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디카시의 사진과 문자를 어떻게 조합할 것인가에 대해서도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이에 대한 것은 카페지기가 자유게시판에 연재하는 『디카시창작입문 개정증보판』 연재 글의 일부를 아래와 발췌하여 알려드립니다.
디카시가 자연이나 사물에서 시적 감흥을 스마트폰 내장 디카로찍고 써서 영상기호와 문자기호를 하나의 텍스트로 소통하는 방식이라는 점을 염두에 두면, 조합 방식이 어떠해야 하는지는 어렵지 않게 알 수 있다. 디카시 창작 과정이 일반적으로 먼저 찍고 그 다음 쓴다. 이런 관점에서 디카시는 창작 순서에 따라 영상을 위쪽 혹은 왼쪽에 배치하고, 문자는 아래쪽 혹은 오른쪽에 배치한다.
그렇다고 꼭 이와 같은 방식이어야 한다고 강요할 수는 없다. 예외적으로 자연이나 사물에서 시적 감흥(시적 형상)을 느끼는 순간, 찍기도 전에 언술(문자화)되는 경우도 없지 않다. 이런 경우는 머릿속으로 이미 쓰인 것이라 보고, 쓰고 찍는 방식이라 할 수 있지만 이 역시 자연이나 사물에서의 시적 형상이 우선하는 것이다.
아무튼 디카시 창작의 보편적 방식은 찍고 쓰는 것이다. 따라서 이런 관점에서 디카시의 영상과 문자의 조합도 생각하는 것이 좋다.
계간 『디카시』 블로그에 올라 있는 방식을 보면, 제목을 제일 위에 올리고 그 다음 영상과 문자 순서로 되어 있고, 시인 소개는 맨 아래쪽이다. 물론, 제목 바로 다음에 시인 이름을 써도 좋을 것이다. SNS로 소통할 때 가장 무난한 방식이 이런 형식이라고 볼 수 있다.
〈머니투데이〉의 「최광임 시인이 읽어주는 디카시」에 소개되는 방식을 보면 영상을 먼저 제시하고, 그 다음 제목과 문자를 배치하고, 맨 아래 시인 소개를 한다. 이 방식도 무난하다. 전자의 방식은 제목이 위에 있으므로 영상과 문자를 포괄하는 느낌을 주지만, 〈머니투데이〉의 후자 방식은 영상과 문자가 다소 독립된 듯한 인상을 주기도 한다. 마치 포토포엠처럼 독립된 사진예술과 독립된 문자시를 결합한 것처럼 오해할 소지도 없지 않다. 그러나 이미, 디카시가 영상과 문자가 하나의 텍스트로 한 몸이라는 전제를 확실히 인식하고 보면, 이 경우도 사진과 문자가 독립된 것이 아니라 하나의 텍스트라고 볼 수 있다. 제목을 꼭 사진 위에 붙이지 않아도 좋다. 따지고 보면 제목이라는 것도 문자의 영역이니, 문자의 영역으로 같이 시적 문장 위에 바로 제목을 붙여도 아무런 문제가 되지는 않는 것이다.
종이잡지나 종이시집으로는 어떻게 조합해야 할까? 최근 계간 『디카詩』를 보면, 제목이 영상 위에, 영상은 왼쪽, 문자는 오른쪽, 시인 소개는 하단으로 편집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제목을 문자 위에 오게 할 수도 있지만, 아무래도 그것보다는 이 방식이 더 무난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가 종이잡지나 종이시집으로는 가장 적확한 방식이다.
물론, 종이잡지나 종이시집에도 앞의 예시처럼 영상을 위쪽에 문자를 아래쪽에 배치해도 되겠지만, 영상과 문자의 동등한 레벨이라는 측면에서 왼쪽 오른쪽 배치가 더 무난하다. SNS 같은 온라인은 시스템 자체가 주로 위 아래쪽으로 배치하게 되어 있으니, 디카시도 그 방식에 따를 수밖에 없다. 그렇더라도 그것이 디카시의 정체성을 훼손하는 것은 아니다.
온라인이냐 오프라인이냐에 따라 디카시에서 영상과 문자의 배치에는 약간의 차이가 날 수가 있다. 보다 중요한 것은 영상과 문자가 멀티텍스트성을 구축하는 것이 디카시라는 것을 잘 드러낼 수 있는 방식이 가장 이상적이다. 다시 말해 영상과 문자가 일시적으로 조합된 단순한 물리적 결합의 임시적 텍스트가 아니라 영상과 문자가 화학적으로 결합한 완벽한 하나의 텍스트라는 것을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는 미적 배치여야 한다는 것이다.
2024. 1. 26
디카시마니아 카페지기 이상옥
운영진 일동
첫댓글 저는 가독성이 좋아서
이 방법을 선택했습니다.
가끔 저의 게시물에 대해
말씀하시는 분이 있어서
2024. 1. 26.일에 올린
이상옥 교수님 글을 복사해왔습니다.
원문이 궁금하시면
디카시마니아 카페에 가셔서
공지사항을 보시기 바랍니다^^
다시 복기하며 잘 읽어 보았습니다
중요한 건 바로
사진과 언술의
' 화학적 결합 ' 이겠지요 ~
창시자님의 뜻을 중심으로 각자 자기 방식을 세워가면 될 듯요
감사합니다 부회장님 😊
네, 선생님^^
몇 년 전 글에는
사진으로 설명하면서
쓰신 것도 있는 걸 확인하고
선택한 방법입니다.
제가 쓰는 방식에 대해서 누군가가
말씀이 있어서 올렸습니다.
제가 알아서 선택한 방법이고
다른 분께 권한 적도 없는데...
각자 자기 방식을 세워가면 된다는
말씀 맞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