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2 복습하다가 궁금한 게 생겼는데요제가 가진 어떤 책에도 이에 대한 설명이 없어서 질문합니다!2012년 5월에 있었던 수능예비평가 지2 문제 12번에 ㄴ보기에서 방해석 회전시키면 한 점은 고정되어있고나머지 한 점이 고정된 점을 중심으로 회전한다고 되어있고이 보기는 맞는 보기라는데요.다양한 교재에서 복굴절을 표현하는 그림들을 보면자연광이 두 선으로 분리될 때 두 선 모두 굴절되는 것 같아서요.그렇다면 한 점을 중심으로 다른 한 점이 회전하는 게 아니라두 점 모두 회전하는 모습이 아닐까요?교재에 복굴절 그림들이 잘못된 걸까요?자연광이 광물 표면에 수직으로 들어오면한 선은 그대로 직진해서 나오고 나머지 한 선만 굴절 되는건가요?
첫댓글 방해석이 복굴절이 일어날 때 정상광선(o-ray)는 굴절의 법칙을 따른 빛, 이상광선(e-ray)은 결정의 비대칭성 등에 의해 굴절의 법칙을 따르지 않는 빛으로 총 2개의 ray로 굴절합니다. 고정된 점은 o-ray(우리가 알고 있는 정상 굴절)로 만들어지고 회전하는 점은 e-ray로 만들어지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다음 그림 참고하시면 됩니다.
이미지 출처 알 수 있을까요.?
@서울 물리 광물과학입니다
@가객 감사합니다!
첫댓글 방해석이 복굴절이 일어날 때 정상광선(o-ray)는 굴절의 법칙을 따른 빛, 이상광선(e-ray)은 결정의 비대칭성 등에 의해 굴절의 법칙을 따르지 않는 빛으로 총 2개의 ray로 굴절합니다. 고정된 점은 o-ray(우리가 알고 있는 정상 굴절)로 만들어지고 회전하는 점은 e-ray로 만들어지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다음 그림 참고하시면 됩니다.
이미지 출처 알 수 있을까요.?
@서울 물리 광물과학입니다
@가객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