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물♡화♡생♡지
 
 
 
카페 게시글
☞ 생물 (비댓 금지) 발생 다배수체
최고가되자 추천 0 조회 1,467 16.07.23 14:32 댓글 9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6.07.23 14:55

    첫댓글 http://cafe.daum.net/S2000/bS7/4111
    염색분체와 상동염색체의 개념을 다시 확인하세요.
    복제 전이나 후나 모양과 크기가 같은 염색체가 한 쌍이면 2n입니다.
    복제여부(염색분체 유무)는 핵상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모양과 크기가 같은 염색체가 4개여야 4n입니다.

    그림은 6n의 예입니다.
    크기와 모양이 같은 염색체(상동염색체)가 6개씩 존재합니다

  • 작성자 16.07.23 15:01

    체세포 분열에서 콜히친 처리 시
    이배체를 사배체로 만들 수 있다고 하는 부분은
    그러면 dna복제가 일어난 이후
    각각의 상동염색체의 자매염색분체가 분리는 일어나기 때문에
    4배체가 된다고 봐야하는거죠??

  • 작성자 16.07.23 15:08

    @최고가되자 콜히친 처리 시 이배체가 4배체가 되는 과정이 잘 이해가 안되요...

  • 16.07.23 19:25

    @최고가되자 콜히친은 세포분열을 중기에서 멈추게 하는데 이로인해 염색체가 비분리 되는 현상이 일어나 4n이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ㅎㅎ

  • 작성자 16.07.23 19:50

    @내 이름은 세포 그림에서 보면 4배체는 자매염색분체의
    분리가일어나지만
    세포분열이 진행되지 않아 일어나는거죠??

  • 16.07.23 20:03

    @최고가되자 다른 하나의 세포는 0일거에요. 왜냐하면 콜히친에 의해 하나의 세포로 염색체가 모두 이동했으니까요. 최종적으로 세퍼레이즈가 작용하여 염색분체가 되어 4n이 하나의 세포가 되겠네요. 다른하나는 0이되고요.
    http://m.cafe.daum.net/S2000/bS7/4646?svc=cafeapp
    콜히친 검색하니까 여러 질문들이 있더라고요 ㅎㅎ 이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ㅎㅎ 저도 이번기회에 많이 배워갑니다~

  • 작성자 16.07.23 20:12

    @내 이름은 세포 링크걸어주신 내용이 도움에됐아요 감사합니다^^

  • 16.07.24 04:35

    정확하게 표현하면
    세포분열 말기, 즉 세포분열 종료 후에 염색체는 전부 풀려서 염색사가 됩니다.
    염색사 형태에서는 응축된 형태의 염색분체 개념을 적용할 수 없습니다.(응축된 형태가 아님)
    응축이 풀릴 때 (염색사로 될 때, 간기에서) 코헤신도 분해되어 풀린 형태의 염색분체(복제된 DNA가닥)도 분리된 상태이겠지요.
    다음 세포주기에서 이들 각 DNA가닥이 다시 각각 응축하여 염색체를 형성하므로 염색체 개수는 두 배가 됩니다.

    염색체나 염색분체라는 형태에 집착하지 마시고
    (사실 세포주기에서 응축된 형태는 짧은 시기(M기)에만 나타남)
    세포주기의 큰 범주에서 DNA분자의 양을 판단하시는 것이 이해에 도움이 됩니다.

  • 작성자 16.07.26 17:40

    네 알겠습니다.
    짝수 배수체 생성과정이랑 같이
    생각하려다보니 형태에 초점이가더라구요
    매번 답변 감사해요~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