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 알림]----------------- 지우지 마세요!1. 매매글 금지 ★★★ - 전자상거래법 강화로 매매글은 예고 없이 삭제됨을 알려드립니다. - 바로 삭제되는 글 : (글과 '비댓' 모두 해당) ① '삽니다' 또는 '팝니다' 언급. ② 저작권이 있는 저작물(무단 복사 전재 배포 금지)의 PDF 파일 언급. ③ 금액 언급. - 비댓에 언급되어도 삭제됩니다. 쪽지 권장합니다. - 저작권 없는 자료에 한하여 무료나눔은 가능합니다.2. 비댓 금지입니다! ★★★★★-------------------------------------------------------
안녕하세요, 수산화나트륨 표준용액 만들때 유의사항 질문드립니다.
수산화나트륨을 용해할때 발열반응이라 열이 나므로 물에 조금씩 녹인다라고 알고 있는데요, 학교에 와주신 강사선생님께서는 아이들에게 수산화나트륨에 물을 넣으라고 알려주셨습니다. 그러면서 가루는 괜찮아요 라고 하셨는데... 1.이정도 양은 괜찮다 2.산은 액체라 물에 넣는게 맞는데 가루인 염기는 괜찮다
어떤 의미인지...뭐가 정석 방식인지 모르겠습니다. 혹시 아시는분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ㅜㅜ
첫댓글 원칙적으로는 산, 염기 모두 물에 조금씩 녹이는 것이 좋습니다.
공장에서 대량으로 혼합하는 것이 아닌 이상, 표준용액을 만들 때 수산화나트륨은 발열량이 그렇게 많은 편이 아니라서 그 정도 양이면 괜찮아서 그럴 거에요.
그리고 수산화나트륨으로 실험을 해보면 조해성 때문에 조금만 놔둬도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해서 녹기 시작합니다.
@초록 그래서 수산화나트륨을 약포지에 덜어서 하다보면 약포지에 묻어서 미량의 수산화나트륨이 누락되므로 내가 원하는, 정확한 농도의 표준용액을 만들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초록 저는 개인적으로 비커를 영점조절한 후, 수산화나트륨을 비커에 넣으며 질량을 측정하고 바로 그 비커에 물을 넣어 녹이는 방식을 선호합니다.
1. 양이 적어 열 발생이 그렇게 많지 않아 별 문제가 없다.
2. 조해성 때문에 수산화나트륨을 질량 측정한 후 다시 물에 넣는 것보다 측정된 수산화나트륨에 바로 물을 넣는 것이 정확한 농도의 용액을 만들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수산화나트륨에 물을 넣어 만들기도 합니다.
@초록 물론, 비커에 수산화나트륨을 넣어 질량 측정 후 조금 녹았더라도 여러 번 헹궈서 물에 넣는 방법을 사용하면 물에 수산화나트륨을 넣으며 용액을 제조할 수도 있겠지요.
@초록 선생님 친절히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