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의 본성을 묻는 문제를 풀 때
'사회적 합의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와 '사회, 문화의 영향을 받는다' 를 구분해서 답해야 할 것 같은데
문제를 보면 헷갈리더라고요 ㅠㅠ
'사회적 합의'라는 말을 어떨 때 쓰는 것인지 명확한 개념이 있는 건가요...?
아니면 '과학의 사회성' 에 포함하는 내용으로 두 가지를 크게 구분하지 않고 쓰는 것인가요..?
살짝 다른 내용인 것 같아서 구분해서 쓰려고 하는데 지문을 읽고 구분하기가 은근 쉽지 않아서요 ㅜㅜ
이 두가지를 구분하는 기준이나 '사회성' 관련해서 묶어써도 되는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관련 글은 서치해보았는데 상관 없다는 의견도 있고 구분해서 생각하시는 분도 있어서,, 질문 남깁니다
첫댓글 사회적 합의는 여러 과학 지식 중 과학자들이 어떤 지식을 인정하느냐가 사회적 합의로 볼 수 있습니다. 즉 과학지식이 구성되어 정상과학이 되는 것이고
과학의 사회성은 내적으로는 과학지식을 구성하는데 과학자들 사이의 의사소통, 과학자와 자연과의 상호작용 / 외적 : 과학자와 대학, 연구소, 종교, 타학문과의 관계, 과학과 기술에대한 국가의 지원, 사회의 지원 정도로 볼 수 있습니다
결국 여러 경쟁이론 중 과학자들이 하나로 합의했다 - 사회적 합의
유전자복제, 유전자 조작은 사회, 문화, 종교등에 영향을 받아 실제로 하지 못했다 - 과학이 사회, 문화의 영향을 받는것 입니다.
@불사 아!! 이해가 되었어요 감사합니다 선생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