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광용 꺼삐딴 리를 읽고 (정만진)
<줄거리>
이인국 박사는 의사로서 외과 전문의이다. 그의 병원은 두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첫째는 병원 안이 매우 깨끗하다는 것이고, 둘째는 치료비가 보통 병원의 두 배나 된다는 것이다. 물론 환자들이 외상으로 치료를 받는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인국 박사는 일제 때 북쪽에서 병원을 하면서 집 안에서도 일본어를 상용하도록 하여「국어(國語) 사용의 가(家)」라는 액자틀을 표창받기도 한 사람이다. 해방이 되어 소련군이 진주했을 때엔 소련 장교 스텐코프 얼굴의 혹을 완치시켜주는 수술을 제안, 성공하여 그로부터 '꺼삐딴 리(이박사 최고요)'라는 칭찬을 듣는다. 이 인연으로 이인국 박사는 아들 원식을 소련으로 유학보낸다.
1.4후퇴 때 왕진가방 하나를 들고 월남한 이인국 박사는 병원을 차려 돈을 번다. 이인국 박사는 미국대사 브라운에게 줄을 대어 딸 나미를 바다 건너 유학보낸다. 그런데 얼마 후 그의 딸 나미는 미국인과 결혼하겠다면서 편지를 보내온다. 이인국 박사는 미국에 한 번 가보기 위해 상감진사 고려청자 화병을 싸들고 부라운의 집을 찾아간다. 브라운은 미국에 갈 수 있도록 해주겠노라고 이인국 박사에게 약속한다. 이인국 박사는 돌아오는 택시 안에서 주먹을 불끈 쥔 채 중얼거린다. '흥, 사마귀 같은 일본놈들 틈에서도 살았고, 닥싸귀 같은 로스케 속에서도 살았는데, 양키라고 다를까. 혁명이 일어나려면 일어나고, 나라가 바뀌려면 바뀌어라. 아직 이인국의 살 구멍은 막히지 않았다.'
<읽기>
전광용은『꺼삐딴 리』전편을 통해 줄곧 등장인물 이인국을 '이인국 박사'로 호칭한다. 꼬박꼬박 '박사'를 붙여서 부른다. 물론 이렇듯이 작가가 '박사' 칭호를 등장인물에게 철저하게 붙여대는 것은 그 학식을 존중하기 위해서이거나, 아니면 희화(戱畵)하려는 의도, 이 둘 중의 한 가지 의도임에 틀림없다.
과연 어느 쪽일까. 소설의 줄거리로 보아 후자임은 너무나 분명하다. '박사'라는 말은 공부를 많이 한 지식인이라는 뜻일진대, 작가는 소설을 통해 일어, 노어, 영어를 말할 수 있는 '유식'한 지식인이면서도 살아가는 것은 저렇듯 '무식'한 자도 있다는 비아냥을 보여주고자 하는 것이다.
우리는, 소설『꺼삐딴 리』속의 등장인물인 이인국 박사만이 아니라, 일제 시대의 수많은 지식인에 대해 알고 있다. 이름 석자만 듣고도 친일파라는 사실을 단번에 알 수 있는 사람들의 대다수가 지식인임도 알고 있다. '나는 지금에 와서는 이러한 신념을 가진다. 즉 조선인은 전연 조선인인 것을 잊어야 한다. 아주 피와 살과 뼈가 일본인이 되어버려야 한다. 이 속에 진정으로 조선인의 영생(永生)의 유일로(唯一路)가 있다.'라고 말한 사람은 이광수(『무정』)이고, '대동아전쟁의 목적은 동아 10억의 백성을 침략의 손에서 건지고 동아의 신질서를 건설하여 동양을 동양인의 동양으로 만들려 함에 있다'면서 붓을 휘날린 사람이 주요한(「불놀이」)임도 우리는 알고 있는 것이다.
아는 것을 실천하기는 어렵다던가. 우리는『꺼삐딴 리』의 이인국 박사를 통해서 두 가지 고민에 빠져들게 될 것같다. 하나는, 전망이 보이지 않는 식민지 시대를 살다가 마침내는 훼절하고만 지식인들을 강력히 매도할 것인가, 아니면 그 처지를 이해하고 용서할 것인가로 고민하는 일이고, 다른 하나는, 나라사랑 등 훌륭한 도덕적 덕목을 머리로만 알고 실천으로는 행하지 않는, 허위에 가득찬 지식인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어떠한 노력을 해두어야 하는가에 대해 고민하는 일이다.
☆ 전광용 : 1955년에『흑산도』를 발표하면서 작품활동 시작.
냉철한 시각으로 현실사회의 부조리를 비판하는 작품을 많이 썼다.
『충매화』,『사수』등이 주요 작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