寄李子方御史行軒(기이자바머사행헌) 李植(이식)
![]() |
수돌이(최찬집) | 0 | 25.05.25 |
無題(무제) 李景義(이경의)
![]() |
수돌이(최찬집) | 0 | 25.05.25 |
의외로 한자어인 단어 | 수돌이(최찬집) | 0 | 25.05.24 |
거제유배문학 「수산만영(囚山漫詠)」 고달픈 귀양살이를 부질없이 읊다 | 수돌이(최찬집) | 0 | 25.05.24 |
조선시대 백정(白丁)의 전신 양수척(楊水尺), 그 내력과 삶의 기록 | 수돌이(최찬집) | 2 | 25.05.24 |
객야상념(客夜想念) 거제도에서.... | 수돌이(최찬집) | 0 | 25.05.23 |
初集徐汝五新移之廬(초집서여오신이지려) 李德懋(이덕무) | 수돌이(최찬집) | 0 | 25.05.23 |
陪仲氏存齋先生 同中弟嵩逸遊 淸涼山 途中作 (배중씨존재선생.. | 수돌이(최찬집) | 0 | 25.05.22 |
세 등급의 스승[三等師] | 수돌이(최찬집) | 0 | 25.05.22 |
한산도(閒山島)와 제승당(制勝堂) | 수돌이(최찬집) | 0 | 25.05.22 |
거제학자 동록(東麓) 정혼성(鄭渾性)의 ‘도리(道理)’ | 수돌이(최찬집) | 0 | 25.05.22 |
거제 해금강 갈도석각가(葛島石刻歌), 서불과차의 가장 믿을만한 기록물 | 수돌이(최찬집) | 0 | 25.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