 위해서 두개 까지 있는건 알겠는데 왜 첫번째 전자 껍질은 두개만 있나요~? 아주 쉽게 설명이 가능 할까요~? 같은 맥락의 질문으로 두번째 전마 껍질은 왜 8개씩 전자가 있어야 안정하게 되는 건가요~?
이 내용을 설명하려면 고2 화학1 수준까지 들어가야 하는데요.... 전자껍질 모형으로는 설명할수 없고 현대적 모형으로 설명해야해요 오비탈 ..이란걸 아셔야 하는데요 오비탈이 뭐냐면 전자가 핵 주위에 분포할 수 있는 확률이 약95% 이상인 위치를 나타내요 쉽게는 전자가 있는 방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 확률이다 보니 수학적 식으로 계산하는데요. 그 식의 해를 풀면 1번째 전자껍질에는 오비탈 1개가 있습니다. 그래서 전자2개. (오비탈 1개(=전자가 있는 방 1개)당 전자2개가 들어가야 한다는 것도 이 식의 해입니다), 또 식을 풀면 2번째 전자껍질에는 오비탈4개가 있습니다. 그래서 4x2=8개입니다. 그리고 전자껍질이 가진 모든 오비탈에 전자가 꽉 차 있으면 더 반응을 하지 않으려 하기 때문에 이렇게 꽉 차 있으면 안정하게 됩니다 ㅎㅎ
제 딴엔 최대한 쉽게 말씀드렸는데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ㅜㅜ 더 자세한 내용은 위에 댓글 참고하시면 될 것 같아요~~ 아 위에 댓글에서 나오는 '양자수'가 제가 말하는 확률 식의 해입니다.^^
첫댓글 첫 번째 전자 껍질은 1s오비탈만 존재하고, 하나의 오비탈에는 2개의 전자만 들어갈 수 있어요.
두 번째 전자 껍질은 2s, 2p(px, py, pz) 오비탈이 존재할 수 있으니까 각각 2개씩 총8개까지 최대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양자수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자면,
주양자수 n은 오비탈의 전체적인 에너지 준위나 크기를 나타내며, 양의 정수값만 가질 수 있어요.
부양자수 (각운동량 양자수) l은 전체적인 크기 안에서, 오비탈의 모양을 결정하며 0~(n-1 )까지의 수를 가질 수 있어요.
자기양자수 ml은 그 오비탈의 방향을 결정하며, -l ~ +l값을 가질 수 있어요.
첫번째 껍질이라는 것은 주양자수가 1 (n=1)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부양자수는 0~(1-1)의 값을 가지므로 0밖에 없어요. ml도 0밖에 안됩니다. 부양자수가 0인 오비탈을 s오비탈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첫번째 껍질에는 1s밖에 있을 수 없어요.
두 번째 껍질도 마찬가지입니다. n=2, l=0,1인 오비탈이 있습니다. l=0인 오비탈 한개와, l=1인 경우 ml=-1,0,+1이 가능하니 세 개의 오비탈이 있습니다. 모두 합쳐서 두번째 껍질에는 4개의 오비탈이 존재합니다
이 내용을 설명하려면 고2 화학1 수준까지 들어가야 하는데요....
전자껍질 모형으로는 설명할수 없고 현대적 모형으로 설명해야해요
오비탈 ..이란걸 아셔야 하는데요
오비탈이 뭐냐면 전자가 핵 주위에 분포할 수 있는 확률이 약95% 이상인 위치를 나타내요
쉽게는 전자가 있는 방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
확률이다 보니 수학적 식으로 계산하는데요. 그 식의 해를 풀면 1번째 전자껍질에는 오비탈 1개가 있습니다. 그래서 전자2개.
(오비탈 1개(=전자가 있는 방 1개)당 전자2개가 들어가야 한다는 것도 이 식의 해입니다),
또 식을 풀면 2번째 전자껍질에는 오비탈4개가 있습니다. 그래서 4x2=8개입니다.
그리고 전자껍질이 가진 모든 오비탈에 전자가 꽉 차 있으면 더 반응을 하지 않으려 하기 때문에
이렇게 꽉 차 있으면 안정하게 됩니다 ㅎㅎ
제 딴엔 최대한 쉽게 말씀드렸는데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ㅜㅜ 더 자세한 내용은 위에 댓글 참고하시면 될 것 같아요~~
아 위에 댓글에서 나오는 '양자수'가 제가 말하는 확률 식의 해입니다.^^
많은 댓글 도움이 많이되었습니다 ㅠ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