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국병 / 정원학회 상임이사한국과 일본 등 동양문화권에서는 각종 문화와 생활풍습이 중국의 영향을 크게 입고 있으며 종합예술의 하나로 일컬어지는 정원의 경우에 있어서도 예외일 수는 없다. 동양 삼국의 정원양식을 합쳐서 소위 동양식정원이라 부르고 있음을 보더라도 그간의 관계를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
44. 기생과 기방왼쪽 그림 ‘기방의 풍경’을 먼저 보자. 이 그림은 담장 안과 담장 바깥에 각각 사람이 여럿 있다. 먼저 담장 안을 보자. 기와집 안에는 머리를 틀어 올린 여자가 한 사람 있고 그 좌우에 남자 둘이 있다. 기둥에 손을 대고 서 있는 사내 하나가 있고, 마당에서 막 집 안으로 들어서려는 사내가 ..
나무는 통탈목대만과 중국 남부가 원산인 상록활엽수인 이 통탈목은 남부지방에서만 자라는 두릅나무과의 나무입니다. 이 나무의 속이 비어 있어 제주에서는 속탄낭이라 불리기도 하고 속에 빈 구멍이 있다고 하여 통초라 불리기도 한다고 합니다. I have photographed some of the trees Ric..
꽃차례(화서 : 花序)의 종류 총상화서(總狀花序) 총상화서(總狀花序) = 총상꽃차례, 모두송이꽃차례, 술모양꽃차례, raceme : 긴 꽃대에 꽃자루가 있는 여러 개의 꽃이 어긋나게 붙어서 밑에서부터 피기 시작하는 꽃차례(산옥잠, 백선, 아까시나무, 냉이). 총상화서(총상꽃차례, 모두송이꽃차례, 술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