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한종나 공식 한국종자나눔회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1. 글로리아(양산)
    2. 달무리 대구
    3. 들길산길
    4. 아주마루(전주)
    5. 수채화사랑(경기)
    1. 일 강 (충청}
    2. 흙사랑(청도)
    3. 소재
    4. 꽃님이307
    5. 산이좋아(영암)
  • 가입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 가입
    1. 화윤
    2. 여니(파주)
    3. 모나미
    4. 여늪(경남)
    5. 서석화
    1. 캔디박스 인천
    2. 크리스탈
    3. 꾸끼
    4. 영월이
    5. 미호천 세종
 
카페 게시글
검색이 허용된 게시물입니다.
제주 제주한종나 6무 자연순환 농법으로 농사 지을 틀밭 완성
뿌리깊은나무(제주) 추천 1 조회 738 14.05.20 00:06 댓글 27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4.05.20 00:14

    첫댓글 정말 대단하시네요..
    제가 수입하려는 토질개량제가 있는데 계분을 완전발효하여 동물의 사료로도 할수있는 제품인데 나중에 알려드릴께요
    정말 훌륭한 생각을 하셨네요

  • 작성자 14.05.20 07:34

    삼정거사님과 공부하다보니 이곳을 알게 되었답니다
    사람이 암에 걸려서 함암치료를 받게 되면 나쁜 세포만 죽이는 것이 아니고 근처에 좋은 세포도 죽게 된다고 하네요
    땅도 마찬가지로 풀을 죽이기 위하여 제초제를 사용하면 땅속에 살고있는 좋은 미생물도 전부 죽여 버리기에 밑거름을 사용해야 된다고 하는데
    6무 자연순환 농법은 자연의 이치대로 농사를 짓는 천연 방법이라고 보아 집니다.
    여의주님께서 천연제품이라니 관심은 갑니다.
    나중에 기회되면 살펴보기로 하지요.

  • 14.05.20 09:01

    @뿌리깊은나무(제주) 맞는 말씀 입니다.
    땅을 죽여 놓으면 건강한 먹거리도 나오지 않을뿐더러 암환자가 많아지는 이유도 거기에 있어요.
    오염된 먹거리~~
    미생물을 활용해서 고추 100포기를 탄저병 없이는 키웠는데 노린재는 힘들더라고요.

  • 14.05.20 01:00

    힘든길 가시는 용기에~박수를 보냅니다~!

  • 작성자 14.05.20 07:19

    바라기욤님의 격려와 응원에 감사 드립니다
    농사가 결코 쉬운일은 아니라는 것을 점점 알게 됩니다.
    겸손하게 자연이치에 순응하고 감사하는 마음으로 하고 있습니다.

  • 와~손수 삽으로 다하셧나요~??
    힘드실털데~대단하시네요~

  • 작성자 14.05.20 07:20

    네 아내와 함께 손수 삽과 쇠스랑과 호미로 만든 작품입니다.
    정말 뿌듯하고 작은 행복을 느끼게 됩니다.
    시작이 반이라는 것을 실감하지요.

  • @뿌리깊은나무(제주) 저는 호미질 6년에 손가락이관절 오는것 같아서 일 줄이기로 햇어요~
    조심하시길요~

  • 와우~
    전문가의 포스가 느껴 집니다.
    갈수록 농부가 되어 가시네요.

  • 작성자 14.05.20 07:22

    항상 격려와 용기를 주시는 행복지기님께 머리숙여 감사 드립니다.
    저의 소박한 꿈과 목표이기에 겸허하게 이길을 가렵니다.
    자연과 환경을 살리고 땅을 살리고 생명을 살리는 이 일에 투신 하렵니다.

  • 14.05.20 07:06

    와~~ 뿌리깊은 나무님~
    역시 짱입니다~~
    저도 이제 막 시작 합니다.
    물론 짝꿍이 힘들겠지만...
    그래도 약이 되는 음식을 먹으려면 땅 방울이 밑거름이 되어야지요.
    저희는 EM5 랑 몇가지의 천연농약을 준비중입니다.
    발효 시키는 시간이 필요하니 부지런히 만들어놔야~~
    암튼 힘찬 박수로 응원 합니다~^^

    스티커
  • 작성자 14.05.20 07:26

    항상 앞서가는 당당함이 금비님의 매력이며 장점인것 같습니다.
    기업농이나 경제논리로 돈만 벌려는 분들보다 사람을 소중하 생각하고 자연의 이치에 감사하는 소박한
    분들이 모여서 땅과 생명을 살리는 농업을 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미래 우리 아이들이 건강과 생명을 지켜주는 농법으로 말입니다.
    음식으로 고치지 못하는 병은 의사도 못고친다고 합니다.
    좋은 음식물. 건강과 생명을 지켜주는 음식이야 말로 미래를 희망으로 만들어 줄 것입니다.
    금비님과 함께 하니 든든하고 힘이 납니다.

  • 14.05.20 09:02

    @뿌리깊은나무(제주) 같이 공부 하면서 화이팅 하자고요^^

  • 14.05.20 07:40

    무제초제. 무공장형 비료 및 발효퇴비. 무밑거름. 무전면경운. 무비닐. 무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 요거는 본문 복사한거고요
    --------------------------------------------------------------------으로 소정해야 되는데요!

  • 작성자 14.05.20 07:55

    무슨 말씀인지요
    저는 초보라서 잘 이해가 안됩니다.
    김윤수선생님이 말씀하시는 농법으로 하면 좋겠구나 해서 시작하려는 것입니다.

  • 14.05.20 10:53

    @뿌리깊은나무(제주) "무xx를 사용하지 않고"는 부정에 부정이라 6무가 아니라 6유농법이 되었네요...

  • 작성자 14.05.20 12:29

    아--- 바다사랑님의 말씀을 듣고 보니 부정으로 되버렸네요.
    본문을 수정하였습니다
    참으로 예리하십니다.
    가끔 글을 쓰다보면 이렇게 잘못 표현된 부분이 있기에 교정을 하는 것 같습니다.
    돌하루방님. 바다사랑님.
    좋은 지적에 감사 드립니다

    스티커
  • 우와~~대단하십니다. 빠른시간안에 찾아갈께요~~
    쉬엄쉬엄하세요~~

  • 작성자 14.05.20 09:09

    고맙습니다.
    선흘곶누님.
    이번에 제3회 선흘곶 축제를 성공리에 마무리 하시기를 축원 합니다.
    누님 부부가 계심으로 제주도가 유명해 지는 것입니다.
    정말 앞장서서 힐링의 제주를 만들어 가고 계십니다.

  • 땀좀 많이 빼셨겠습니다~
    건투를 빕니다~

  • 작성자 14.05.20 09:10

    가가멜님
    정말 땀이 죽죽 흐를때가 있는데 이때가 더 즐겁더군요.

  • 14.05.20 11:29

    무농약 재배가 쉽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저도 몇년동안 무농약,무비료로 작물을 얼마간 재배하고 있는데,
    옳은 결실을 보지 못했습니다.
    복숭아,배,사과등 과일은 아직 한번도 맛을 못봤습니다.
    열매는 많이 열리지만, 익기전에 병충해로 모두 낙과합니다.
    지난해에는 비교적 병충해에 강하다는 매실도 하나도 수확하지 못했습니다.
    농사 과정을 가끔씩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자 14.05.20 17:59

    저도 집에서 먹을 매실과 대봉감은 농약을 하지않고 연초에 유기농퇴비를 주곤 합니다
    그래도 먹을 만큼은 수확하고 있거든요.
    6무자연순환농법으로는 이번이 첨이기에 가끔 올리도록 할께요.
    관심 가져주심에 감사 드립니다.

  • 어디서 하고 계신가요 대단합니다 좋은 성과가 있었으면 합니다

  • 14.05.22 09:42

    제주도를 가게 되면 꼭 한번 들려 배우고 싶군요

  • 14.05.23 15:08

    유기농이라는게 참으로 형극에 길이 온데 과감히 가기는 뿌리깊은 나무님의 용기에 감탄할 따름입니다.

  • 16.07.11 11:10

    화이팅입니다.
    저도 올해 귀촌해서 6무농법으로 유실수, 다품종 소량의 채소를 재배하려고 합니다.
    부디 잘 성공하시기를 기원합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