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ㄱ에 사용된 과학적 사고가 유비추리라고 생각했었는데요. 서로 다른 두 대상의 유사성을 근거로 해서 특수한 예에 관한 전제로부터 다른 특수한 예에 관한 결론을 이끌어낸다고 해서 유추가 맞지 않나 해서 귀납적 사고가 아닌가 했는데 귀추적 사고를 답으로 많이 제시하셔서...왜 답이 유비추리보다는 귀추법인지 혹 설명해주실 수 있는 쌤 계실까요? ㅠㅠ유비추리는 속성에 관한 이야기이고 귀추법은 원인에 관한 과정이라서인가요?
첫댓글 저도 처음 공부할 때 같은 고민을 했었어요. 기출문제를 많이 풀어보니 귀납의 유비추론에 해당되는 문제는 아직 한번도 출제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생각을 안하셔도도 되는 문제이고, 굳이 언급을 하자면유비추론은 귀납의 한 방법으로서 두 대상의 수많은 공통점이 존재할 때 다른 특성도 같을 것이라고 귀납적으로 추론합니다.귀추는 어떠한 현상을 설명하기위해 그와 유사한 원인적 설명자를 가져오죠.제가 설명한 내용을 잘 읽어보시고 위 사례를 보시면 어떤 뉘앙스 차이인지 느낌이 오실 것입니다.일본과 칠레 지형의 수많은 유사성을 근거로 두 대상이 같다 라고 결론짓고 지진이 자주 일어나는 점도 같을거라고 결정짓는 것이 유비추론이 될 거라 생각합니다.하지만 위 사례는 한가지 지형적 유사성을 가진 일본의 특성을 보고 칠레도 그렇지 않겠어? 라고 말했죠. ㄱ에 보면 잠정적인 설명이라는 단어도 대놓고 제시되어 있습니다.귀납은 보통 일반적인 추론, 서술적 추리 등 등의 워딩이 등장해요.뉘앙스를 잘 보셔야할 것 같습니다.
선생님 너무 좋은 설명 감사합니다! 덕분에 수월하게 이해할 수 있었어요. 유추가 기출에 등장한 적이 없는지 몰랐네요... ㅎㅎㅎ
첫댓글 저도 처음 공부할 때 같은 고민을 했었어요. 기출문제를 많이 풀어보니 귀납의 유비추론에 해당되는 문제는 아직 한번도 출제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생각을 안하셔도도 되는 문제이고, 굳이 언급을 하자면
유비추론은 귀납의 한 방법으로서 두 대상의 수많은 공통점이 존재할 때 다른 특성도 같을 것이라고 귀납적으로 추론합니다.
귀추는 어떠한 현상을 설명하기위해 그와 유사한 원인적 설명자를 가져오죠.
제가 설명한 내용을 잘 읽어보시고 위 사례를 보시면 어떤 뉘앙스 차이인지 느낌이 오실 것입니다.
일본과 칠레 지형의 수많은 유사성을 근거로 두 대상이 같다 라고 결론짓고 지진이 자주 일어나는 점도 같을거라고 결정짓는 것이 유비추론이 될 거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위 사례는 한가지 지형적 유사성을 가진 일본의 특성을 보고 칠레도 그렇지 않겠어? 라고 말했죠. ㄱ에 보면 잠정적인 설명이라는 단어도 대놓고 제시되어 있습니다.
귀납은 보통 일반적인 추론, 서술적 추리 등 등의 워딩이 등장해요.
뉘앙스를 잘 보셔야할 것 같습니다.
선생님 너무 좋은 설명 감사합니다! 덕분에 수월하게 이해할 수 있었어요. 유추가 기출에 등장한 적이 없는지 몰랐네요... 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