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화성당성과 원효성사 오..
소석 24.08.19◆ 화성당성의 연구 및 발굴사업 현황과 역사적 가치 재조명 ◆ 화성당성과 원효성사 오도처 백곡리 고분 사업 활성화 ◆ 화성당성과 원효성사 오도처, 그리고 원효의 발자취를 잇는 문화와 관련된 학술대회를..
-
-
화성지역학연구소 조직 개..
소석 24.03.222024년도 화성지역학연구소 조직을 개편하였습니다.소장 정찬모부소장 김민흡운영위원장 이경렬학술위원장 김재엽홍보위원장 이수원
-
-
-
깨달음의 길 신년 고유제 ..
소석 24.01.31
-
-
-
-
화성문화원.화성지역학연구..
소석 24.01.18
-
-
-
백곡리고분과 원효성사 오..
소석 23.09.14백곡리고분과 원효성사 오도처 학술발표회 일시: 2023. 10. 13. 금 오후 2시 ~ 5시장소: 마도문화센터 1층 다목적실 주최 및 주관 : 화성지역학연구소.후원 : 화성문화원, 사)한국문화재지킴이연합회. 마도면주..
-
백곡리고분과 원효성사 오..
-
-
-
[with+] 18세기 조선 문..
소석 25.04.12[with+] 18세기 조선 문단의 이단아 이옥입력 2023-08-31 1..
-
-
-
-
《백운필(白雲筆)》을 왜 ..
소석 25.04.07《백운필(白雲筆)》에 쓴 자서(自敍: 제 일을 제가 말함.)다. 이 ..
-
-
-
-
19세기 서울 구경
소석 25.03.2219세기 서울 구경 내 고향..
-
-
-
19세기 시학상의 由陸入杜..
소석 25.02.2519세기 시학상의 由陸入杜와 由蘇入杜論.pdf862.41KB19세기 시학상의 由陸入杜와 由蘇入杜
-
-
화성의 인물 문무자 이옥
소석 25.01.10화성의 인물 문무자 이옥 이옥 가계 이옥의 집안은 효령대군의 고손인 광윤光胤부터 처음 음직蔭職 벼 슬을 지내기 시작하여 그 아들 간幹은 특히 고을을 잘 다스린 것 으로 이름났다고 한다. 간은 네 아들을 두..
-
화성의 인물 문무자 이옥
-
-
김려(金鑢) 담정유고(藫庭遺..
소석 24.11.17담정유고(藫庭遺藁) 형태서지 | 저 자 | 가계도 | 행 력 | 편찬 및 간행 | 저본의 구성과 내용 형태서지 권수제 담정유고(藫
-
김려(金鑢) 담정유고(藫庭遺..
-
-
정조(正祖)의 건릉지(健陵..
소석 04:06有明朝鮮國 正宗大王健陵誌 我 正宗文成武烈聖仁莊孝
-
-
-
우리지역 국가유산 - 화성..
소석 25.04.14보물화성 봉림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華城 鳳林寺 木造阿彌陀如來坐..
-
-
-
-
우리지역 국가유산 - 용주..
소석 25.04.12우리지역 국가유산국보용주사 동종 (龍珠寺 銅鍾)Bronze Bell ..
-
-
-
-
화성시 안곡서원, 2일 춘..
소석 25.04.07화성시 안곡서원, 2일 춘향제 실시…상주박씨·남양홍씨 유림 및 남..
-
-
-
[옮긴글] '백제의 혼'이 ..
소석 25.04.03남한산성 행궁터에서 발견된 한성백제 시기의 장란형 항아리. 남한산성은 한성백제 도읍지인 위례성의 배후성이었다. “상(인조)이 ‘세 번 절하고 아홉번 머리를 조아리..
-
[옮긴글] '백제의 혼'이 ..
-
-
바람의 신 영등할망은 동북..
소석 25.04.01바람의 신 영등할망은 동북풍. 동북은 순우리말 새노동서남북의 방향을 가리키는 순우리말은 “새하마노”다. 따라서 동풍은 샛바람, 서풍은 하늬바람, 남풍은 마파람, 북풍은 놉새바람 이라고 부른다. 동북쪽에서..
-
바람의 신 영등할망은 동북..
-
-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는..
1
김희태 18.02.20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는 문화재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는 문화재.pdf
-
-
조선 최고의 개혁! 대동법
김희태 18.02.20조선 최고의 개혁! 대동법 조선 최고의 개혁! 대동법.pdf
-
-
역사의 라이벌, 삼봉 정도..
김희태 18.02.20역사의 라이벌, 삼봉 정도전과 포은 정몽주 - 게시용 역사의 라이벌, 삼봉 정도전과 포은 정몽주 - 게시용.pdf
-
-
우리 문화재 이해하기) 석..
김희태 18.02.20우리 문화재 이해하기) 석물의 이해 - 게시용 우리 문화재 이해하기) 석물의 이해 - 게시용.pdf
-
-
불교 문화유산(탑, 불상)..
김희태 18.02.20불교 문화유산(탑, 불상)의 이해 - 게시용 불교 문화유산(탑, 불상)의 이해 - 게시용.pdf
-
불교 문화유산(탑, 불상)..
-
-
삼국통일의 교두보, 화성 ..
김희태 18.02.20삼국통일의 교두보, 화성 당성 - 게시용 삼국통일의 교두보, 화성 당성 - 게시용.pdf
-
삼국통일의 교두보, 화성 ..