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물♡화♡생♡지
 
 
 
카페 게시글
☞ 생물:MD·PEET 2024 md 30번
Thats me 추천 1 조회 392 23.09.30 00:34 댓글 2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23.10.10 11:46

    첫댓글 실험II의 결과에서 유세포 분석 결과를 해석하면
    생쥐 A에서는 T림프구 중 CD8+ T림프구가 50%, CD8-(CD4+) T림프구가 50%로 존재함을 알 수 있고,
    생쥐 B에서는 CD8+ T림프구 50% 중 20%가 활성화 되어 IFN-r를 분비하고, CD4+ T림프구 50% 중 5%가 활성화 되어 IFN-r를 분비함을 알 수 있습니다.
    생쥐 C에서는 CD8+ T림프구 50% 중 5%가 활성화 되어 IFN-r를 분비하고, CD4+ T림프구 50% 중 10%가 활성화 되어 IFN-r를 분비함을 알 수 있습니다.

    활성화된 CD8+는 세포성 면역에 관여하고, 활성화된 CD4+는 체액성 면역반응에 관여하기 때문에
    ㄱ에서는 주로 세포성 면역, ㄴ에서는 주로 체액성 면역이 활성화됨을 알 수 있습니다.

  • 작성자 23.10.12 00:38

    선생님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CD4+세포가 체액성 면역반응에 관여하는게 Th2세포가 B세포 활성화에 도움줘서 그런건가요???
    전 T세포면 다 세포성면역반응으로 생각했어요.

    나머지 댓글 달아주신거 천천히 읽어볽요!!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