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1대간1정간13정맥 정복
 
 
 
 

회원 알림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 가입
    1. 효인아빠
    2. 뿅망치
    3. 염화미소
    4. 누리사랑
    5. 토미
    1. 새로움
    2. 북한산지기
    3. 스시몽
    4. 가시고기
    5. 춘자
 
 
  • ◎ 交市人不如友山翁 謁朱.. 새글
    박신복   07:31

    交市人不如友山翁 謁朱門不如親白屋 聽街談巷語 不如聞樵歌牧詠 談今人失德過舉 不如述古人嘉言懿行(교시인부지우산옹 알주문불여친백옥 청가담항어 불여문초가목영 담금인길덕과거 불여술고인가언의행)- 채근담 전집 156 ※ 해설 : 시장의 상인과 사귀는 것은 산속의 노인과 벗함만 못하고, 부귀권세가 있는 집안에 굽..

  • ◎ 謹德 須謹於至微之事 ..
    박신복   25.05.17

    謹德 須謹於至微之事 施恩 務施於不報之人(근덕 수근어지미지사 시은 무시어불보지인)- 채근담 전집 155 ※ 해설 : 도덕을 삼가 지킬 때는 반드시 아주 미세한 일에서부터 해야 하고, 은덕을 베풀 때는 보답할 처지가 못되는 사람에게 더욱 힘써 해야 한다. ※ 용어 풀이謹德(근덕) : 도덕을 삼가 지키다.至微之事(..

  • ◎ 謝事 當謝於正盛之時 ..
    박신복   25.05.16

    謝事 當謝於正盛之時 居身 宜居於獨後之地(사사 당사어정성지시. 거신 의거어독후지지)- 채근담 전집 154 ※ 해설 : 공훈과 업적이 가장 융성할 때 사직해야 하고, 남과 다를 일이 없는 곳에 처신해야 한다. ※ 용어 풀이謝事(사사) : 관직에서 물러나다. 謝는 그만두고 물러나다.正盛之時(정성지시) : 한창 성할 때..

  • ◎ 節義傲青雲..
    박신복   25.05.15

    節義傲青雲 文章高白雪 若不以德性陶鎔之 終爲血氣之私 技能之末(절의오청운 문장고백운 약불이덕성도용지 종위혈기지사 기능지말)- 채근담 전집 153 ※ 해설 : 절의가 굳어 고관대작 앞에서도 당당할 수 있고 문장이 아름다워 흰 눈(원문은 '백설'(白雪)이다. 보통 전국(戰國)시대의 악곡(樂曲)이름인 ..

 
 
 
 
  • ◎ 作人無點眞懇念頭 便成..
    박신복   25.05.11

    作人無點眞懇念頭 便成個花子 事事皆處 涉世無段圓活機趣 便是個木人 處處有碍(작인무점진간념두 변성개화자 사사개허 섭세무단원활기취 변시개목인 처처유애)- 채근담 전집 149 ※ 해설 : 사람됨이 조금이라도 진..

  • ◎ 魚網之設 鸿..
    박신복   25.05.10

    魚網之設 鸿則罹其中 螳螂之貪 雀又乘其後 機裡藏機 變外生變 智巧何足恃哉(어망지설 홍즉리기중 당랑지탐 작우승기후 기리장기 변외생변 지교하족시재)- 채근담 전집 148 ※ 해설 : 고기 잡는 그물을 쳐 놓았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