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물♡화♡생♡지
 
 
 
카페 게시글
☞ 과학교육론 긍정/부정적 발견법
뿌시기 추천 0 조회 530 22.09.29 16:15 댓글 39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22.09.29 17:21

    첫댓글 문제를 볼수있을까요?

  • 작성자 22.09.29 17:22

    문제가 긍정적발견법인지, 부정적발견법인지 찾는거에요!!

  • 22.09.29 17:28

    @뿌시기 임시변통적 가설을 내놓아서 견고한핵(뉴튼의 이론)을 보호하고, 보호대를 수정보완하는것은 부정적발견법이에요. 따라서 부정적발견법이라 할수있겠습니다

  • 작성자 22.09.29 17:46

    @바닐라맛 아! 벌컨이 임시변통적 가설이군요~ 답변 감사합니다^^

  • 22.09.29 17:38

    보호대로 도입한 벌컨이 검증불가능한 임시변통적 가설이므로 부정적 발견법이네요

  • 22.09.30 21:12

    임시변통적 가설을 도입하면 무조건 부정적 발견법인가요? 이유가 궁금합니다.!

  • 22.09.30 23:38

    @그해우리는 음.. 제 지식이 정확한 것은 아니지만
    ㄱㅇㄱ 쌤 강의 들을 때 보호대로 도입한 보조가설은 과학적으로 검증 가능하거나 과학적인 근거에 기반해야 긍정법 발견법이라도 하셨습니다.
    임시변통적 가설은 애초에 검증이 불가능한 가설이기 때문에 부정적발견법으로 생각하면 될 것 같아요!
    제가 지구과학은 아니지만 문제상 벌컨은 과학적 근거에 기반해서 나오것도 아니고 발견되지 않았으므로 검증가능 한 것도 아니라 임시변통적 가설이라고 생각했어요!

  • 22.09.30 23:39

    @화하하학// 화학 플로지스톤설을 지지하기 위해 음의무게를 주장하는 것과 유사하게 생각해도 될 것 같네요!

  • 22.10.01 10:37

    @화하하학// 답변 감사합니다. 그런데 제 생각은 라카토스의 연구프로그램에 있어서 검증이 가능하냐 불가능하냐는 중요하지않고, 변칙사례를 설명하려 했느냐 안했느냐에 따라 긍정적/부정적 발견법이 나눠지는것 같아요. 그러니까 변칙사례 설명 유무에 초점을 둬야하지 않을까요?

  • 22.10.01 11:05

    @그해우리는 우선 보호대 자체는 변칙사례를 설명/해결해 핵을 보호하기 위해 도입하는건데,
    저는 이 보호대가 핵을 어떻게 보호하는지가 긍정적/부정적 발견법을 구분하는 준거가 된다고 이해하고있어요.

    변칙사례를 설명한다고 모두 긍정적 발견법은 아니고
    그 변칙사례를 설명하는 근거가 과학적 기반이거나 검증가능해야 한다는거죠.

    그래서 만일 변칙사례를 설명하고 있지만 그 내용이 터무니없는거라면 부정적 발견법으로 본다고 생각해요

  • 22.10.01 11:11

    @화하하학// 그래서 아래 담대하게 님 말처럼
    이 벌컨을 주장하고 이게 발견되었다면 검증이 된 거니까 긍정적 발견법이 되지만

    문제의 경우 벌컨이 있음을 주장 했으나 발견되지 않았고 그 주장 자체는 어떠한 과학적 기반에 의해 나온것이 아니라 그냥 핵을 보호하기 위해 나온것이라 임시변통적 가설로 생각할 수 있어요.

    ㄱㅇㄱ 책에 따르면 임시변통적 가설은 부정적 발견법의 대표적인 사례이구요

  • 22.10.01 13:43

    @화하하학// 첫번째로 새로운 가설을 끼워 넣는 것이다. 이 발견은 해왕성 발견 때 실제 사용되었다.



    천왕성의 궤도가 뉴턴의 역학과 중력의 법칙의 예측과 다르다는 것이 관측되었다.

    변칙 사례가 발견된 것이다.

    뉴턴의 이론에 따르면 시간t1~t2에서 천왕성의 궤적은 R1이여야 하지만, 실제로 관측된 궤적은 R2였다.



    영국의 애덤스와 프랑스의 르베리애는 각각 천왕성 바깥쪽에 미지의 행성 N이 존재하여

    그것의 인력으로 천왕성의 운행을 교란한다는 새로운 가정(H)을 도입했다.
    뉴턴이론을 포기하고 거부하는 대신, 전제에 보조가설(H)를 추가함으로써 뉴턴 이론에 새로운 기회를 주었고,,,,

    그로부터 60년이 지난후 그 미지의 별(해왕성)의 존재가 관측을 통해 확인되었다.

    이 사례만 보더라도 과학도가 과학적 발견을 위해,

    합리적으로 접근 가능한 긍정적 발견법을 실제로 사용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내용은 지구과학 22년 A 5번입니다

  • 22.10.01 13:39

    @지구과대장 벌컨과 위 사례의 미지의 행성은 같은 사례입니다

  • 22.10.01 13:40

    @지구과대장 판단은 각자의 몫입니다

  •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2.10.01 13:57

  • 22.10.01 14:10

    @화하하학// 왜 비밀댓글로 하셨는지는 모르겠지만 비밀 댓글로 하면 저희 둘만의 한정된 지식을 가지고 언쟁하는 것 밖에 안됩니다
    선생님 말대로라면 마지막에 발견이 되었냐 안되었냐 이 차이때문에 긍정적 부정적 방법으로 나뉜다고 생각하시는거죠? 임시변통적이라는 앞 선생님 주장이랑 다른 얘기입니다 그 차이로 나눌거면 퇴행적 전진적 프로그램하고 부정적 긍정적 발견법이 항상 일맥 상통해야한다는 얘기아닌가요? (퇴행적=부정적, 전진적=긍정적) 퇴행적 전진적은 사회에따라 받아들여지냐 안받아들여지냐 차이로 나뉘어집니다(지동설) 방법론과 연구프로그램은 동일시 되어서는 안됩니다
    해왕성과 벌컨 모두 궤도이상이라는 변칙사례를 미지 행성이라는걸 도입했습니다 중력영향으로요 방법자체는 둘다 같습니다 같은 사례고, 결과만 달랐을뿐이죠

  • 22.10.01 14:35

    @지구과대장 제가 비댓으로 한건 제 의견이 선생님 의견에 반대되는거고 틀렸다는 것을 지적하는 것이 될수도 있어 그런것이구요

    하나씩 말씀드리겠습니다.

    1. 이 문제는 객관식 기출변형 문제이고 원래 기출에 따르면 이 가설은 쿤의 관점에서 임시변통적가설로 본다는 지문이 있으면 이 답안은 맞는 답안이었습니다.
    즉, 이 가설이 임시변통적 가설이라는 거죠. 그리고 임시변통적 가설이 보호대로 도입되면 당연히 부정적 발견법이 되는 것이구요.

    그리고 제가 검증가능성과 발견여부에 초점을 맞춘건 이 가설이 왜 임시변통적 가설인지 설명하기 위해서 였습니다. 임시변통적 가설은 검증이 불가능한 가설이니까요.

    그리고 이렇게 긍정적 발견법으로 분류하는 준거는 한가지가 아닙니다. 여러 과학사 사례가 다 동일하지 않기에 그 사례에 맞추어 생각해야하는데 이 사례의 경우는 임시변통적 가설임을 판단하기 위해 발견여부가 판단 준거가 된 것 입니다.

    또한, 부정적 발견법도 판단 준거가 여러가지인데 무시/예외취급, 임시변통적 가설 주장, 핵에 근거하여 R2해석, 실험조건 오류 주장 등이 있죠
    이 문제는 이 중 임시변통적 가설에 해당되구요

  • 22.10.01 14:39

    @지구과대장 임시변통적 가설이 부정적 발견법이라고 얘기 하셨고 해왕성과 벌컨이 발견법이 다른이유는 ‘결과’ 라고 말씀 하셨으면
    임시변통적 가설은 결과에 따라 임시변통적이 될수도 있고 과학적 근거가 있는 주장이 될수 있는게 되는겁니다 아무리 말도 안되는 소리여도 결과가 실제로 맞다고 밝혀지면 그건 임시변통적 가설이 아닌게 되는겁니다

  • 22.10.01 14:39

    @화하하학// 2. 제 의견대로라면 긍정적발견법은 전진적 연구프로그램에 항상 일맥상통해야 한다고 하셨는데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이해가 안되네요.

    저는 전진적/퇴행적 연구프로그램을 구분하는 준거를 예측력이 있느냐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이는 ㄱㅇㄱ강의 내용이었구요)
    R2에 대한 설명력이 있더라도 새로운 사례를 예측하지 못하면 퇴행적이 되는것 입니다.
    아예 설명을 못하는 경우도 퇴행적이 될 수 있구요

  • 22.10.01 14:40

    @지구과대장 벌컨이 임시변통적 가설이 아니라고 말씀드리는겁니다

  • 22.10.01 14:41

    @지구과대장 벌컨이 임시변통적 가설이라는게 객관식 답이었습니다

  • 22.10.01 14:44

    @화하하학// 벌컨과 해왕성 차이가 뭐라고 보시나요? 발견이 됐고 안됐고 그 차이밖에 없지않나요?

  • 22.10.01 14:46

    @지구과대장 그 지문 몇년도 몇번 지문인지 알수있나요?

  • 22.10.01 14:51

    @지구과대장 그 부분이 중요한 거라고 계속 말씀드리고 있습니다.
    모든 긍정적 / 부정적 발견법이 발견이 중요하다는게 아니라 두 사례에서는 발견이 되었느냐의 차이로 발견법이 결정되는 겁니다…..
    저는 아는선에서 다 이야기 했고 더이상은 진짜 논쟁만 될 것 같으니 각자 생각한대로 해석하는게 좋겠네요

    그리고 지금 과료론 교재가 없어 문제는 집에가서 댓글 달아드릴게요

  • 22.10.01 15:10

    @지구과대장 https://m.cafe.daum.net/sci.edu/43S3/547?svc=cafeapp

    제가 기출변형문제를 풀어서 임시변통적 가설이다 라는 말이 답안에 있다고 생각했는데 아니었네요
    기출상 동일 지문이 나왔고 기출해설강의에서 임시변통적 가설이며 라카토스 관점에서 부정적발견법이라고 언급해주셨습니다 .

  • 22.10.01 15:15

    @화하하학// 해왕성=벌컨
    같은 방법, 그리고 해왕성은 긍정적 발견법

  • 22.10.01 15:25

    @화하하학// 자료와 이론이 맞게끔 주장하는것이 긍정적 발견법
    자료=수성의 변칙궤도
    이론=뉴턴이론

  • 22.10.01 15:24

    @지구과대장 검증이 불가능해서 임시변통적 가설이다? 실제로 관측으로 없다는걸 확인했습니다 관측으로 있고 없고가 명확히 드러날수있는 검증가능 가설입니다

  • 22.10.01 15:29

    @지구과대장 https://cafe.daum.net/S2000/63o/9303
    제가 올린 질문입니다 ㄱㅇㄱ쌤도 몇개 틀린 답을 말하기도 합니다

  • 22.10.01 15:51

    @지구과대장 자료와 이론이 맞게끔 주장하는게 긍정적 발견법이다?
    이 말은 오류가 있네요. 핵을 보호하려고 도입되는 자료는 (가설) 당연히 이론이 맞게끔 주장하는 자료니까요.

    그리고 선생님께서 해왕성=벌컨이라고 하셨는데 정확하게는 해왕성을 발견한 방법=벌컨을 찾아낸 방법 이죠 . 벌컨이 해왕성은 아니니까요.
    동일한 방법으로 두 행성의 존재를 설명했으나 해왕성은 발견이 되어 천왕성의 궤도 문제 (R2)가 해결되었죠. 그래서 긍정적발견법인 겁니다. 또한, 벌컨은 발견되지 않았기에 여전히 뉴턴의 이론으로 설명할 수 없는 수성의 궤도문제(R2)가 해결되지 않고 남아있게되죠 . 그래서 부정적 발견법입니다.

    그리고 없다는걸 확인해서 없다는 것이 발견된게 어째서 검증을 했다는건지 모르겠네요.

  • 22.11.09 16:17

    @화하하학// https://m.cafe.daum.net/S2000/63o/9359

  • 22.11.09 16:18

    @지구과대장 https://m.cafe.daum.net/S2000/63o/9335?searchView=Y

  • 22.11.09 16:18

    @화하하학// 차근차근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 22.09.29 21:21

    흠 저는 긍정적 발견법이라고 보는데요, 변칙사례를 기존 핵(뉴턴이론)으로 설명하기 위해 보호대를 수정한 것이라고 생각해서 그래요
    부정적발견법은 변칙사례를 무시/제외하기 위한 방법으로 알고있습니다.. 수성의 궤도를 관측하는데 오차가 있었을 것이다 같은거요..
    변칙사례인 수성궤도를 기존 핵으로 설명하려고 했으므로 긍정적 발견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여기서 핵이 강화되거나 보호성공하면 전진적프로그램이 되는것이고 실패하면 퇴행적이고…

  • 작성자 22.09.29 21:23

    저도 선생님 의견과 같이 생각했네요..!!

  • 22.09.30 21:16

    저ㅓ도 이분과 같은 생각입니다

  • 22.09.29 21:26

    2022 화학 A 5번에서 (가)가 긍정적 발견법인데요 멘델은 변칙사례인 채워지지않은 빈자리를 핵인 주기율표로 설명하기위해 새로운 원소들이 발견될거라고.. 빈자리가 잘못된게 아니라는 주장을 했었죠 변칙사례를 설명하기위한 주장이므로 긍정적 발견법이라고 그러더군요

  • 22.09.29 21:28

    앞으로 발견될것이다! 라는게 어찌보면 임시변통적일수도 있어보이나 긍정적 발견법은 맞아보여요

  • 22.09.30 01:40

    만약 최종적으로 "발견되었다"는 말이 있었다면 긍정적 발견법이지만 , 관찰되지도 않고 미해결된 상태이므로 임시변통적 가설로 보는게 맞는 것 같아요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