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 알림]----------------- 지우지 마세요!
1. 매매글 금지 ★★★
- 전자상거래법 강화로 매매글은 예고 없이 삭제됨을 알려드립니다.
- 바로 삭제되는 글 : (글과 '비댓' 모두 해당)
① '삽니다' 또는 '팝니다' 언급.
② 저작권이 있는 저작물(무단 복사 전재 배포 금지)의 PDF 파일 언급.
③ 금액 언급.
- 비댓에 언급되어도 삭제됩니다. 쪽지 권장합니다.
- 저작권 없는 자료에 한하여 무료나눔은 가능합니다.
2. 비댓 금지입니다! ★★★★★
------------------------------------------------------- 지우지 마세요!
양지식물이 음지식물보다 광포화점, 광보상점니 높은 이유를 각각 뭐라고 설명해야 깔끔할까요??!
첫댓글 자료에 따라 다르긴 하겠지만 굳이 이유를 묻는다면 피토크롬이랑 루비스코,광계 얘기정도는 설명에 포함시킬것 같습니다.
양지식물은 광계보다 루비스코 합성에 더 많은 에너지소모-->광포화점 높음
호흡률이 음지식물보다 더 높음-->광보상점 높음
음지식물 기준으로 설명하면 음지식물은 약광에 의해 광합성 속도가 제한됩니다.
따라서 루비스코를 덜 만듭니다.
루비스코 양 자체가 적음-> 광포화점이 낮다.
루비스코를 덜 만들어도 되니깐 잎호흡율이 낮음 -> 광보상점이 낮다.
양엽과 음엽의 차이는 책상조직이 원인이라고 생각합니다.
1. 광포화점 차이가 발생한 이유
: 양엽은 책상조직이 두껍게 발달하여 광합성에 참여할 수 있는 세포들 수가 많으므로 동일 광량이 주어질 때 광합성량이 책상조직이 얇은 음엽보다 더 높을 수 있습니다.
2. 광보상점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
: 양엽은 책상조직이 두꺼우므로 세포호흡으로 발생하는 CO2양이 책상조직이 얇은 음엽보다 높습니다. 따라서 낮은 광량에서는 책상조직이 두꺼운 양엽이 호흡량이 더 높아 광보상점이 높게 설정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