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 | 수돌이(최찬집) | 1 | 25.10.02 |
박연폭포 - 조선 후기 화가 겸재 정선 作 | 수돌이(최찬집) | 0 | 25.10.02 |
東湖舟上謝奇明彦(동호주상사기명언) 李滉(이황) | 수돌이(최찬집) | 1 | 25.10.02 |
고유명절 ‘추석(秋夕) 한가위’ 한시(漢詩)편 1. 총3편 中 | 수돌이(최찬집) | 0 | 25.10.02 |
奉別退溪先生(봉별퇴계선생) 奇大升(기대승) | 수돌이(최찬집) | 1 | 25.10.01 |
모재 김안국: 이천 향교 유생들과 함께 | 수돌이(최찬집) | 0 | 25.10.01 |
징비록: <난후잡록>에서 《징비록》으로 | 수돌이(최찬집) | 0 | 25.10.01 |
천재화가 김홍도에게 그림을 그려달라고 부탁한 시(詩)에 그 의중을 쓰다 | 수돌이(최찬집) | 0 | 25.10.01 |
경계선 너머 휘둘리지 않는 주체적인 삶, 세상에 홀로 서서 사회모순을 .. | 수돌이(최찬집) | 0 | 25.10.01 |
친구를 그리워하는 간절한 마음 ‘정운(停雲)’, 술독에 술은 익어가고 | 수돌이(최찬집) | 0 | 25.10.01 |
선비의 상징 ‘문어(文魚)’ 한시(漢詩)편 | 수돌이(최찬집) | 0 | 25.10.01 |
1900년 경 대한제국 옹기장수(보부상) | 수돌이(최찬집) | 0 | 25.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