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비로운 아버지 비유 누가복음 15장 11-32절
오늘 본문에 등장하는 두 아들은 좀 극단적으로 못됐습니다. 예수님께서 극단적인 예를 일부러 등장시켰는지도 모릅니다. 그래서 이 이야기는 가정에서 공동체안에서 망나니 같은 이들을 대하는 태도인지도 모릅니다. 일단 둘째 아들은 아버지에게 유산을 요구합니다. 좀 싸가지가 없습니다. 여러분 나이 들어서 미리 유산 주고 나면 자식들이 집에 오나요? 안 옵니다. 아버지 대접도 안 해줍니다. 돈 떨어지면 친구도 떨어집니다. 다 큰 놈이 독립하려면 스스로 하지 재산까지 요구합니다. 아버지의 체면이나 권위나 존중도 없습니다. 아버지를 산송장 취급합니다. 못 됐습니다. 그런데 본문에 나오는 아버지는 그런 아들에게 삶에서 도전해볼 수 있는 기회를 줍니다.
그렇게 해서 나갔으면 보란 듯이 잘 살면 얼마나 좋습니까. 죄다 허랑방탕하게 탕진하고는 삶도 비참한 나락으로 떨어집니다. 가축을 돌보는 우리에 들어가 그놈들이 먹고 사는 것을 먹고 싶을 정도였으니 망가질대로 망가진 겁니다. 그런데 아버지는 더 이상은 도와주지 않습니다. 간섭하지도 않습니다. 감나라 대추나라하지도 않습니다. 자신이 마음 편하기 위해서라도 데리고 와서 제대로 먹이고 입히고 해서 집안 명예라도 더럽혀지지 않게 해야하는데 하지 않습니다. 자식의 인생은 자식의 몫이 있습니다. 간섭하지 않습니다. 자기 발로 돌아올 때까지 기다립니다. 구질구질하게 찾아다니지 않습니다. 주체성만을 망가뜨릴 뿐입니다.
얼마나 기다렸는지 모릅니다. 수없이 많은 날들을 기다렸습니다. 속이 다 썩어들어갔을지도 모릅니다. 어느 날 망가질데로 망가진 못난 아들이 저 멀리서 돌아옵니다. 근데 내쫒지 않습니다. 측은히 여겨 달려가 그의 목을 껴안고 입을 맞춥니다. 측은히 여긴다는 말은 애끓은 마음으로 달려갔다는 말입니다. 새 옷을 꺼내고 손에 반지를 끼우고 발에 신을 신깁니다. 살진 송아지를 잡습니다. 부드럽고 따뜻한 온유한 어머니의 품 같은 아버지입니다.
큰아들 역시 못됐습니다. 돌아온 동생을 환대하지 않습니다. 못된 놈을 위해 잔치를 하는 아버지를 원망합니다. 그런 큰 아들을 위해서도 아버지는 설명하고 설득합니다. 잃었다가 다시 찾은 사람이 바로 “네 아우 아니냐고” 사랑하는 이들을 다시 찾은 것을 기뻐합니다.
본문의 이야기는 당대의 권위주의적이고 가족, 생명, 사람보다 자신의 권위와 명예를 중히 여기는 아버지상을 허뭅니다. 마치 엄마처럼 기회를 주고 믿어주고 간섭하지 않고 기다려주고 어떤 모습이어도 따스한 품으로 안아주는 끝까지 내 앞에 있는 그 사람과의 연결성을 놓치지 않는 따뜻한 엄마입니다.
아버니의 입장에서 보면 따뜻한 엄마 품, 기다려주고, 기회를 주고, 용서하는 이런 품을 지니고 산다는 게 보통 내공이 아닙니다.
그러나 아들 입장에서 보면 주체적으로 서고 싶은데 사람인지라 실수도 많고 넘어지기도 하고 실패도 하고 그러나 한결같이 자신을 믿어주고, 기다려주고, 간섭하지 않고 따스한 눈으로 보아주는 사람이 있다면 자신의 길을 가는데 더없는 힘이 될 것입니다. 삶의 어떤 시기에도 누구에게나 이런 아버지, 엄마가 필요합니다. 공동체에도 사회에도 그렇습니다.
여러분들은 이런 아버지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고 여러분들은 여러분들의 자식에게 어떤 부모이고 싶은지, 그리고 그런 부모가 되기 위해 노력하고 싶은 게 뭔지 함께 나누어 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