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소광은 광축에 수직으로 절단된 이방성 광물의 경우 빛이 상부니콜을 통과하지 못해 완전소광이 일어나 면지수가 (001)인 것은 알겠는데최대 복굴절률을 잘 모르겠어요ㅠㅠ
첫댓글 최대복굴절률은 굴절곡면상 상광선의속도와 이상광선의속도차이가 최대가될때 나타납니다. 그림(나)를 보시면 상광선의 굴절곡면과 이상광선의 굴절곡면이 서로 직교할때 최대복굴절률이 나타나게됩니다. 따라서 밀러지수는 (010)혹은 (100) 둘중 하나를 쓰시면 되겠네요. 자세한건 지구물질과학이나 광물과학을 참고하시면될거 같아요.
@살이 광축과 평행하게만 잘리면 되기때문에 말씀하신거처럼 (-100) (0-10) 도 가능하지만 (100)과 (-100)을 따로 써주는 건 두면이 평행하기때문에 방향적인 면을 고려해주는 밀러지수에서는 의미가 없다고봅니다..따라서 (100)(010)을 쓰던 (-100)(0-10)을쓰던 상관없을것같네요. (음의밀러지수표현은 숫자위에 "바"로 표현해야하지만 핸드폰이라 마이너스로 표현했습니다)
첫댓글 최대복굴절률은 굴절곡면상 상광선의속도와 이상광선의속도차이가 최대가될때 나타납니다. 그림(나)를 보시면 상광선의 굴절곡면과 이상광선의 굴절곡면이 서로 직교할때 최대복굴절률이 나타나게됩니다. 따라서 밀러지수는 (010)혹은 (100) 둘중 하나를 쓰시면 되겠네요. 자세한건 지구물질과학이나 광물과학을 참고하시면될거 같아요.
@살이 광축과 평행하게만 잘리면 되기때문에 말씀하신거처럼 (-100) (0-10) 도 가능하지만 (100)과 (-100)을 따로 써주는 건 두면이 평행하기때문에 방향적인 면을 고려해주는 밀러지수에서는 의미가 없다고봅니다..따라서 (100)(010)을 쓰던 (-100)(0-10)을쓰던 상관없을것같네요.
(음의밀러지수표현은 숫자위에 "바"로 표현해야하지만 핸드폰이라 마이너스로 표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