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행복해지려면 엄마의 삶이 행복해야 합니다. 엄마가 삶을 대하는 시선대로 아이는 삶을 대하는 시선을 배웁니다.' 모임을 주선하기 전, 선행연구에서 명분이 바로 세워집니다. 어떤 책을 읽으면 좋을지 다른 선생님들께 여쭤보는 방법도 좋겠군요. 사례들을 읽으며 역시 선행연구는 중요하다는 것을 느낍니다. 선행연구로 필요한 이유가 잘 정리되어야 참여했으면 하는 주민, 당사자에게도 잘 설명드릴 수 있는 것 같습니다.
'나를 위한 책', '어떠한 수식 없이 온전히 자기 이름 그대로 존재하는 시간' 기록 속 책모임의 유익이 선명합니다. 저 또한 그랬을 것이고, 아이들을 위해서 '나'라는 존재를 더 내려놓게 되는 부모님에게 정말 소중한 시간이 될 것 같습니다.
책 모임 초기에는 조금 어색할 수도 있겠습니다. 어떤 책을 읽어야 할지 많이 고민이 될 듯 합니다. 임세연 선생님이 <자기 앞의 생> <톨스토이 단편선> 몇 가지 제안을 생각해보신것처럼 사회사업가도 제안해볼만 한 것을 구상해감이 좋을 것 같습니다. 기록 공유해주셔서 고맙습니다!
잘 읽었습니다. 서하 어머님께서 얼마나 힘들어하셨을까요. 이미 몸과 마음 모두 지쳤을 텐데 상담하며 부담이 더욱 가중되었으니까요. 잘 돕고 싶은 마음으로 책 모임을 떠올리셨고, 처음 하는 엄마 책 모임 잘 이루고자 탄탄하게 선행연구 하여 준비하신 실천 사례를 보고 배우게 됩니다.
첫댓글 잘 읽었습니다.
잘 읽었습니다. 다음 이야기가 궁금해집니다. 자기 공간, 자기 책, 자기 이야기... 수 많은 역할을 갖고 해내는 엄마들에게 정말 필요한 시간이었을 거라 짐작해봅니다. '고전읽는 엄마' 한 마디로 품위있습니다. 모임을 만든 임세연 선생님 마음이 느껴집니다.
잘 읽었습니다. ‘모임’을 위해 사람이 있는 것이 아니라 ‘사람’을 위해 모이는 것 같아 읽는 내내 편안했습니다. 다음 이야기가 기대됩니다!
마음이 힘든 서하 어머님이 책모임에 참여한 뒤 좀 편안해지셨을지 궁금합니다.
적절한 치료가 매우 중요하지만
그게 전부는 아닐거예요.
당사자가 하고 싶은 일, 해볼 만한 일, 할 수 있는 일을 주선하고 거드는 것,
사회복지사가 할 수 있는 일을 합니다.
관련 책을 읽고
동료 선배에게 모르는 것은 보태어 묻고
이렇게 하면 사업 잘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주민모임 100편 읽기 여든 두번 째 글,
임세연 선생님의 실천 이야기 잘 읽었습니다.
(제 생각엔 갓난 아기도 필요할 것 같은..) '제3의 공간'
그 공간을 이루는 방법이자, 현실의 어려움을 돌파하는 방법으로써
왜 엄마 모임을 하게 되었는지를 알 수 있었습니다.
그 모임의 일환으로써 구상하게 된 책 모임,
시작하기 전에 경험자에게 의견을 구하고 책을 읽으며 문헌연구를 했습니다.
저 역시 사업 시작 전에 문헌연구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기에,
임세연 선생님의 문헌연구 과정에 공감하며 읽었습니다.
문헌연구를 한 후에 진행 된 엄마 책모임,
어떻게 이야기가 펼쳐질지 궁금해집니다.
귀한 실천 이야기,
나눠주어 고맙습니다 :)
잘 읽었습니다!
'아이가 행복해지려면 엄마의 삶이 행복해야 합니다. 엄마가 삶을 대하는 시선대로 아이는 삶을 대하는 시선을 배웁니다.' 모임을 주선하기 전, 선행연구에서 명분이 바로 세워집니다. 어떤 책을 읽으면 좋을지 다른 선생님들께 여쭤보는 방법도 좋겠군요. 사례들을 읽으며 역시 선행연구는 중요하다는 것을 느낍니다. 선행연구로 필요한 이유가 잘 정리되어야 참여했으면 하는 주민, 당사자에게도 잘 설명드릴 수 있는 것 같습니다.
'나를 위한 책', '어떠한 수식 없이 온전히 자기 이름 그대로 존재하는 시간' 기록 속 책모임의 유익이 선명합니다. 저 또한 그랬을 것이고, 아이들을 위해서 '나'라는 존재를 더 내려놓게 되는 부모님에게 정말 소중한 시간이 될 것 같습니다.
책 모임 초기에는 조금 어색할 수도 있겠습니다. 어떤 책을 읽어야 할지 많이 고민이 될 듯 합니다. 임세연 선생님이 <자기 앞의 생> <톨스토이 단편선> 몇 가지 제안을 생각해보신것처럼 사회사업가도 제안해볼만 한 것을 구상해감이 좋을 것 같습니다. 기록 공유해주셔서 고맙습니다!
잘 읽었습니다. 서하 어머님께서 얼마나 힘들어하셨을까요. 이미 몸과 마음 모두 지쳤을 텐데 상담하며 부담이 더욱 가중되었으니까요. 잘 돕고 싶은 마음으로 책 모임을 떠올리셨고, 처음 하는 엄마 책 모임 잘 이루고자 탄탄하게 선행연구 하여 준비하신 실천 사례를 보고 배우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