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자아찾기 |
5. 인식론 |
9. 과학 응용윤리 |
13. 민주주의 |
2. 행복 |
6. 이성교제, 젠더 |
10. 자유 |
14. 전쟁과 평화 |
3. 윤리와 도덕 |
7. 종교와 예술 |
11. 평등 |
15. 사회윤리 |
4. 배움과 공부 |
8. 생명 |
12. 법과 의무 |
|
『세계의 교양을 읽는다1-5,』『한국의 교양을 읽는다1-5.』,『미국의 교양을 읽는다』 『내가 아는 것이 진리인가?』, 『논술의 정석 10/3』송국현 외 김용규『철학 통조림 시리즈』, 미셀 옹프레『원숭이는 왜 철학 교사가 될 수 없을까』, 스티븐 로『돼지가 철하게 빠진날』, 『세상을 보는 열일곱개의 신선』 웅진 청바지시리즈 (진리, 세상, 행복, 가치, 전통) 비판력 아카데미(김영배,웅진지식하우스) 『거꾸로 생각해봐 세상이 많이 달라보일걸』(홍세화 외, 낮은산) 『철학을 만나면 즐겁다』(한국철학사상연구회, 북섬) 『비판력 아카데미』(김영배, 웅진지식하우스) |
1. 자아찾기
1 |
변하지 않는 내가 있을까? |
2 |
나는 나인가? (한교5 13쪽) (논술의 정석, 280) |
3 |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에 정확히 답할 수 있는가? (세교2 p291) |
4 |
나는 누구인지 말할 수 있을까? (자아성찰하기) 세팅 포인트(Who am I?) |
5 |
지금의 나는 내 과거, 현재, 미래 중 무엇이 만들어낸 것인가? (세계1 p43)) |
6 |
과거에서 벗어날 수 있다면 우리는 자유로운 존재가 될 수 있을까?(세계의 교양 1권) |
7 |
남이 나를 잘 알까 내가 나를 잘 알까? |
8 |
다른 사람에게 보여 지는 내가 중요할까? 아니면 보여 질 수 없는 내가 중요한 걸까? |
9 |
자아 다원주의 사회에서 ‘나’는 누구일까? (행복청바지 p248) |
글쓰기 주제 - 자기답게 산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며, 그렇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에 정확히 답할 수 있는가?(세계의 교양2) 참고자료 1. 내 안에 누가 있는가? (지킬박사와 하이드, 검은 고양이) (철학을 만나면 즐겁다.p30) 2. 나는 왜 여기에 있는가?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파우스트) (철학을 만나면 즐겁다. p165) 3. 무엇을 위해 살아야 하는가? (수레바퀴 밑에서) (철학을 만나면 즐겁다. p196) 4. 도대체 운명이란 무엇인가? (오이디푸스 왕) (철학을 만나면 즐겁다. p213) 5. 여러분의 운명을 별들에게 물어볼까? (원숭이는 왜, p310) 5. 삶에는 어떤 의미가 있나 (실존주의) 『도덕을 위한 철학 통조림 달콤한 맛』p63 |
2. 행복
1 |
행복은 성적 순 일까요? |
2 |
멋진 물건은 우리를 행복하게 할까요? (심리적 대비현상, 생리적 적응현상) |
3 |
돈은 인간을 행복하게 할까요? |
4 |
돈은 인간을 자유롭게 하나요? 아니면 물질의 노예로 만들까요? |
5 |
행복을 위해 검소와 절제하는 삶을 살아야 할까요? |
6 |
현대의 발전된 사회는 인간을 행복하게 만들었을까요? (불편한 과학기술 이야기, 거꾸로 생각해봐, p62) |
7 |
인간이 동물보다 행복할까? |
8 |
열심히 노력한다고 행복해질까요? |
9 |
수술해서라도 예뻐진다면 행복할까요? |
참고자료 1.『논술의 정석 10․3』p214. 제8장 노동과 소비; 소비주의 시대의 행복이란 어떤 모습일까? 현대식 공장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반항은 사라지고 반항적 이미지가 팔리는 시대, 요람에서 무덤까지 일생이 상품화되는 시대, 소비 시대에 삶의 방식 찾기 2. 탐욕의 끝은 어디인가? (바보 이반) (철학을 만나면 즐겁다.p12) 3. 쾌락적으로 살아도 괜찮은가?(쾌락주의), 행복은 어떻게 얻나?(급진적 구성주의) 『도덕을 위한 철학 통조림 달콤한 맛』p154, 197 4. 욕망은 언제나 규제되어야 하는가? (행복청바지 p211) 5. 즐거운 삶이 좋은 삶일까? (행복청바지 p158) |
3. 윤리와 도덕
1 |
왜 도덕점수가 높은 사람 중에서도 비도적적인 사람이 있는가? 도덕점수와 착한 것 사이에는 관계가 있는가? |
2 |
왜 우리는 쓰레기를 버리면 안 된다는 것을 알면서도 버리는 것인가? |
3 |
모르고 한 것도 잘못인가? (세교4 p55) |
4 |
결과가 중요한가? 동기가 중요한가? |
5 |
선한 목적을 위해서라면 나쁜 행위를 해도 될까? |
6 |
착한 사람은 약자의 편에 서야 하는가?(세계의 교양1) |
7 |
기분 나쁘게 한 친구는 때려도 되는가? 선생님에게 알려야 하는가? |
8 |
착한 행동을 하는 것은 어려운 일인가? |
9 |
행복을 포기하고 의무만을 수행하라는 칸트의 주장은 타당한가? |
10 |
인간은 원래 선한가? 악한가? |
11 |
과학은 도덕의 지도를 받아야 하는가? 예술은 도덕의 지도를 받아야 하는가? |
12 |
우리 사회는 도덕적인가? |
13 |
우리는 손해 보더라도 착하게 살아야 할까? |
14 |
타인에 대한 사랑은 우리의 의무일 수 있는가? (세교1 p52) 착한 사람은 약자의 편에 서야 하는가? (세교4 p209) |
15 |
도덕적으로 살면 손해 보는가? 착하게 살아야 할까? (한교5 p355) |
16 |
도덕으로 우리 사회의 모든 문제가 해결될까? |
17 |
절대적으로 보편 타당한 윤리는 있는가? (내가 아는 P200) (행복청바지 p18) |
18 |
한국은 과연 동방예의지국인가? (전통청바지 p60) |
19 |
법치와 덕치, 어느 것이 더 바람직할까? (전통청바지 p160) |
20 |
예는 반드시 지켜야 하는가? (전통청바지 p180) |
21 |
우리는 부모에게 효도해야 하는가? (전통청바지 p199) |
글쓰기 주제 - 인간의 행위는 타고난 것인가? 길들여지는 것인가? (진리 청바지 p120) - 인간적 행위와 비인간적 행위의 기준은 무엇인가? 우리는 그 기준을 만들 수 있는가? - 내가 결정한 것이 옳은지 아닌지 알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 무엇이 내 안에서 어떤 행동을 해야 할지를 말해 주는가? - 인간은 이타적일 수 있는가? (한교2 p195) - 관용에 한계가 있다면 그 기준은 무엇인가?(세교1 p47) 참고자료 1.『도덕을 위한 철학 통조림 매콤한 맛』 1장 약속은 왜 지켜야 하나?; 도덕이란 무엇인가? 2장 거짓말은 언제나 나쁜가?; 도덕의무론(칸트) 3장 이기주의는 과연 나쁜가? 이기주의 4장 착한 사람이 손해보지 않을 방법은 없나? 이타주의 5장 아홉 사람을 위해 한 사람이 희생되어도 좋은가? 공리주의 2.『도덕을 위한 철학 통조림 달콤한 맛』 7장 끝이 좋으면 다 좋은가? 동기와 결과론 3. 도덕이란 안경과 같을까? (철학학교2. p159) |
|
전국단위 일제고사 허용해야 하는가? |
|
고교 등급제 허용해야 하는가? (비판력 아카데미 p192) |
1 |
선생님의 말이 정답인가, 자신의 생각이 정답인가? 정답이 있는 것인가?2 |
2 |
답이 않나오는 토론을 할 필요가 있는가? |
3 |
토론에 의해 진리에 다다를 수 있는가? (세교3 p309) |
4 |
도덕 수업에 토론은 필요한가? 우리는 토론을 통해 올바름에 도달할 수 있는가? |
5 |
무엇을 배우든지 의구심을 갖는 것이 필요한가? (미교 p49) |
6 |
우리는 선입견에서 벗어날 수 있는가? (한교 1 p35) |
7 |
학교는 필요한 것일까? (한교1 p402) |
8 |
자신이 좋아하지 않는 것은 배울 필요가 없는가? (미교 p61) |
9 |
교과서는 정답일까요? |
10 |
엄마가 담임선생님에게 자기자녀의 잘못된 행동의 원인에 대해 ‘우리 아이는 친구 잘못만나서 그런거에요’라고 말하는 것은 바른 판단인가? |
11 |
선생님을 존경해야 하나? |
12 |
중요과목만 중요한가? |
13 |
학원이 학교보다 나은가? |
14 |
학원은 효과적인가? |
15 |
a맘과 b맘 중 어떤 엄마가 좋은 엄마인가? (미교 p32) |
16 |
간접경험과 직접경험 무엇이 더 유익할까? (미교 p57) |
17 |
공부에는 끝이 있을까? (미교 204) |
18 |
행복은 성적순일까요? |
19 |
공부는 우리를 행복하게 하는가, 불행하게 하는가? |
20 |
우리사회의 교육은 공정한 제도일까요? (한교4 p79) |
21 |
고교등급제를 허용해야 할까요? |
22 |
대학을 평준화해야 할까요? |
23 |
교육을 통해 세상을 바꿀 수 있을까? (학교의 탄생) (한교4 p225) |
24 |
학업에서 우리는 부모의 경제적 능력의 차이를 극복할 수 있는가? |
|
학벌사회는 용인되어야 하는가? (비판력 아카데미 p157) |
25 |
수업 과정에서 틀린 답을 말하는 것은 배우는데 있어 도움이 되는 것일까요? |
참고자료 1. 어떤 공부를 할 것인가?(한교5 p385) 2. 송국현 외2명 『논술의 정석 10․3』(글담출판사, 2006) p68-91. 제3장 학교 ; 학교에서 우리는 어떻게 자라고 있나?, 학교에서 우리는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 학교 교육의 문제는 무엇일까?, 우리를 억압하는 것 뒤에는 더 큰 힘이 있다. 지금 우리에게 학교의 의미와 가치는 무엇인가? 제10장 인식과 앎 ; 우리는 우리의 감각을 확신할 수 있을까?, 내가 살고 있는 세계에 대한 불확실성, 나는 누구인가? 확실한 앎의 회의, 우리는 무엇을 알 수 있는가? 3. 왜 학교는 감옥처럼 지어졌을까? (원숭이는 왜, p142) 4. 『내가 아는 것이 진리인가? 』1장 - 진리란 무엇인가? p12, - 경험은 완전한 지식을 제공하는가? p29, - 과학과 가치는 화해할 수 없는 것인가? p48 5. 지식이란 무엇인가? (철학학교2, p137) 6. 학교의 탄생(휴머니스트) |
5. 인식론
1 |
진리란 무엇인가? (진리청바지, p18) |
2 |
우리가 경험하는 것은 완전한 지식을 줄 수 있을까? (진리청바지, p35) |
3 |
과연 보편적인 것은 존재할까? (진리청바지, p52) |
4 |
진리는 권력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을까? (진리청바지, p68) |
|
6. 이성교제, 젠더
1 |
여성은 만들어지는 것인가?(세교4 p187) |
1-2 |
아직도 현모양처는 필요한가? (가치청바지 p235) |
2 |
외모도 능력일까? |
3 |
외모를 중시하는 것은 나쁜 것인가요? |
4 |
외모와 마음 중 어느 것이 더 중요한가? |
5 |
미인대회는 폐지되어야 하는가? |
6 |
외모지상주의를 사라지게 할 수 있을까? 꽃미남(F4)는 외모지상주의를 삶의 활력소인가? 외모지상주의를 부추기는가? 바비인형은 여자아이들에게 외모지상주의를 부추기는가? |
7 |
청소년 이성교재는 괜찮을까? |
8 |
이성친구와 우정이 가능할까? |
9 |
남녀공학을 찬성하는가 반대하는가? |
10 |
사랑하는 사람과 결혼할 사람 따로따로 분리될 수 있는가? |
11 |
동성애는 비난받아야 하는가? |
12 |
아기를 낳아야 하는 것은 국민의 의무인가? |
13 |
애인에게 바람을 피웠다고 솔직하게 고백해야 할까? (원숭이는 왜, p340) |
참고자료 1.송국현 외2명 『논술의 정석』 p44-65. 성의 곤경들, 성과 사랑의 윤리, 여자로 살고 싶은 아빠, 변하는 성의 개념 성적 편견을 버리고, 삶을 긍정하는 삶의 폭을 넓히자. 2. 여자는 무엇으로 사는가? (인형의 집) (철학을 만나면 즐겁다.p85) 3. 여성은 과연 제2의 성인가? (행복청바지 p284) 4. 동성애, 인류의 죄악인가? (왕의 남자) (철학을 만나면 즐겁다.p102) 5. 동성애는 무엇이 잘못인가? (철학학교1, p35) 6. 사랑은 어떻게 해야 하나? (실존주의2) 『도덕을 위한 철학 통조림 달콤한 맛』p107 |
7. 종교와 예술
1 |
종교는 인간에게 정말로 필요한 것인가? (한교1 p439) |
2 |
종교 없이도 인간은 착하게 살 수 있을까? 신과 종교가 없이도 도덕은 존재할까? (철학학교1, p201) |
3 |
종교적 믿음을 가지는 것은 이성을 포기한다는 것을 뜻하는가? (세교1 p333) |
4 |
인간이 악한 것이 하나님에게는 아무런 책임이 없을까? |
5 |
신앙과 이성은 함께 할 수 있을까? (한교1 p67) |
6 |
신은 죽었는가? (한교5 p121) |
7 |
종교는 약자들을 위한 위로라는 니체의 주장은 타당한가? (세교4 p93) |
8 |
종교는 인간에게 필요한 것인가? |
1 |
다이아몬드 반지는 원래 아름다운가 아니면 사람들이 아름답다고 생각하는 것인가? |
2 |
아름다움의 기준은 사람마다 다른가? |
3 |
예술 작품에도 도덕적 잣대가 필요한가? |
4 |
예술 작품은 반드시 아름다운가?(세계의 교양) |
5 |
예술 없이 아름다움에 대해 말할 수 있는가?(세계의 교양) |
6 |
아름다움과 추함은 대립하는가? (전통청바지 p299) |
7 |
예술은 눈에 보이는 현실을 그대로 그려낼까 (전통청바지 p317) |
8 |
예술과 외설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
참고자료 및 글쓰기 주제 1. 이성과 신앙, 과학과 종교의 사이에 선 인간을 어떻게 볼 것인가? (한교1 p430) 종교적인 믿음을 가지는 것은 이성을 포기한다는 것을 뜻하는가? (세교1 p333) 2. 신은 죽었는가? (한교5 p121) 3. 신은 있을까? (철학학교1. p137), (돼지가 철학, p206) 3. 종교는 약자들을 위한 위로인가?(세교4 p93) 4. 아름다움이란 무엇인가? 5. 보여질 수 없는 아름다움이 존재할까? 6. 우리는 왜 아름다운 것에 이끌리는가? (세교2 p49) 7. 예술 작품은 반드시 아름다운가?(세교1 p134) 8. 예술은 무엇을 꿈꾸는가? (달과 6펜스) (철학을 만나면 즐겁다. p245) 9. 가짜 모나리자 그림은 왜 거는 걸까? (원숭이 왜, p77) 10. 변기는 언제 예술작품이 되는가? (원숭이는 왜, p85) 11. 그런데 그건 예술일까? (철학학교1, p179) 12. 신의 존재유무와 관련된 논증으로 “일상에서 범하는 여덟가지 오류”, “일곱가지 역설”(철학학교2 p245) |
8. 생명
1 |
살아있는 것은 모두 존중되어야 하는가? (세교3 p177) |
2 |
동물원은 필요한 것일까요? |
3 |
인간이 동물보다 뛰어난 존재일까요? |
4 |
멍멍이는 먹어도 될까요? (문화상대주의와 관용) |
5 |
어떤 동물은 먹고 어떤 동물은 먹지 않아야 한다고 주장한다면 이는 동물을 차별하는 것인가? |
6 |
인간은 동물보다 더 소중한가? |
7 |
동물도 고통과 생명의 위협으로부터 보호받을 권리가 있는가? (한교2 p161) (행복청바지 p120) |
8 |
동물은 본능적이고 인간만이 이성적인가? (한교2 p29) |
9 |
육식은 정당한가? 고기를 꼭 먹어야 할까? (철학학교2 p179) (돼지가 철학 p115) |
10 |
모든 생명은 소중한가? (세교3 p177) |
11 |
생명보다 더 소중한 것인 있는가? (세교3 p277) |
12 |
모피 옷을 입는 것은 비난받아야 하는가? |
13 |
나이가 드는 것은 불행한 일인가? (한교1 p411) |
14 |
죽음은 인간에게서 일체의 존재 의미를 박탈해 가는가?(세계의 교양1) |
15 |
죽음의 공포에서 벗어날 수 있는가?(세교2 p239) |
16 |
낙태는 정당한가? (내가 아는 p240) (행복청바지 p103) |
17 |
안락사는 정당한가? (내가 아는 p217) (행복청바지 p86) |
18 |
생명복제는 어디까지 허용해야 하는가? (한교1 p152) |
참고자료 1. 송국현 외2명 『논술의 정석 10․3』(글담출판사, 2006) p124-149. 제5장 삶과 죽음 어떻게 살 것인가?, 행복한 삶이란 무엇인가?, 죽음이란 무엇인가? 삶과 죽음을 둘러싼 사회적 조건들, 죽음을 통해 어떻게 우리의 삶을 바라볼 것인가? 2. 죽음 어떻게 만나야 할까? (주인과 하인) (철학을 만나면 즐겁다.p45) 3. 인류와 자연, 함께 살 수 있을까? (시애틀 추장의 편지) (철학을 만나면 즐겁다. p293) 4. 혹시 사람고기를 먹어본 적이 있는가? (원숭이는 왜, P42) 5.‘돈’보다 훨씬 고귀한 ‘생명’이야기(거꾸로 생각해봐, p80) |
9. 과학 과 응용윤리 그리고 종교
1 |
과학의 발전으로 인간은 더 여유로워 졌는가? (미교 p96) 과학기술의 발전이 인류의 진보를 보장할 수 있을까? (진리청바지 p127) |
2 |
과학은 도덕의 지도를 받아야 하는가? - 기술의 발달이 윤리와 도덕도 바꾸는가? (미교 p84) - 과학자는 연구결과에 대해 사회적으로 책임을 져야 하는가? (내가아는 p103) |
3 |
과학적인 것은 좋은 것이고 비과학적인 것은 나쁜 것인가? (한교1 p106) |
4 |
더 우수한 문명이 존재하는가? (세교3 p159) |
5 |
과학적으로 증명된 것은 진리인가? (세교1 p167) |
6 |
생명복제 기술은 허용해야 하는가? (한교1 p152) |
7 |
생명은 과학적 분석의 대상이 될 수 있는가? (한교2 p95) |
8 |
현대인들은 왜 불안한 미래를 꿈꾸는가?(한교3 p251) 인류의 미래는 밝은 모습일까? 어두운 모습일까? |
9 |
과학과 종교는 대립적인가? |
10 |
이성과 신앙, 과학과 종교의 사이에 선 인간을 어떻게 볼 것인가?(한교1 p430) |
11 |
신앙과 이성은 공존할 수 있는가? (한교1 p61) |
12 |
종교없는 과학은 온전할 수 있는가?(한교2 p325) |
13 |
지식은 종교적인 것이든 비종교적인 것이든 일제의 믿음을 배제하는가?(세교1 p204) |
참고자료 1. 인간은 왜 자신과 닮은 사이보그를 만들려고 하는것 인가? (한교1 p135) 2. 우주개발은 인간에게 필요한 것인가? (한교1 p145) 3. 환경파괴, 기술의 문제인가? 체제의 문제인가? (내가 아는 P291) 4. 종교와 과학, 투쟁이냐 조화냐? (내가 아는 307) (진리청바지 p260) 5. 우리는 휴대폰 없이 지낼 수 있는가? (원숭이는 왜, p102) 6. 왜 이성적으로 살아야 하는가? (원숭이는 왜, p324) 7. 창조론은 과학적일까? (철학학교1, 223) 8. 유토피아는 정말 가능한가? (철학을 만나면 즐겁다. p230) 9. 우리가 사는 세계는 진짜일까? (철학을 만나면 즐겁다. p258) |
10. 자유
1 |
우리는 자유로운가? (막연하다.) |
2 |
사람은 자율적인 존재인가? 타율적인 존재인가? |
3 |
청소년기에 자유는 잠시 포기해야 될 가치인가? |
4 |
부모와 선생님은 우리의 자유를 제한할 권리가 있는가? |
5 |
우리나라 국민은 자유로운가? |
6 |
자유와 평등 중 무엇이 우선일까요? |
7 |
우리 두발과 복장은 자율화 되어야 하는가? |
8 |
자유에도 제한이 필요한가? |
9 |
법만 어기지 않는다면 어떤 자유도 허용되어야 하는가? |
10 |
국가로부터 개인의 자유는 어디까지 보장되어야 하는가? (한교4 p63) |
11 |
인간은 더 자유로울 수도 덜 자유로울 수도 있는가? (세교4 p229) |
12 |
진정 자유롭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한교1 p326) |
13 |
자유는 주어지는 것인가, 아니면 싸워서 획득해야 하는 것인가? (세교1 p222) |
14 |
자유는 두려운 것인가? (세교1 p258) |
15 |
우리는 자발적으로 자유를 포기할 수 있는가? (세교4 p73) |
16 |
비행을 예방하기 위해 CCTV를 설치하는 것은 바람직한가? |
|
욕망을 다스릴 수 없다면 우리는 자유로운 것인가? |
참고자료 1. 『논술의 정석 10․3』(글담출판사, 2006) p152. 제6장 민주주의 올바른 민주주의는 무엇일까?, 상상의 나라, 동화의 세계, 자유를 잃어버린 공포의 세계, 자유와 평등은 양립할 수 있는가? 자유와 평등의 조화로운 세상을 위하여 2.우리는 왜 싸워야 하는가? (안네의 일기,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 (철학을 만나면 즐겁다. p165) |
11. 평등
1 |
차별 없는 세상은 가능한가? (한교4 p175) |
2 |
평등은 인간을 행복하게 하는가?(한교4 p175) |
3 |
다름은 곧 불평등을 의미하는 것인가? (세교1 p282) |
4 |
왜 우리는 우리와 다른 것을 차별하는가? |
5 |
자유와 평등은 함께 갈 수 있는가? (내가 아는 p122) |
참고자료 1. 『논술의 정석 10․3』(글담출판사, 2006) p182. 제7장 세계화 ; 세계화와 우리의 삶, 왜곡된 세계화가 빚은 비극의 한 단면 문명과 야만 사이에서 우리는 무엇을 하고 있는가? 정의로운 세계를 위한 즐거운 상상 우리가 진정으로 바라는 세계, 세계화는 어떤 모습인가? 제9장 소수자와 인권 ; ‘차별’과 ‘차이’의 구분, 6개의 눈으로 본 우리의 인권 민족과 핏줄이라는 허구, 타자를 광인으로 만들어간 광기, 소수자와 차이를 인정하기 위한 새로운 인식 2. 유토피아, 정말가능한가? (걸리버 여행기) (철학을 만나면 즐겁다. p230) 3. 인간 소외 어디서 오는가? (내가 아는 P135) 4. 인간의 사회는 왜 불평등해졌을까? (세상을 보는, p215) 5. 최저임금생활자는 현대판 노예인가? (원숭이는 왜, p119) 6. 차별을 고치기 위해 ‘역차별 대우’는 과연 정당할까? (행복청바지 p66) 7. 인간의 소외는 어디에서 오는 걸까? (행복청바지 p230) |
12. 법과 의무
|
범죄인 신상공개 허용해야 하는가? (KBS2 시사360 09년 1월 29일) |
1 |
법은 꼭 필요한가? (법은 누구를 위해 있어야 하는가?) |
2 |
우리는 무엇에 복종해야 하는가? (학교5 p175) |
3 |
법을 만드는 사람들은 어떤 권리로 법 또는 규칙을 만드는가? |
4 |
학생주임 선생님의 말도 않되는 규칙은 거부해도 될까? (원숭이는 왜, p182) |
5 |
법을 거부하는 것이 옳을 수 있는가?(세계의 교양을 읽는다) |
6 |
법에 복종하지 않는 행동도 올바른 행동일 수 있을까? |
7 |
법에 복종하는 것은 정의를 수호하는 것인가, 권력에 굴복하는 것인가? |
8 |
국법은 반드시 지켜야 하는가? (한교4 p313) |
9 |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이것의 의미하는 바는? (한교1 p363) |
10 |
사회문제는 모두 법으로 해결할 수 있는가? |
11 |
의무를 다하지 않고도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가? |
12 |
사람을 때릴 권리가 인간에게 있는가? |
13 |
체벌은 올바른 인성을 기를 수 있는가? |
14 |
사이버모욕제는 허용되어야 하는가? (행복청바지 p50) |
15 |
비행을 예방하기 위해 CCTV를 설치해도 되는가? |
글쓰기 자료 1. 체벌의 의미가 무엇입니까? 2. 체벌의 기준은 무엇입니까? 3. 어른은 때리면 안 되는데 청소년은 괜찮은 이유는 무엇인가? 참고자료 1.빅브라더는 어디에 있을까? (파리대왕, 1984) (철학을 만나면 즐겁다. p124) 2.리더는 무엇을 말하는가?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철학을 만나면 즐겁다. p149) 3.규칙은 쓰레기통에 던져버려야 할까? (원숭이는 왜, p200) 4.성범죄:범죄자의 인권과 피해자의 인권 (비판력 아카데미 p235) |
1 |
민주주의를 비판할 수 있는가?(세계의 교양3) |
2 |
민주주의는 비판할 수 있는가? (세교3 p143) |
3 |
민주주의는 완벽한 제도인가? |
참고자료 1. 왜 다수는 언제나 소수에 우선할까? (행복청바지 p32) |
1 |
우리 사회에 영웅은 필요한가? (한교4 p295) |
2 |
영웅을 보면 그 사회의 성격을 알 수 있는가? (미교 p163) |
3 |
정의로운 전쟁은 존재하는가? (세교3 p341) |
4 |
정당한 전쟁은 가능한가? (한교1 p234) |
전쟁은 피할 수 없는 일이라고? 절대 그렇지 않아(거꾸로 생각해봐 p150) |
15. 사회윤리
|
청년 실업 사회의 문제인가? 개인의 문제인가? (비판력 아카데미 p152) |
1 |
도덕으로 사회 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나? |
2 |
우리 사회는 도덕적인가? |
3 |
인권과 국익 중 무엇을 더 선호해야 하는가? (세교3 p261) 미국산 쇠고기 문제 |
4 |
공동체는 개인의 자유를 억압하는가? (세교3 p101) |
5 |
개인이 우선인가 공동체가 우선인가? (내가 아는 p152) |
6 |
개인은 다수의 행복을 위해 희생되어도 좋은가? (한교4 p29) |
7 |
사랑이 의무일 수 있는가? (세계의 교양) |
8 |
우리는 약자의 편에 서야 하는가? (세교4 p209) |
9 |
우리는 사회적 약자의 고통과 불행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하는가? |
10 |
가족은 해체되어도 좋은가?(한교4 p261) |
11 |
혈족으로서의 가족이 아닌 가족은 가능한가? (한교1 p384) |
12 |
다문화 가족 어떻게 볼 것인가? (비판력 아카데미 p11) |
13 |
우리는 사회 경제적 출신 배경을 완전히 벗어나는 것은 가능한 일일까? |
참고자료 1. 『논술의 정석 10․3』(글담출판사, 2006) p18-41. 가족 안에서 우리는 정말 행복할까?, 가족 속에 과연 진정한 행복이 있는가? 더 나은 가족을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는가?, 가족 속의 고독 현대 사회에서 가족의 모습은 어떻게 변해야 할까? 1-2 가족주의, 지켜야 할까 버려야 할까? (가치청바지 p147) 2. 『논술의 정석 10․3』(글담출판사, 2006) p96-120. 대중문화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취향과 성공, 무엇이 우선되어야 할까? 우리만의 문화공동체를 세우자!, 현대 사회의 새로운 문화 현상들 문화의 시대, 새로운 정체성 찾기 2-2 싱글맘:새로운 가족의 출현 (비판력 아카데미 p136) 3. 세계화 속의 민족, 가능할까? (백범일지, 톰 아저씨의 오두막집) (철학을 만나면 즐겁다. p311) 4. 공동체주의는 여전히 유효할까? (세상청바지 p54) 5. 공동체주의적 자유주의는 가능할까? (가치청바지 p115) 5. 국가로부터 자율적인 시민사회는 가능할까? (세상청바지 p94) 6. 민족과 국가를 초월한 공동체는 어떻게 가능할까? (세상청바지 p147) 7. 민족은 허구가인가? (한교1 p244) 8. 세계화 시대, 민족주의는 사라질까? (세상청바지 p204)(내가 아는 p274) 9. 자유경쟁체제 과연 바람직한 제도인가? (세상청바지 p240) 10. 자본주의는 인간을 행복하게 하는가?(한교4 p141) 11. 자유경쟁체제, 과연 바람직한 제도일까? (세상청바지 p240) 12. 지속가능한 발전은 과연 가능할까? (세상청바지 p258) 13. 성장과 분배, 어느 것이 먼저일까? (세상청바지 p276) 14. 신자유주의, 발전일까 재앙일까? (세상청바지 p296) 15. ‘조승희 사건’인종문제일까, 미국의 문제일까? (비판력 아카데미 p16) 17. 이긴자가 다 갖는 것 당연하다고?(승자독식, 그 야만의 사회를 벗어나기 위하여, 거꾸로생각해봐 p16 18. 다인종 사회:박노자, 인종충돌:이현송, (비판력 아카데미, p11) |
첫댓글 안녕하세요. 선생님~ 자료 좋아서 스크랩 좀 해 가겠습니다. 몇 년 전에 선생님의 책 생각하는 도덕수업도 사서 많이 공부했었죠. 그리고 전국도덕교사모임에 두 번정도 가서 뵌 적도 있죠^^ 그 때 울산의 이호중샘 자료 엄청 받아서 제 수업에 써 먹었던 적 있죠~ 저도 그런 은혜들 보답할 길이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제 허접한 토론수업 자료 있는 카페 있습니다. 한번 방문해 주시면 큰 영광으로 생각하겠습니다. cafe.daum.net/baeumce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