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제에 대한 질문이 있는데요. 소중한 시간 내어 생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조작변인과 종속변인을 쓰라고 한다면 원래 탐구 문제에서의 변인이 아니라 탐구에서 조작적 정의된 변인으로 답을 쓰는게 맞죠?
이 문제로 예를 들자면 거리, 별의 밝기 가 아니라 발광다이오드와 격자가 그려진 종이 사이의 거리 와 빛이 비취진 격자수 를 쓰는게 맞는거겠죵,,
2. 실험의 개방수준을 파악할때 해답에 대한 개방수준을 판단할때 학생이 탐구로 답을 찾고나서 교사가 알려주는것도 해답을 제시했다고 보는건가요?
첫댓글 〈실험〉에서의 조작 변인과 종속 변인을 쓰는 거니까, 투넹님이 쓰신게 맞는 거 같습니다.
학생들은 교사가 제시한 질문에 대한 답을 스스로 낸 것이 아니라, 실험 수행만 한 거 같아요.
"결과 정리"에서, 교사는 ~ 별의 거리와 밝기의 관계를 설명한다. : 제시된 질문에 대한 답을 교사가 하는 중.
따라서, 모든 활동에서 교사의 제시로 진행되며, 실험 수준이 0인 거 같습니다.
저는 지구과학 전공이 아니라서 문제 유형이 낯설긴 하지만, 열심히 생각해서 적어봤습ㄴ디ㅏ..
감사합니다!!!! 아무래도 학생 스스로 답했다 하기엔 수동적인 결과도출이긴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