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스만(Rothman)은 지역사회사업의 접근 방식을 크게 세 가지 원형 모형으로 제시하였습니다.
첫째, 지역성 개발(Locality Development)은
공동체 구성원들이 상호 협력과 합의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관계망과 자원을 강화하여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는 접근입니다.
둘째, 사회계획(Social Planning)은
데이터와 전문성을 바탕으로 사회문제를 분석하고,
필요한 자원과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배치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입니다.
셋째, 사회행동(Social Action) 혹은 사회옹호(Social Advocacy)는
권력 불균형이나 차별적 구조를 변화시키기 위해 압박, 협상, 옹호 활동을 통해 사회 정의를 증진하는 접근입니다.
실제 현장에서는 한 가지 모형만 사용하는 경우보다,
상황과 목표에 따라 여러 접근을 혼합·조합하는 ‘통합형 실천’이 일반적입니다.
로스만(Rothman)의 지역사회사업 모형에 비추어 볼 때,
우리가 제시한 ‘당사자를 중심으로 그의 둘레 환경을 우호적으로 재조직하는 실천’이라는 조작적 정의는
단일 접근이 아닌 ‘통합형 실천’에 해당합니다.
이는 지역성 개발(Locality Development)을 통해 공동체 내부의 관계와 자원을 발견·연결하여 당사자 곁의 지지망을 강화하고,
사회계획(Social Planning)으로 제도와 서비스 체계를 당사자에게 유리하도록 조정하며,
필요할 경우 사회옹호(Social Advocacy)를 통해 구조적 장벽을 완화하는 과정을 포괄하는 모습입니다.
이렇게 미시·중간·거시 수준의 실천 방법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당사자가 속한 환경을 다층적으로 재구성합니다.
이런 (지역사회) 환경은 당사자가 자기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기반이 됩니다.
"Locality Development is based on the belief that in order to effect change, a wide variety
of community people should be involved in planning,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Key themes include the use of democratic procedures, voluntary cooperation, self-help,
the development of local leadership, and educational objectives.
지역성 개발은 변화를 일으키기 위해 다양한 지역사회 구성원들이 기획, 실행, 평가에 참여해야 한다는 신념에 기반한다.
주요 주제들은 민주적 절차의 사용, 자발적 협력, 자조, 지역 리더십의 개발, 그리고 교육적 목표들을 포함한다.
Social Planning is a rational, deliberately planned, technical process of problem-solving
with regard to substantive social problems. The degree of community participation may vary.
However, building community capacity or fostering radical or fundamental social change is
not a major goal of this model.
사회 계획은 실질적인 사회 문제 해결에 관한 합리적이고 의도적으로 계획된 기술적 과정이다.
지역사회 참여의 정도는 다양할 수 있다.
그러나 지역사회 역량 구축이나 급진적, 근본적인 사회 변화를 조성하는 것은 이 모델의 주요 목표가 아니다.
Social Action assumes that a disadvantaged segment of the population needs to be organized
in order to make demands on the larger community for increased resources or improved treatment.
Key themes in this model are social justice, democracy, and the redistribution of power,
resources, and decision making."
사회 행동은 인구 중 불리한 위치에 있는 집단이 더 많은 자원이나 개선된 처우를 위해
더 큰 지역사회에 요구를 하기 위해 조직될 필요가 있다고 가정한다.
이 모델의 주요 주제는 사회 정의, 민주주의, 그리고 권력, 자원, 의사 결정의 재분배이다.
- Rothman(1974) 원문을 요약 편집
1. 지역성 개발(Locality Development)
로스만(Rothman)의 지역사회사업 모델 중 첫 번째 모델인 지역성 개발(Locality Development)은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 다양한 지역사회 구성원들이 계획, 실행, 평가 과정에 폭넓게 참여해야 한다는
믿음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주요 개념
- 민주적 절차: 모든 구성원이 의사 결정 과정에 참여하고, 의견을 자유롭게 나눌 수 있는 민주적인 과정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 자발적인 협력: 지역사회 구성원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협력을 통해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합니다.
- 자조(Self-help): 외부의 도움에 의존하기보다, 지역사회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역량을 강화하는 것을 강조합니다.
- 지역 리더십 개발: 지역사회 내부에서 리더를 발굴하고 육성하여, 공동체 발전을 주도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교육적 목표: 참여 과정에서 주민들이 사회적 기술과 지식을 배우고 성장하는 것을 중요한 목표로 삼습니다.
즉, 지역성 개발 모델은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동을 통해 지역사회의 역량을 강화하고,
궁극적으로는 주민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힘을 기르는 데 중점을 둡니다.
2. 사회 계획(Social Planning)
'사회 계획' 모델은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합리적이고 기술적인 과정을 중시합니다.
이 모델의 핵심은 전문가 주도로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입니다.
지역사회 주민의 참여는 필요에 따라 제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지역사회 역량을 강화하거나 근본적인 사회 변화를 추구하는 것은 주요 목표가 아닙니다.
주요 개념
- 문제 해결: 특정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데 초점을 둡니다.
- 전문가 역할: 사회복지사나 기획자 같은 전문가가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 합리적 접근: 데이터를 분석하고, 최선의 해결책을 논리적으로 찾아내는 과정에 중점을 둡니다.
- 제한적 참여: 주민 참여는 정보 제공이나 지지 확보 등 필요한 범위에서 이루어집니다.
- 목표: 특정 문제의 해결이며, 지역사회 전체의 역량 강화나 구조적 변화는 부차적인 목표입니다.
3. 사회 행동 (Social Action)
사회 행동 모델은 사회에서 불이익을 받는 집단이 자신들의 권리를 주장하고,
더 나은 처우와 자원을 얻기 위해 조직화되어야 한다는 믿음을 바탕으로 합니다.
이 모델은 사회 내의 불평등과 불공정한 권력 구조에 저항하며, 근본적인 사회 변화를 추구합니다.
주요 개념
- 사회 정의: 가장 중요한 목표는 사회적 불평등을 해소하고
모든 구성원에게 공정한 기회와 자원이 분배되도록 하는 사회 정의를 실현하는 것입니다.
- 권력 재분배: 기존의 권력 구조를 바꾸고, 소외된 집단에게 의사 결정 과정에 참여할 수 있게 안내하여
권력 재분배를 목표로 합니다.
- 갈등과 대립: 사회 구조의 문제를 드러내기 위해 때로는 지배 집단과의 갈등과 대립을 주요 방법으로 활용합니다.
- 조직화: 불이익을 받는 집단이 힘을 모아 목소리를 내고 집단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도록 '조직하기'를 핵심적인 방법으로 삼습니다.
즉, 이 모델은 단순히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넘어,
사회 구조 자체를 변화시켜 불평등을 해소하고 약자의 권익을 증진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첫댓글 싱가폴 가족센터 FSC 지역사회사업 안내서도 로스만을 모델을 기본 이론으로 사용합니다. 그런데 로스만 모델을 설명하고 난 뒤 이렇게 썼습니다.
"주의 : 싱가포르 맥락에서는 압박 전술이나 대립(confrontation)은 사회행동(옹호)의 이념과 들어맞지 않으므로 적절하지 않다고 봅니다."
Note: In Singapore's context, pressure tactics and confrontation are not appropriate as they are not in line with its idealogies of social action and advocacy.
즉, 기본 이론은 가져오지만 현장 상황에 맞게 활용하고, 때로는 재정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